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기 이후 복구토론에서 {{복구 토론}}을 달고 관리자가 초안 이름공간에서 내용을 되살리는 방식이 정착하였고, 삭제 토론에서는 장기인증된 사용자가 삭제 토론을 종결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다만 위 토론의 사례에서 보듯 GTX1060님도 장기인증된 사용자로 초안화가 가능한 부분인데, 아무래도 User_group 변수를 sysop으로만 설정하는 게 좋을지에 관해 여쭤 보고, 편집 필터를 수정하는 것에 대한 의견을 묻기 위해 사용자 토론을 찾았습니다.
공개된 필터이니 사랑방에서 의견을 물어야 하나 싶지만, 현재 사랑방에서 일반 사용자들이 기술적 이해 없이도 참여할 수 있고 논의를 필요로 하는 다른 논의가 더 많아 해당 논의들에 대한 집중도가 낮아질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되어 사랑방에 따로 의견을 남기기보다는 일단 해당 필터를 생성하신 Ted님께 의견을 묻고자 합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18:30 (KST)답변
안녕하세요, 각 관리자는 저마다 주로 관리하는 영역이 있으며 저는 삭제 신청이 아닌 삭제 제안에는 관심을 두지 않습니다. 저는 긴급 사항을 제외하고는 관리 요청을 개인적으로 받지 않습니다. 관리자 알림판 또는 다른 관리자에 문의를 부탁립니다. --ted (토론) 2025년 1월 14일 (화) 15:59 (KST)답변
@Heiliges: 답이 늦었습니다. 해당 파일의 코덱은 Ogg(과거부터 주로 소리 목적으로 사용하나, Ogg Theora를 사용하는 경우 동영상을 지원)이며 해당 파일을 직접 다운로드하여 플레이어로 재생해 보면 동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만, 크롬 데스크톱을 사용하신다는 가정 하에 보안 상의 이유로 2024년에 Ogg Theora의 지원이 제거되어 동영상을 보실 수는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1] 스킨이나 설정 외에 사용 중이신 플랫폼, 브라우저 등을 알려주시면 더 정확한 답변이 가능하며, 공동체와 함께 해결책이나 추가 논의가 필요하시다면 기술 사랑방에서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ted (토론) 2025년 2월 10일 (월) 07:21 (KST)답변
그렇다면 저의 잘못이 아닙니다. 저의 마지막 편집은 어제가 아닌 1월 26일입니다. 요즘 IP 사용자와 일반 사용자의 여러 기술 편집이 증가하고 있어 해당 원인일 수도 있고, 다른 시스템적 변화에 따른 것일 수도 있습니다. 문제의 근본 원인을 찾는데 도움을 주시면 좋겠으며, 이 사적 공간에서는 문제를 환기시키기 어려우니 기술 사랑방에서 논의하는 것도 고려해 주시기 바랍니다. --ted (토론) 2025년 2월 14일 (금) 17:34 (KST)답변
해당 봇의 같이 보기 삽입이 영어판 See also 문단을 근거로 이뤄지는 걸까요? 저는 두 주제가 연관이 있다는 근거를 찾을 수 없었습니다. 영어판을 기준으로 자동 삽입되는 것이라면, 제가 지우는 걸로는 소용이 없지 않나 해서 먼저 질문 드립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2월 17일 (월) 08:14 (KST)답변
해당 토론은 당시 Nt님의 의견이 올라 온 시점에서 확인을 한 상태이고, 오작동 관련해서 여쭤 보는 것은 아닙니다. 근거를 어디서 받아 오는지, 만약 틀렸다고 판단해서 지우면 봇이 다시 추가하는 건지 잘 모르겠어서 먼저 여쭤 보고 제거하려고 했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2월 17일 (월) 09:23 (KST)답변
그렇군요, 상세 설명을 해주신 덕분에 질문을 이제 명확히 이해했습니다. 참조 장소는 영어 위키백과(같이 보기 링크 확인용)와 위키데이터(한국어 위키백과 문서 존재 여부 검색용)이며, 봇이 해당 문단을 다시 추가할 계획은 현재로써는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ted (토론) 2025년 2월 17일 (월) 10:20 (KST)답변
제안 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당 틀을 하단의 어느 곳에 배치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하시나요? 편집 지침에 따르면 토막글 틀, 분류의 배치가 최하단에 와야 한다고 되어 있으므로 토막글 틀 위 또는 (토막글 틀이 없는 경우) 분류 위에 배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겠습니다. 아니면 편집기에서 해당 틀 표시 스타일을 바꾸어 빈 공간의 여백을 최소화하는 것도 고민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ted (토론) 2025년 2월 25일 (화) 09:18 (KST)답변
분류 위 가장 최하단은 아니지만 정확히 최대한 아래로 내리는 것을 고민 중입니다. 이는 귀하의 기대에는 부합합니다. 검토에는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삭제할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라고 확답하시면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틀을 사용하기로 한 기존 공동체의 총의를 반대하시는 것인데 제가 어떻게 답변드려야 할까요? 기존 규정을 위반하지 않는 선에서 처리하려는 것이니 기다려 주세요. --ted (토론) 2025년 3월 2일 (일) 07:49 (KST)답변
네, Jeebeen님 말씀대로 생각을 정리해서 사랑방에 올려서 의견을 물어볼 예정이었습니다. 해당 내용은 크게 기술적인 내용은 아니기 때문에 일반 사랑방에 올리는 게 나을 수도 있습니다. 통상적으로는 그냥 의견을 내세우면 토론이 산으로 가는 경우가 있으므로 먼저 근거를 정리 중입니다. ('검토'라는 표현은 이에 근거합니다) +추가 의견: 생각을 좀 더 해봤는데, 틀토론:위키데이터 속성 추적에 의견 요청을 거는 방식으로 진행하려고 합니다. 사랑방에서 총의를 모으는 것에 대한 부정적 의견이 있다든지 관련 논의가 현재 진행 중인 것은 차치해 두고라도, 원활한 이력 관리를 위해서는 이 방법이 더 나아보이네요. --ted (토론) 2025년 3월 2일 (일) 09:23 (KST)답변
귀하께서 지금 {{음반 정보}} 틀을 망가트렸다는 사실은 인지하고 계신가요? 예를 들면 이전에 동작했던 recorded 변수는 귀하의 기여로 인해 동작하지 않습니다. 영어 위키백과 변수를 임의로 삭제하지 마십시오. 이 상태에서 음반 정보 틀과 관련한 봇 편집을 당당히 요청하시는 것이 타당한지가 의문입니다. 봇 편집 요청 이전에 귀하께서 en:Template:Infobox album의 원본을 참고하여 귀하께서 잘못하신 기여부터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ted (토론) 2025년 3월 20일 (목) 08:47 (KST)답변
음반 정보 틀을 확인해 본 결과 제 기여(특수:차이/23397352)가 별다른 소통 없이 삭제된 것을 뒤늦게 확인합니다. 그리고 해당 틀에 대해 태현 정님과의 편집 분쟁이 확인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봇을 통해 변수 수정은 저는 우선 지양하려고 합니다. 다른 영어 변수와 호환이 될 수 있게 틀 정상화가 필요하며(실제로 영어 변수 그대로 쓴 용례가 많습니다) 이 부분부터 정리를 부탁드리겠습니다. --ted (토론) 2025년 3월 20일 (목) 08:57 (KST)답변
틀이 뭔가 정상 동작하지 않는 부분이 더 있는 것 같으니, 기여 이후로 발생된 문제를 전반적으로 다시 살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음반 정보의 "핵심"인 released 변수가 정상 동작하지 않는 상황입니다. 지금 이 틀 내용을 모두 살펴볼 여력이 없음에 양해를 구합니다. --ted (토론) 2025년 3월 20일 (목) 09:09 (KST)답변
예시는 cite web을 들어주셨더라도 제게 봇 의뢰 요청을 해주셨고, 봇 편집 요청의 귀하의 사용자 이름("Camilasdandelions")과 일치하는 요청이 음반 정보 틀 관련 요청이었습니다. 요청을 하실 때에는 구체적으로 해주셔야 다른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습니다. --ted (토론) 2025년 3월 20일 (목) 08:53 (KST)답변
공격적인 어투로 받아들였다면 사과드립니다. 통일성을 가져간다는 부분에서 귀하의 봇 편집 요청은 긍정적으로 생각합니다. 다만, 요청이 1개월 이상씩 지연되는 것에 대해서는 각자의 사정이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저 또한 소속 직원이 아닌 귀하와 동일한, 시간을 쪼개어 기여하는 자발적인 기여자(봉사자)임을 인지해 주세요. 일반적으로는 여러 개의 변수를 허용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한 이상 긴급한 사항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다만, 해당 편집을 통해 통일성을 가져간다면 다른 사용자가 편집을 하기에 가시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ted (토론) 2025년 3월 20일 (목) 09:10 (KST)답변
기술 부채, 관리(사용자/문서/봇) 문제와 관련하여, 본 사용자토론에서 개인적인 요청은 최대한 긴급 사항에 대해서만 받겠다고 말씀드려왔으나, 이제부터는 저의 잘못으로 인한 기여를 제외하고는 이곳 사용자토론을 통해 아예 개인 요청을 받지 않음을 선언합니다. 저는 위키백과 담당 소속 직원이 아니며 여러분처럼 자발적인 봉사자이고 개인사가 있습니다. 이메일을 포함한 다른 경로를 통해서도 마찬가지이며, 각종 채널을 통해 문제 해결을 재촉하지 말아주십시오. 특히 메신저(예: 카톡)를 경유한 요청의 경우 새벽 시간대에 개인 호출은 피해 주세요. 질문방, 기술 사랑방, 관리 요청을 포함하여 알맞은 장소가 마련되어 있으니 최대한 그런 장소를 이용해 주세요. 부디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할 수 있게 도와주세요. 개인적인 요청("OO가 안 돼요" 포함)의 경우 웬만하면 처리해드렸지만 이젠 안 합니다. 공개적인 장소에 올려주시면 처리 가능한 사항은 제가 시간이 될 때 알아서 답변하고 도와드리겠습니다. --ted (토론) 2025년 3월 24일 (월) 09:13 (KST)답변
I hope this message finds you well! My name is Uzoma, and I am a Movement Communications Specialist with the Wikimedia Foundation. I'm contacting you because of your valuable role as an interface admin for Korean Wikipedia.
We are excited to share that the Web team will soon be rolling out the Dark Mode feature for logged-out users across several Wikipedias! To ensure that it is enabled for all users in your Wikipedia, we've identified a few color contrast issues on some pages that don't align with our recommendations for night mode compatibility.
Please read this page and follow the steps provided to help you sort out the errors in preparation for the enablement. Your efforts in addressing the issues will significantly enhance the user experience for those who prefer Dark Mode.
If you have any questions or need assistance doing the required, please don't hesitate to reach out to the Web team here. We're here to support you!
I appreciate your dedication to your work as an interface admin, and we look forward to having Dark mode available for everyone in your Wikipedia.
안녕하세요 Ykhwong, 제 글에서 어떤 부분이 거절되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이 회사에 대한 내용을 몇 가지 언어로 작성했으며, 모두 승인되었습니다. 제가 놓친 부분이 있다면 피드백을 부탁드립니다. 피드백을 주시면 제 콘텐츠 개선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이 의견은 Jodysetiawan23님이 작성하였으나, 서명을 하지 않아 2025년 4월 17일 (목) 13:36 (KST)에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길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답변
등재 기준을 충족하거나 등재의 주목할 만한 중요 가치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특히 역사 문단의 전반적인 내용의 전반부와 후반부가 대체로 광고성입니다. 해당 내용이 독자에게 왜 중요한가요? 대체로 다른 사용자가 공유한 en:Draft:Airpaz의 의견과 일치합니다. 다른 언어의 위키백과에서 승인이 되었다는 주장은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등재가 가능하다는 절대적 척도가 될 수는 없습니다. 또한, 위키백과:이해관계의 충돌도 읽어주세요. 위키백과는 이해관계에 따른 편집을 강하게 지양합니다. 귀하께서는 en:User:Jodysetiawan23에서 밝혀 주셨듯이 Airpaz와 직간접적인 이해관계자이기 때문에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해당 주제와 관련한 글을 작성하는 것을 장려하지 않습니다. 저든 누구든, 어떤 사용자이든 간에 특정 주제의 이해관계자일 경우 아무리 일정 수준 노력을 하더라도 이해관계의 주제에 관해 중립적으로 내용을 작성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귀하께서 Airpaz 문서를 작성하지 않으시더라도 나중에 해당 주제가 자연스럽게 잘 알려지고 유명해지면 이해관계가 없는 다른 누군가가 대신 작성해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상입니다. --ted (토론) 2025년 4월 18일 (금) 07:19 (KST)답변
지난 4월 26일, 위키푸디 관련 위키백과 문서가 삭제되었습니다. 해당 문서는 이전에도 여러 차례 다양한 분들의 피드백을 반영해 수정·보완하여 작성한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삭제되어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
위키푸디는 월 1,000만 뷰 이상의 트래픽을 기록하는 언론사이며, 국내에서도 음식 분야에서 손에 꼽힐 정도로 많은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는 매체입니다. 그러나 저희보다 트래픽이 낮은 다른 매체들은 정상적으로 등재되어 있는 반면, 유독 위키푸디만 반복적으로 삭제되는 상황에 대해 형평성에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답변이 늦었습니다. 4월 26일에 광고나 홍보를 목적으로 작성되었다는 이유로 다른 사용자에 의해 삭제 신청이 들어온 것을 관리자가 처리하였습니다. 특히 특정 주제의 이해 관계자가 해당 주제에 대해 위키백과에 글을 작성하는 것은 위키백과에서 강하게 지양합니다. 위키백과:이해관계의 충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광고 여부를 떠나서 2025년 1월 이제 막 시작한 주제가 등재 기준을 충족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해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ted (토론) 2025년 4월 30일 (수) 20:49 (KST)답변
Ykhwong 안녕하세요.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만, 시작 시기를 떠나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으면 충분히 등재 기준을 충족한다고 봅니다.
꼭 시작 시기나 운영 시기가 중요한 건 아니라고 봅니다.
위키푸디의 경우 대한민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 중인 언론사입니다.
공식 홈페이지와 구글 디스커버에 노출 중인 D채널까지 더하면 월 1500만 PV가 넘습니다.
이 모든걸 3개월 만에 거둔 엄청난 성과입니다.
왠만한 10년 20년 된 일간지보다도 월등히 높은 트래픽이고 업계에서도 엄청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해 관계자는 가능하면 문서 작성을 하지 말아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다른 사용자분께서도 비슷한 일을 겪으셨는데 #기사가 거부되었습니다에서 언급되었듯이, "저든 누구든, 어떤 사용자이든 간에 특정 주제의 이해관계자일 경우 아무리 일정 수준 노력을 하더라도 이해관계의 주제에 관해 중립적으로 내용을 작성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라는 글을 남긴 적이 있습니다. 이는 바로 위에 말씀을 드렸듯이 규정입니다. 그리고 복구 요청은 위키백과:복구 토론에서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면 공동체가 관심을 갖고 타당성을 검토할 것입니다. --ted (토론) 2025년 5월 1일 (목) 06:59 (KST)답변
#기술 부채와 관리도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해당 삭제에 대한 일은 완료된 사항이며, 저만이 해당 문제를 다룰 수 있는 유일한 사용자가 아니며, 귀하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복구에 대한 타당성을 개인적으로 식별하지 못했으며, 이제는 추가로 개인적인 요청은 받지 않겠습니다. 재촉하지 마십시오. --ted (토론) 2025년 5월 1일 (목) 07:00 (KST)답변
결론적으로 영어 위키백과(en:Module:Date)와 동일한 모듈(모듈:Date3 별도 생성)에 접근하도록 하여 문제는 해결된 상태입니다. 그렇게 한 이유를 말씀드리자면, 실질적인 문제의 원인은 모듈:Date에 있습니다. 한국어 위키백과의 독자적인 방식으로 작성된 모듈:Date로 인한 것이며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해당 모듈을 작성하신 분께 문의해야 할 사항으로 비쳐집니다. 이 모듈을 수정하지 않은 이유는 해당 모듈에 의존하는 다른 틀들이 이미 존재하기 때문이며 해당 모듈을 수정하면 또다른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 그렇게 하지는 않았습니다. 이력 유지를 위해 '추가' 논의는 이곳이 아닌, 기술 사랑방에서 진행하실 것을 권고드립니다. --ted (토론) 2025년 5월 1일 (목) 07:07 (KST)답변
안녕하세요. 저는 5월 10일 학교 과제 목적으로 과제 틀과 번역 틀을 사용하여 영어 문서를 한국어로 번역(딥페이크 문서)해서 게시했습니다. 그런데 오늘 다시 확인하니 제가 올린 글이 관리자님에 의해 삭제가 되어 있어 삭제 복구 요청드립니다. 만약 불가피하게 삭제된 경우라면, 삭제된 이유를 알려주시면 그에 맞게 수정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4099889심현지 (토론) 2025년 5월 11일 (일) 18:33 (KST)답변
아, 말씀하신 바는 이해했습니다. 하지만 고전을 공부하는 철학도들이 원문을 볼 수 없다는건 좀 아리송합니다. 올린 글은 우리 조상들이 보았던 한문들인데 그걸 한국어가 아니다, 라고 하는건 좀 안타깝습니다. 그럼 조선시대 무수한 글들도 다 올릴 수 없다는 뜻인가요? 그것들도 다 한문인데? Jazzandwine (토론) 2025년 5월 14일 (수) 20:52 (KST)답변
안녕하세요. 얼마 전에 경주월드에 있는 놀이기구 중 하나인 '급류타기'에 관한 문서가 일반 문서와 초안 문서로 각자 따로 개설되어 있는데, 제목과 내용이 거의 동일한 문서들입니다. 두 문서 중 어떤 것을 존치하는 것이 좋겠습니까? 혹여 제가 삭제 신청을 올리면 잘못된 삭제 신청으로 제재 받을 것이 우려되어 관리자의 의견을 듣고자 합니다.
현재 역사만 보면 초안 문서보다 일반 문서가 먼저 작성되었기 때문에 일반 문서를 삭제할 당위성이 없으며, 초안 문서는 이 상태 그대로 두시면 나중에 알아서 삭제됩니다. 이 상태 그대로 두시면 됩니다. 그리고 삭제 신청은 누구나 할 수 있고, 잘못된 삭제 신청이면 관리자가 반려하기 때문에 제재를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ted (토론) 2025년 5월 16일 (금) 19:24 (KST)답변
위키푸디 문서는 위키백과:문서 등재 기준을 충실히 충족합니다.
Ykhwong 사용자께서도 22일 전에 언급하신 바와 같이, '위키푸디'는 다수의 독립적 언론 매체에서 보도된 사례가 있습니다.
이는 해당 주제가 공적 관심을 받고 있으며, 등재 요건인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 의한 독립적 보도를 충분히 만족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뉴스 포털에서의 검색 결과를 통해 관련 보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단순한 자기 홍보를 넘어 백과사전 등재 가치가 충분한 주제라는 유력한 근거가 됩니다.
※ 외부 링크 삽입은 편집 필터 오동작 우려로 생략합니다. "위키푸디"로 뉴스 검색해 주시기 바랍니다.
2. 문서 작성 방식 및 지침 준수
해당 문서는 위키백과의 편집 지침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광고성 표현이나 주관적 주장 없이 객관적인 출처와 사실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복적으로 ‘홍보’라는 모호한 사유만으로 삭제 신청이 이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3. 특정 사용자에 의한 반복적 삭제 신청 문제
현재 특정 사용자가 동일 사용자의 기여 문서만을 집중적으로 삭제 신청하고 있는 정황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이는 위키백과:예의, 위키백과:편집 전쟁, 위키백과:괴롭힘에 위반되는 선택적 타겟팅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위키백과 공동체의 건전한 운영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 삭제보다는 개선이 바람직
삭제 신청보다는 문서의 개선을 통해 백과사전으로서의 품질 향상을 도모하는 방향이 보다 생산적이라고 판단합니다.
위키푸디는 앞으로도 공적 관심을 지속적으로 받을 가능성이 높으며,
내용 보완과 출처 강화 등으로 충분히 발전 가능한 문서입니다.
5. 형평성 문제
참고로 픽데일리 문서는 위키푸디와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작성되었으나,
해당 문서에 대해서는 삭제 신청이 제기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위키백과 내부의 형평성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며,
동일 기준에 따라 문서가 평가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속적으로 수많은 사용자에 의해 삭제 요청이 들어오고 있으며, 다수의 관리자에 의해 대응 후 판단, 삭제 처리되었습니다. 삭제 신청 틀의 페이지에서 {{삭제 신청 이의}} 틀을 부착하라고 명시되어 있으므로 {{삭제 신청}} 틀을 제거하는 것이 아닌, 삭제 신청 이의 틀을 부착하는 절차를 따라서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문서 작성자가 자신이 작성한 문서에 대해 삭제 신청 틀을 제거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이 내용 또한 삭제 신청 화면을 보시면 언급되어 있습니다) 해당 문서의 삭제에 기여한 모든 관리자에게 전반적인 이슈를 알리고자 한다면 이곳 개인 사용자토론이 아닌 위키백과:관리자 알림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ted (토론) 2025년 5월 23일 (금) 22:55 (KST)답변
전거 통제 모듈의 관리는 현재 제가 하지 않고 있습니다. 해당 모듈의 로직이 오래되어 현재 위키데이터 구성과 불일치하는 부분이 있는 등 전반적으로 최신화가 필요합니다. 해당 분류뿐 아니라 설명문서도 깨져있는 상황입니다. --ted (토론) 2025년 6월 5일 (목) 09:53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