사용자토론:PuzzletChung/2014년도미니카/도미니카 연방분류:올림픽 도미니카 선수단은 이동 누락된 거겠죠? 프토:올림픽#나라 이름에 약간은 관계된 토론을 열었습니다. -- ChongDae (토론) 2014년 1월 20일 (월) 19:09 (KST) 영어 위키백과 반달에 관련해서안녕하세요 퍼즐릿 정님. 다른게 아니라 영어 위키백과에 제가 반달리즘으로 차단되었다고 했는데 영어를 몰라서 어떻게 차단을 해제해야하는지 잘 모르겠고, 억울한게 차단당한 구체적인 이유를 몰라 여기에 이렇게 적습니다. 어떻게 해야 차단을 풀수있는지 가르켜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JARA7979 (토론) 2014년 1월 30일 (금) 2:53 (KST) IP 사용자 차단 요청백:사관에도 남겼지만, 반말, 인신공격, 사용자 토론 문서 훼손, 백:다중 위반을 하고 있습니다. 처리가 되지 않아 부득이 남깁니다. --팝저씨 (토론) 2014년 2월 15일 (토) 16:51 (KST)
차단을 회피했습니다. 또 남겨서 죄송합니다. --팝저씨 (토론) 2014년 2월 15일 (토) 17:04 (KST)
이 (팝저씨,neoalpha)분은 자기 생각이나 자기 기준과 다르면 글 뒤에 다른 견해나 fact를 적는식이 아니라 다른사람이 적은것을 되돌리기로 갈아없기식 편집을 하는것 같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제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팝저씨라는 유저, 지금도 이 토론에 적혀지고 있는 제글을 다 지우기 하고 있습니다. 기록보세요. 문제 있는것 아닙니까?
이분 (팝저씨)의 행위를 살펴 봐주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어이없는 사실을 신고하고 말하는게 분탕이군요. 그러면 당신도 분탕질 하는것 아닌가요? 지금 나도 신고 하는데 내 글을 왜 지우는가요? 분탕은 당신이 분탕을 하고 있습니다. 팝저씨. 지금 이토론방에서 내글을 왜 계속 지우며 훼손하고 있죠? 무한 되돌리기로? 당신은 이런식이고 이런식의 유저를 제재해달라고 신고 하는거요. 저도 더이상 팝저씨에 관해 글을 남기 지 않겠습니다. (다만 팝저씨가 이 토론방에서 문서훼손, 즉 지우기를 계속한다면 저도 제글을 다시 되살릴겁니다.) Sorry to bother you here. Recently the IP user still keeps reverting edits and ignore warnings. Additionally, the user also intends to delete the context of the discussion page. --Doracake (토론) 2014년 2월 26일 (수) 23:59 (CST) 인신공격 사용자 제제 요청Numquam Morietur Veritas님께서 요청하신 사항인데, 제가 중간에 끼어들어서 차근히 설득을 해봤습니다만, 인신공격을 한 사용자가 여전히 인신공격을 하고 있습니다. 사관이 아닌 토론방에서 부탁드리는게 지난번 IP사용자가 부린 행패때문에 조심스러웠는데, 무례를 무릅쓰고 남깁니다. --Neoalpha (토론) 2014년 5월 8일 (목) 18:54 (KST) 라이딩님에 대한 사관신청을 수리해주세요안녕하세요. 네오알파입니다. 최근 라이딩님에 대한 사관 신청이 들어왔는데요. 다른 관리자나 사무관 분들이 직간접적으로 해당 사건과 관련이 있어서 처리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이에 염치 불구하고 수리를 부탁드립니다. --Neoalpha (토론) 2014년 5월 21일 (수) 20:42 (KST) 참고
--커뷰 (토론) 2014년 6월 27일 (금) 21:31 (KST) 문서 이동을 되돌려달라는 토론을 제기했습니다
--Eggmoon (토론) 2014년 7월 5일 (토) 01:11 (KST)
'토론'이라는 미명 하에 진행되는 '일방적 주장공세'를 중단시켜주실 것을 요청드립니다--Puzzlet Chung 님. 님께서도 그동안의 제 토론페이지와 편집역사, 사랑방 등의 글을 읽으셨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Eggmoon님은 토론의 기본을 지키지 않고 있습니다. 토론을 먼저 제기하셔서 주장에 대해 여러 가지 주장으로 저는 반박했습니다. 그런데 이 분은 이 부분에 대해 아예 읽지를 않으시는 건지 재반박은 하지 않고 계속 '위키피디아 영어판에 그렇게 나와있다'라는 말만 되풀이하고 계십니다. 게다가 '논란이 있다'면서 제 토론페이지에 문제제기하였다가 갑자기 또 본인의 토론페이지로 넘어가시더니 또 갑자기 사랑방이라는 데서 독단적으로 문제제기 후 일방적인 주장만 되풀이하고 있습니다. 제 토론페이지도 아니고 자꾸 옮겨가서 일일이 대응하기도 번거롭지만 저는 이 부분에도 다시 반박해드렸습니다. 그리고 다시금 제 반박에 재반박 해달라고 거의 10번 가까이 요청하고 있으나 묵살당하고 있습니다. 증거가 남아있습니다. 저는 이러한 과정을 '정상적인 토론'과정으로 볼 수 없습니다. 저는 게다가 님의 의견을 수용하여 타협안도 제시하였습니다. 역시 묵살당하였습니다. 이 비정상적인 과정을 중단해주실 것을 요청드립니다. Posttranslational (토론) 2014년 7월 7일 (월) 08:35 (KST)
이 중 두 번째 단락을 특히 저는 주목합니다. 이 문단의 내용이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 나온 말입니까, Posttranslational 님의 논증입니까? 저는 시종일관 후자라고 합리적 의심을 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답은 듣지 못했습니다. 이미 안내했던 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 중 〈위키백과는 개인의 의견이나 생각을 발표하는 곳이 아닙니다.〉 항목을 반드시 읽어 보기 바랍니다. 그리고, “콩비지인가 콩떡인가 까먹었는데 이분” 등과 같이 타 사용자를 자극하는 표현을 삼가야 토론의 기본이 지켜질 것입니다. 위키백과:토론에서 지켜야 할 점의 일독도 권합니다.--Eggmoon (토론) 2014년 7월 8일 (화) 08:37 (KST) http://freefeel.org/wiki/FrontPage 접속이 안 됩니다. 확인 부탁 드립니다. 다중 계정 검사 요청현재 백:다검에서 다중 계정 검사 요청이 진행중입니다. 바쁘시지 않다면, 검사 부탁드리겠습니다. --이강철 (토론) 2014년 8월 5일 (화) 14:17 (KST)
서양음악"서양의 음악"으로 옮길 필요가 있을까요? 사전에도 등재된 단어[1][2]인데요. -- ChongDae (토론) 2014년 8월 5일 (화) 16:37 (KST) 서양음악과 서양 고전 음악기존 서양음악 문서에 그동안 기여된 수많은 내용들을 모두 지워버리고 단순화시키며, '대중음악'과 '고전음악'으로 이분화시키는 것은 굉장히 곤란합니다. 서양음악에는 대중음악과 고전음악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더군다나 서양 고전 음악에도 나와있듯이, 고전음악=클래식음악은 바로크, 고전주의, 낭만주의, 국민주의, 20세기 조성음악을 포함하는 것입니다. 고대의 단순한 음악행위 내지 '서양고대음악', 20세기의 '전위음악'은 서양 고전 음악에 들어올 수 없고, 고대의 서양 고전 음악, 현대의 서양 고전 음악이라는 괴상한 이름의 문서로도 대체될 수 없습니다. 기존의 서양음악 문서로 다시 되돌리고 하위항목에 대중음악을 추가하는 식으로 대체되어야 합니다. 기존 문서로 다시 되돌리고 토론할 것을 요청합니다. 토론은 기존문서로 되돌린 후에 하는 것이 이 곳의 원칙이니까요. Ultrasonography (토론) An important message about renaming usersDear PuzzletChung, My aplogies for writing in English. Please translate or have this translated for you if it will help. I am cross-posting this message to many places to make sure everyone who is a Wikimedia Foundation project bureaucrat receives a copy. If you are a bureaucrat on more than one wiki, you will receive this message on each wiki where you are a bureaucrat. As you may have seen, work to perform the Wikimedia cluster-wide single-user login finalisation (SUL finalisation) is taking place. This may potentially effect your work as a local bureaucrat, so please read this message carefully. Why is this happening? As currently stated at the global rename policy, a global account is a name linked to a single user across all Wikimedia wikis, with local accounts unified into a global collection. Previously, the only way to rename a unified user was to individually rename every local account. This was an extremely difficult and time-consuming task, both for stewards and for the users who had to initiate discussions with local bureaucrats (who perform local renames to date) on every wiki with available bureaucrats. The process took a very long time, since it's difficult to coordinate crosswiki renames among the projects and bureaucrats involved in individual projects. The SUL finalisation will be taking place in stages, and one of the first stages will be to turn off Special:RenameUser locally. This needs to be done as soon as possible, on advice and input from Stewards and engineers for the project, so that no more accounts that are unified globally are broken by a local rename to usurp the global account name. Once this is done, the process of global name unification can begin. The date that has been chosen to turn off local renaming and shift over to entirely global renaming is 15 September 2014, or three weeks time from now. In place of local renames is a new tool, hosted on Meta, that allows for global renames on all wikis where the name is not registered will be deployed. Your help is greatly needed during this process and going forward in the future if, as a bureaucrat, renaming users is something that you do or have an interest in participating in. The Wikimedia Stewards have set up, and are in charge of, a new community usergroup on Meta in order to share knowledge and work together on renaming accounts globally, called Global renamers. Stewards are in the process of creating documentation to help global renamers to get used to and learn more about global accounts and tools and Meta in general as well as the application format. As transparency is a valuable thing in our movement, the Stewards would like to have at least a brief public application period. If you are an experienced renamer as a local bureaucrat, the process of becoming a part of this group could take as little as 24 hours to complete. You, as a bureaucrat, should be able to apply for the global renamer right on Meta by the requests for global permissions page on 1 September, a week from now. In the meantime please update your local page where users request renames to reflect this move to global renaming, and if there is a rename request and the user has edited more than one wiki with the name, please send them to the request page for a global rename. Stewards greatly appreciate the trust local communities have in you and want to make this transition as easy as possible so that the two groups can start working together to ensure everyone has a unique login identity across Wikimedia projects. Completing this project will allow for long-desired universal tools like a global watchlist, global notifications and many, many more features to make work easier. If you have any questions, comments or concerns about the SUL finalisation, read over the Help:Unified login page on Meta and leave a note on the talk page there, or on the talk page for global renamers. You can also contact me on my talk page on meta if you would like. I'm working as a bridge between Wikimedia Foundation Engineering and Product Development, Wikimedia Stewards, and you to assure that SUL finalisation goes as smoothly as possible; this is a community-driven process and I encourage you to work with the Stewards for our communities. Thank you for your time. -- Keegan (WMF) talk 2014년 8월 26일 (화) 03:24 (KST) --This message was sent using MassMessage. Was there an error? Report it! 실례합니다.요즘 바쁜신가요? 실은 한가지 요청을 부탁드릴려고 말씀드립니다. 이번주부터 백:문이에 있는 요청이 밀려있는데, 다른 관리자님들께서 이쪽에 관리를 안하셔서 이쪽의 전문인 Puzzlet Chung님께 부탁드립니다. 바쁜신거 알지만 꼭 부탁드립니다.--175.197.33.128 (토론) 2014년 11월 7일 (금) 18:39 (KST)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