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누군지 기억하시죠? 저번에 irc에서 만난 '심현우'라고 합니다. 자~...XXX는 들어가셨고,이제 남은건 오늘 있는 운전면허 뿐이군요. 제 사용자 페이지에 와서도 결과를 알려주셨으면...어쨌든 꼭 합격하시길 기원하며 아자! 화이팅입니다!--심현우 (토론) 2009년 2월 11일 (수) 00:11 (KST)답변
위키백과가 영리적으로 판매도 됐었나요?? 그건 몰랐네요. ^^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Kjinho213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그렇다고 봐야합니다. GFDL에 의거하여 배포되는 위키백과는 출처만 밝혀둔다면 영리적 이용을 포함한 모든 행위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영리적 이용이 불가능한 컨텐츠는 이용이 불가한 것이니 양해부탁드립니다. --RedMosQ (토론) 2009년 1월 23일 (금) 17:18 (KST)답변
정말 어의가 없습니다 오만이 하늘을 찌르네요 포기하겠습니다. 자신이 모르는 거라고 해서 그리고 검색 제대로 하신거 맞나요? GOOGLE.COM에서 해보시죠 2번째 페이지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그렇게 자신들 잣대외엔 인정을 안하겠다면 저는 포기합니다.
--Clpno1 (토론) 2009년 1월 30일 (금) 18:36 (KST)답변
옳바른 정보인데 아직 한국 위키에 없기 때문에 추가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물어보시다니 그 이유가 무엇입니까? 위키가 그런것 아닙니까? 저는 그저 한국 유저들도 알았으면 해서 올렸을 뿐입니다. 서양 사람만 알아야 하고 동양사람은 몰라도 됩니까?--Clpno1 (토론) 2009년 1월 30일 (금) 18:50 (KST)답변
아 그러실 생각이셨군요, 저는 프로레슬링을 눈으로만 보는 一人인지라... ^^;;; 고맙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기여 부탁드려요. 문서 편집에 도움이 필요하시면 질문 올려주세요. 성실하게 답변해드리겠습니다. --RedMosQ (토론) 2009년 1월 30일 (금) 19:16 (KST)답변
Hi! Thank you for your vote! Please make a link to your homewiki-userpage on your metawiki-userpage! Regards, Dorgan (토론) 2009년 2월 2일 (월) 02:46 (KST)답변
I finished to make my page on meta. And I linked to my userpage. Thank you for your visit to my Korean page. --RedMosQ (토론) 2009년 2월 2일 (월) 11:24 (KST)답변
하지만 화폐 문서의 관습적인 제목 선정은 (나라 이름)(돈 이름) 아니겠습니까? 소비에트 연방 루블, 소련 루블 중 선택하시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아니면 원 제목을 소비에트 연방 루블로 하고 소련 루블을 넘겨주기 처리하면 될 것입니다. 요즘은 네이버에 넘겨주기 문서도 검색되더군요. --RedMosQ (토론) 2009년 2월 8일 (일) 18:17 (KST)답변
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이형주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In the Soviet Union, speakers of Kazakh, Kyrgyz and Uzbek called the ruble the som, and this name appeared written on the back of banknotes, among the texts for the value of the bill in all 15 official languages of the Union.
를 번역중인데요 앞부분(In the Soviet Union, speakers of (중략) the som)분은
예수그리스도 후기성도교회를 최근에 편집한 cjc1561입니다.
붉은 모기님의 말씀대로라면 제가 올린 글이 예전의 것으로 되돌아갔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제가 다시 올리면 되나요?
그리고, 한글에서 작업한 글을 복사하여 위키백과에 올려도 상관없나요?
사실 저번 글이 그렇게 복사하여 붙이기를 한 것인데, 혹시 그런 것 때문에 옛날 것으로 되돌려졌는가 해서요...
그럼 답신을 기다리며..
좋은 하루 되십시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Cjc1561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직접 작업하신 글이라면 괜찮습니다만, 종교적인 문서일수록 편집에 신중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최근 종교 문서를 포교 목적으로 악용하는 사람들이 늘어 기존 사용자 입장에서도 신경을 많이 쓰는 편이기 때문입니다. 위키백과의 문서 내용은 중립적이고, 다른 곳에서 배껴온 문장이 없어야 한다는 것은 잘 아시죠? 이 두가지를 모두 지키지 못하면 종교 문서 편집에 장애를 받을 위험이 높습니다. 종교 문서를 편집하실 때는 다음을 꼭 지켜주세요.
신뢰가능한 출처를 꼭 밝혀주세요.
실제로 의심의 눈초리가 많은 문서에서는 꼭 지켜야 할 사항입니다. 출처를 붙이는 과정을 통해서 자신이 적은 내용이 허위로 오인받지 않고, 오히려 신뢰도 높은 문장으로 남게되는 것입니다. 출처를 붙이는 방법은 백:출처 밝히기를 참고해주세요. 출처가 문장 속에 박혀 있는 빈도가 높을 수록, 출처의 신뢰도가 높을 때 문서의 신뢰도가 증가할 것입니다.
위키백과는 백과사전입니다
위키백과는 아시다시피 백과사전입니다. 따라서 문서는 백과사전 형식이 되어야합니다. 기존 사용자들은 백:편집 지침을 통해 위키백과의 통일된 문서 형식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형식을 맞추는 것이 가독성이 좋고, 문서가 쉽게 정리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편집하기도 쉽기 때문입니다.
서로를 존중해줍시다
위키백과는 토론을 통해 의견을 모으고 결론을 냅니다. 만약 이 토론에서 싸움이 난다면 모든 과정이 엉망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토론에 충실하고 또 토론의 내용을 존중해주어야 합니다. 또한 사용자들끼리 감정적인 논쟁이 아닌, 주장과 근거가 뚜렷한 토론을 하도록 해야합니다. 백:토론에서 지켜야 할 점에서 지켜야할 점을 열거하고 있습니다.
현재 제일 중요한 부분에 출처가 너무 부족하여 출처가 필요한 문단에 출처필요문단 틀도 표시해두었으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현재 문서는 중립적인 시각이라고 하기 어려운 것이 문선명에 대해 분명 비판적인 부분도 있을 것인데 그 부분이 하나도 없는 것 같습니다. --RedMosQ (토론) 2009년 2월 13일 (금) 18:19 (KST)답변
지금 출처 부분에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위키백과 자체는 신뢰할 수 있는 출처가 될 수가 없습니다. 위키백과의 내용이 자주 바뀌기 때문이죠. 위키백과를 출처로 사용한 부분을 다른 출처로 변경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내용을 정리하시고 나면 000박사 등의 호칭을 제거하시고, 주관적인 미사여구를 제거하시면 문서가 백과사전으로써 제 기능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RedMosQ (토론) 2009년 2월 13일 (금) 23:44 (KST)답변
아... 죄송... 하도 일반 사용자처럼 열심히 기여해주셔서 제가 착각을 했네요. ㅎㅎㅎ 근데 가입을 하시면 좀 더 수월하게 문서를 편집하실 수 있으신데 굳이 가입을 안하시는 이유가 궁금하군요. ^^;;; --RedMosQ (토론) 2009년 2월 24일 (화) 18:47 (KST)답변
최근들어 아이디+bot 아이디+봇 이라고 붙이는 사칭계정이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저도 물론 사용자:개마리봇으로 인해 피해자구요. 그래서 RedMosQ님께 RedMosQbot이 진짜로 RedMosQ님의 봇인지 물어보기 위해 왔습니다. RedMosQbot이 진짜로 RedMosQ님의 봇이 맞으신가요? --개마리(토론하기)2009년 2월 25일 (수) 22:44 (KST)답변
제가 IP를 사용하고 있던 시절에 예배 틀을 썻습니다. 그런데 님께서 훼손시킨 것입니다. 그래서 제가 계정을 만들고 나서 다시 생성시켰습니다. 저는 기독교 신자이며, 의성제일교회에 다니고 있고, 명성교회에 관심이 있어서 쓴 것이니까 다시는 함부로 훼손시키지 마세요.--Trainlove96 (토론) 2009년 3월 2일 (월) 17:01 (KST)답변
죄송하지만, 저는 문서를 되돌리기 한 것 밖에는 없는 듯 합니다만, 혹시 제가 훼손한 것이 정확하게 무엇인지 보여주실 수 있으신지요. 그 당시 저는 백과사전에 어울리지 않는 트리비아로 판단하여 되돌리기를 했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RedMosQ (토론) 2009년 3월 2일 (월) 17:14 (KST)답변
실제로 금천 나들목은 책자형 지도에는 표시조차 안돼 있는 경우가 많고 나들목 번호도 없습니다. 그러나 서해안고속도로 시종점 위치 때문에 형식적으로는 서해안고속도로의 나들목인 것입니다. 금천 나들목은 실질적으로 고속도로 나들목이라고 하기엔 요건을 갖추지 못한 건 맞습니다. --백꼬리 (토론) 2009년 3월 5일 (목) 15:33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