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Shyoon1/보존문서2
반갑습니다.안녕하세요. 예전부터 '최근 바뀜'에서 자주 뵜었는데 요즘은 뵙기 어렵네요~~ 잘지내시나요? --月兒 2008년 1월 19일 (토) 00:15 (KST) 예전에 문서에 대해 토론도 나누고 그랬던게 생각나서요.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月兒 2008년 1월 19일 (토) 15:19 (KST) 조선의 왕이 편집이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인지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 --정안영민 2008년 2월 3일 (일) 12:25 (KST) 오!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통화 정보에 참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미국에서 사시니 영어는 쉽겠군요. 혹시 사용자:이형주/번역장 1 번역 장기적으로 번역 같이 가능하신가요?--위키아비 2008년 3월 3일 (월) 10:31 (KST)
무엇무엇 시대라 표현하는것이 옳은 근거 부탁드립니다.안녕하세요? 수정하신 중국사중 '무엇무엇 - 시대'라 표현할때는 붙여쓰기로 표현하여야 맞습니다. '무엇무엇' 띄고 '시대'라고 적을경우 '무엇'과 '시대'를 나타내며 하나의 단어로 보기 어렵습니다. (국립국어원 -> 어문 규정 검색 -> 시대 참고 및 한글 맞춤법 1장 2항 참고.) --Kim Kyung Min 2008년 3월 9일 (일) 11:14 (KST)
미리보기 안내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같은 문서에 단시간에 연속적으로 기여하고 계시기에, 미리보기 기능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편집하실 때에는 ‘저장’ 단추 옆에 있는 ‘미리보기’ 단추를 이용해, 바르게 편집 되었는지 다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기능을 활용하면, 기여 회수가 줄어들어 문서의 ‘역사’를 확인하기가 편해지며, ‘최근 바뀜’이 불필요한 편집으로 채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Nuevo Paso 2008년 3월 9일 (일) 18:14 (KST) 환영합니다역사 전공중인 대학생입니다. 91년생이면 이제 막 고등학생이 되셨을 텐데, 앞으로도 역사에 대한 꾸준한 관심으로 역사 전공 대학생이 되었으면 합니다. 그럼 열공, 즐위하세여!! adidas 2008년 3월 11일 (화) 10:12 (KST) 안녕하세요관련 전공 대학생이랍니다 :) 번역 열심히 같이 해보아요vozdepaz 진 삼국무쌍 답변네. 안녕하세요. 저도 같은 진삼 매니아를 만나서 기쁘네요. 질문하신 내용은 잘 보았습니다. 일단 문서의 제목은 그대로 두는 걸로 하는게 좋겠습니다. 그러나 문서에 다른 뜻 설정으로 PS2용 진삼(1)과 PSP용 진삼(1)을 따로 표시해 두는 것이 좋겠습니다. 편집은 일단 해두겠습니다. 더 의논하실 내용있으시면 알려주세요. 앞으로 같은 진삼 매니아 끼리 잘 편집해봅시다. ^^ Nuevo Paso 2008년 3월 18일 (화) 17:43 (KST) Re: 오랜만입니다안부 인사 감사합니다 :) 삼국지를 무척이나 좋아했고 지금도 좋아하기에 충실하게 꾸며가고 싶습니다만, 올해 들어 여러모로 바빠져 그쪽에 기여를 하고 있지는 못하고 있네요. 차후에 참고 서적들을 구해 삼국지의 내외적 측면이나 경제, 문화적 측면도 다루고 싶습니다. 일단 인물부터 채워야겠지만요;; 윤성현님도 잘 지내시는지요, LA에 계셨군요. --Hun99 2008년 3월 20일 (목) 11:25 (KST)
시간 되세요?제가 한국 시간으로 10시 30분에서 12시 30분 까지 과외가 있는데 한국시간으로 오후 12시 30분 이후에 사용자:이형주/번역장 1번역 가능하세요? 미국시간을 몰라서 죄송합니다.--A. W. Roland 2008년 3월 22일 (토) 10:18 (KST) 지금 됩니다.사용자:이형주/번역장 1 번역합시다.--A. W. Roland 2008년 3월 22일 (토) 12:42 (KST)
함부로 정확한 근거도 없이 수정하지마십시오."틀:중국사"를 계속 정확한 근거도 없이 수정하시는데 수정을 하려면 근거 한글문법규정을 작성하고 수정하십시오. 근거도 작성안하시고 자신의 주관적인 한글법칙에 따라서 수정하시는데 정확한 규정부터 아시고 수정을 하시란말입니다. 계속 옳게 바로잡으면 문법에 어긋나게 수정하지 마십시오. "춘추 전국 시대" 또한 "춘추전국시대"로 표기하는것이 옳습니다. 프로필을 보니 미국에 거주하시는 학생분이신것 같은데 한글 문법에는 "합성어란것이 존재합니다." 어떠한 단어와 어떠한 단어가 합성어가 될경우 붙여쓰기로 표기한단말입니다. 정확히 아시고 수정하십시오. 이전에도 충분히 이해가 가시도록 글로 설명을 드렸는데 계속이러시니 매우 불쾌하군요.--Kim Kyung Min 2008년 3월 23일 (일) 14:45 (KST)
유럽사제가 도움이 된다면 도와드리겠습니다. ^^ --초코벌레 2008년 3월 23일 (일) 22:46 (KST)
번역 가능하세요지금 시간되시면 사용자:이형주/번역장 1 번역 가능하세요? 귀찮으시면 않하셔도 됩니다.--A. W. Roland 2008년 3월 24일 (월) 14:56 (KST)
왜 세세한 것을 일일이 편집하시는지..?중국 명대의 황제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가령 굵은 글씨 해논것은 해제하고 링크 걸어논 것은 해제하고, 그것도 제 글에 일일이 다 ..... 그리고 홍치제는 주우탱 이랍니다.. 그 한자는 잘 사용되어지지 않지만 독음은 탱이라고 하더군요..... 아니라면 나중에 수정하겠습니다. 어쨌든 글에 관심을 갖아주어 감사합니다. 좋은하루되세요 --Sinnna 2008년 3월 27일(목) 17:26 (KST) 역사 포털 참가 대환영합니다.사실 제가 역사 포털 준비만 해놓았을 뿐 딱히 구체적인 안에 대해서는 정한것 조차 없었습니다. 지금 제가 비록 수능으로 국사 과목을 준비하고 있습니다만 그 부분에 국한된 지식을 갖고 있을 뿐더러 세계사는 공부를 하다가 중간에 손을 놓아서 말 그대로 상식선에서만 아는 수준입니다......; 그것도 그렇지만 사실 제가 역사 포털에 대한 제작이 축구 포털만큼 의욕이 치솟지는 않아서 언제 작업할지도 확실치도 않았습니다.(사실 축구 포털도 축구가 좋아서 제작한 것도 있지만, 포털 구성의 시발점 측면에서 제작한 부분이 큽니다) 윤성현님의 참여를 적극 환영하면서... 그나저나 포털 페이지는 어디다 두는게 좋을까요? 지금 제 상황으로 볼 때에는 윤성현님이 주도적으로 참가하실 가능성이 큰데 그럼 사용자:윤성현/역사 포털에 페이지를 마련하고 사용자:BongGon/역사 포털은 넘겨주기 처리할까요? BongGon 2008년 4월 3일 (목) 17:28 (KST)
통화 반스타 증정
알찬 글 관련현재 위키백과 알찬 글이 별로 없는 관계로 다른 포털처럼 그냥 임의대로 관련 문서들 중 조금 잘 되었다 싶은 문서들을 임의적으로 일찬 글로 선정하는게 나을 것 같습니다. 물론 축구 프로젝트는 조금 특수하게도 위키백과 알찬 글이 3개나 있어서 그 문서들을 토대로 할 수 있었지만... 그리고 제가 원래 했어야 하는 작업인데 요새 다른 곳에 관심을 많이 두는 관계로 제가 별 도움이 되지를 못하네요... 죄송합니다. 그래도 질문할 거 있으심 질문 와주시고, 그리고 생각나는 대로 도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BongGon 2008년 4월 13일 (일) 13:46 (KST) 이 참에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역사를 설립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여태까지 역사 하위 프로젝트들은 있었으나 이를 총괄할 역사 프로젝트가 없었던 것이 사실입니다. 역사 포털을 만드는 김에 이를 포괄하는 역사 프로젝트를 만들어봤으면 합니다. 역사 프로젝트의 경우 고정 기여자분들도 몇몇 계셔서 프로젝트 제안을 하면 사람도 쉽게 모이고 활동량도 어느정도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에 제안을...해볼까요? (제가 할까요, 아님 윤성현님께서...) BongGon 2008년 4월 13일 (일) 21:22 (KST) 활동량당장 프로젝트가 개설되더라도 제가 많은 힘을 도와드리지는 못할 것 같습니다. 사실 제가 이 나이에 위키백과에나 접속하는게...... 속된 말로 미친거긴 하지요. 그래서 오늘부로 다짐을 좀 해보았습니다. 내일(월요일이니 벌써 오늘이네요)부터는 위키백과 접속을 정말로 최소화하기로 했습니다. 평일에는 그냥 최근 바뀜 등의 관리차 10분 정도만 접속하기로 했고 주말에도 이미 시작한 작업이 아니면 다 때려치우고 1시간 이내의 접속을 하기로 했습니다. 그런 연유로 제가 1년동안 공을 들여온 축구 프로젝트 기여도 시작한 것 빼놓고는 더이상 손대지 않을 참입니다. 그래서 역사 프로젝트에는 개설 이후에 큰 힘이 되어드리지 못할 것 같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에서 자유롭게 공부하고 계실 윤성현님이 참 부럽게 느껴집니다. BongGon 2008년 4월 14일 (월) 01:13 (KST) 위키프로젝트 역사가 개설되었습니다.:) -- 66 Quotation Marks. 99 2008년 4월 15일 (화) 18:59 (KST) 역사 포털이달의 인물 항목을 수동에서 자동으로 고쳤습니다. :)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08년 4월 15일 (화) 22:32 (KST) 역사 반스타
삼국지 프로젝트틀:삼국지 프로젝트에 배너를 만들었습니다. 나중에 삼국지 관련 기여를 하실 때 토론창에다가 배너를 넣으시면 됩니다 :) --Hun99 2008년 4월 18일 (금) 01:45 (KST) 다이애나Princess Diana 관련 편집에서 토론 페이지를 참조하셨는지요? http://www.uk.or.kr/new/print.html?uid=16243&mid=m02_01&lang=k&PHPSESSID=51b0bd6ee07a9ea74f9ad8037c555e78 왕세자빈이라 주장하시는 근거를 부탁드립니다. --Alfpooh 2008년 4월 30일 (수) 10:16 (KST)
이건과는 별도로 윤성현님의 토론 태도에 대해 송구스럽지만 몇가지 충고와 부탁의 말씀을 드립니다.
위키프로젝트 삼국지 참가자 틀을 만들었습니다.위키프로젝트 삼국지 참가자 배너를 만들었습니다. 틀:위키프로젝트 삼국지 참가자입니다.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6THSSENSE 2008년 5월 2일 (금) 21:21 (KST) 윤성현님죄송하지만 제가 지금 사용자:이형주/콩고 프랑을 번역하고 있는데 잘 안되는 부분이 있어서 요청하는 데 조금 도와주실수 있으세요.(특히 문장중에 carrying the name 라는 것이 특히 그렇습니다.)--A. W. Roland 2008년 5월 8일 (목) 12:44 (KST) 동명이인 문서항상 좋은 기여 수고 많으십니다. 유정현 문서를 이동한 후 동음이의 문서로 만들어주셔서, 조선 시대 문서에서 아나운서 유정현을 가리키던 잘못된 링크가 많이 수정되었습니다. 다만 역링크 확인을 안하셔서 많은 문서가 동음이의 문서를 가리키게 되었네요. 이번에는 제가 확인해서 수정해드렸으니 다음번에는 동음이의 문서를 만드실 때 가리키는 링크를 확인하시고 뒷처리를 해주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동음이의 문서를 만드는 사용자가 그 분야에 대해서 가장 잘 알기 때문에 disambiguate 처리가 쉽지 않을까 합니다. 감사합니다. -- 록 2008년 5월 11일 (일) 03:40 (KST) 지금 시작해도 될까요?(화폐 프로젝트)제가 한국시간으로 오전 11시쯤 어디 가지만 잠시라도 같이 할수 있나요?--A. W. Roland (토론) 2008년 6월 7일 (토) 09:55 (KST) 시작합시다.--A. W. Roland (토론) 2008년 6월 14일 (토) 12:29 (KST) 박명수 관련박명수 (희극인)을 왜 복사 붙여넣기로 이동을 하신건지 궁금합니다. 덕분에 문서 역사가 꼬여서 이동도 힘들어졌습니다. --WhiteNight7(T/C/L) 2008년 6월 15일 (일) 10:51 (KST) 나루히토와 마사코 부부나루히토 친왕과 마사코 친왕비에 대해 명칭변경을 다시 바꿔놓았습니다. 먼저 옮긴이유는 토론없이 편집하셨기에 일단 다시 옮깁니다. 정확한 명칭이 있는데 근거없는 황태자,황태자비라는 명칭은 어디서 나온것인지요? 일본을 존중하는 것도 아닌듯 하고 반일적인것도 아니고 대단히 그 의도가 불분명합니다. 일단 토론에 윤성현님의 주장을 써서 참여하시길 부탁드립니다. --Alfpooh (토론) 2008년 6월 23일 (월) 17:49 (KST) 윤성현님께아시다시피 수빈 박씨할 때 수는 편안할 수(綏)를 씁니다. 어찌보면 당연한 사실이지만 수빈이라고 한글로 적힌 기록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그런데 수빈 박씨의 가문인 반남 박씨 홈페이지에 있는 모 글을 읽으니 순조시대에 수빈 박씨의 죽음을 애도하는 진향문 한글 문서에 '현목 유빈'이라고 한글로 적혀 있더군요(아시다시피 '현목'은 수빈 박씨의 시호죠). 알고보니 편안할 수가 깃머리 날릴 유로도 읽힌다고 합니다. 설마하니 왕의 어머니 빈호를 잘못 쓰지는 않았을테고, 또 흔히 읽히는 편안할 수를 놔두고 생소한 한자인 깃머리 날릴 유로 발음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바로 원래부터 '유빈'이라고 발음했던 것이지요. 흔히 보면 '수빈'이라고 잘못 발음하는데 하루 빨리 시정되어야 할것입니다. 앞으로는 '유빈'이라고 발음하는 게 옳을 듯 합니다. 윤성현 님은 계속 수빈이라고 쓰여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써전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포털 관련윤성현님이 포털 만들고 계시더군요. 그래서 물어보는데 사용자:이형주/화폐 포털과 사용자:이형주/유럽 연합 포털좀 도와주실수 있으세요?(특히 유럽 연합 포털...)--A. W. Roland (토론) 2008년 6월 28일 (토) 14:31 (KST) 윤성현 님께유빈 박씨 문제나 정조의 이름 문제는 현대에 와서 한자가 변한 것이 아니라 한자 하나에 여러가지의 뜻과 음이 있다보니 생긴 오류라고 생각합니다. 정조의 이름도 현대에서 흔히 익히는 셀 산으로 발음했으나 그 시대에 어명으로 쓰여진 옥편에 살필 성으로 되어 있고, 어휘(왕의 이름)라고 적혀 있으니 그의 이름을 성이라고 하는 것이 백번 옳은 일이겠죠. 그래서 전 수빈 박씨라 발음하는 것이 잘못됐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쓴다고 해서 잘못된 것을 바로잡지 않을 수 없는 노릇이죠. 옛날 발음과 다 똑같이 할 수는 없는 일이지만 적어도 이름이나 호칭같은 것은 선조들의 발음을 따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진향문을 보건대 분명히 그 시절에 유빈이라고 발음되어졌을 것입니다. 옳은 예가 아닌 지도 모르겠으나 후대에서 윤성현 님의 이름의 발음을 엉뚱하게 바꿔부른다고 생각해보세요. 기분이 어떠실 것 같나요? 정조의 이름이나 유빈 박씨의 빈호 문제가 중요한 이유가 바로 그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현대에 와서 분명히 잘못 발음되고 있다는 사실이 여지없이 드러났으니 많은 국민들이 사용하는 위키백과에서라도 그 사실을 알리고 바꿔나가는 것이 옳은 일이라 여겨집니다. 윤성현 님의 생각을 듣고 싶군요.--써전 (토론) 2008년 6월 28일 (토) 19:41 (KST)
윤성현 님께--써전 (토론) 2008년 6월 29일 (일) 14:04 (KST) 그렇다면 조선 정조나 순조 문서에 있는 수빈 박씨를 가순궁 박씨로 고치는 게 최선의 방법같군요. 제 의견에 동의하십니까?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