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미겔데투쿠만 San Miguel de Tucumán |
---|
|
휘장
| |
|
|
국가 | 아르헨티나 |
---|
행정 구역 | 투쿠만주 |
---|
|
면적 | 90 km2 |
---|
해발 | 431 m |
---|
시간대 | UTC−3 (ART) |
---|
|
인구 | 605,767명(2020년) |
---|
인구 밀도 | 6,656.88명/km2 |
---|
광역 인구 | 1,030,526명 |
---|
|
우편번호 | T4000 |
---|
지역번호 | 0381 |
---|
웹사이트 | (스페인어) 공식 웹사이트 |
---|
산 미겔 데 투쿠만(San Miguel de Tucumán) (간단하게 투쿠만이라고 한다.)은 아르헨티나 투쿠만주의 주도이자, 북 아르헨티나 최대의 도시로, 2001년 인구조사에서 527,607명의 인구를 기록하였다. 메트로 폴리탄 지역은 830,000명의 인구가 상주하며, 이것은 아르헨티나에서도 5번째 규모에 속하는 것이다. 1565년 스페인 정복자인 디에고 데 비야로엘이 페루에서 탐사를 하는 동안 발견하며, 1685년 현재의 위치로 이주를 하였다.
역사
1562년 스페인인 정복자 디에고 데 비야로엘 (Diego de Villarroel)이 페루에서 원정을 올 때 마을을 창설했다. 1685년에 마을은 현재의 장소에 옮겨졌다. 독립 운동의 시기에는 투 쿠먼은 국민의회가 이곳에서 개최되었다. 1816년 7월 9일에는 리오 데 라 프라타 연합주의 독립이 선언되었다.
지리
온난 기후로, 안데스산맥에서 관개 용수를 이용한 사탕수수 생산의 거점이며, 아르헨티나의 설탕의 70%을 생산한다. 철도, 도로의 요지이며, 섬유나 전자기기와 같은 공업도 발달되었다. 아르헨티나 북부의 핵심 지역 중 하나이다. 주변 도시로는 약 200 km 남서의 도카타마르카 주, 140 km 남동쪽의 도산티아고 델 에스테로 등이 있다.
기후
서늘한 겨울을 가지고 있는 아열대성 기후이다. 여름은 무덥지만, 고산기후의 특성상 팜파스에서 차가운 바람이 불어온다.
전반적인 날씨는 따듯하고, 비가 많아 연간 800~1000mm의 비가 내린다. 봄가을은 따듯하고 시원한 바람이 남쪽에서 불어온다. 이때의 평균 기온은 25 °C이며, 여름에는 40 °C까지 올라갔다가 겨울에는 10 °C까지 떨어진다.
1565년 이후로 1920년에 한번 눈이 도시를 뒤덮은 적이 있을 정도로 눈은 오지 않는다.
산미겔데투쿠만의 기후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역대 최고 기온 °C (°F)
|
42.2 (108.0)
|
41.7 (107.1)
|
39.0 (102.2)
|
35.6 (96.1)
|
34.1 (93.4)
|
29.5 (85.1)
|
39.3 (102.7)
|
39.2 (102.6)
|
41.8 (107.2)
|
45.0 (113.0)
|
44.8 (112.6)
|
44.0 (111.2)
|
45.0 (113.0)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31.3 (88.3)
|
29.7 (85.5)
|
27.9 (82.2)
|
24.9 (76.8)
|
21.4 (70.5)
|
19.0 (66.2)
|
19.4 (66.9)
|
23.3 (73.9)
|
26.3 (79.3)
|
28.9 (84.0)
|
30.3 (86.5)
|
31.3 (88.3)
|
26.1 (79.0)
|
일일 평균 기온 °C (°F)
|
25.3 (77.5)
|
24.2 (75.6)
|
22.7 (72.9)
|
19.6 (67.3)
|
15.9 (60.6)
|
13.0 (55.4)
|
12.3 (54.1)
|
15.2 (59.4)
|
18.4 (65.1)
|
21.8 (71.2)
|
23.7 (74.7)
|
25.1 (77.2)
|
19.8 (67.6)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20.3 (68.5)
|
19.7 (67.5)
|
18.5 (65.3)
|
15.5 (59.9)
|
11.8 (53.2)
|
8.5 (47.3)
|
6.9 (44.4)
|
8.7 (47.7)
|
11.5 (52.7)
|
15.4 (59.7)
|
17.7 (63.9)
|
19.5 (67.1)
|
14.5 (58.1)
|
역대 최저 기온 °C (°F)
|
11.3 (52.3)
|
10.1 (50.2)
|
7.8 (46.0)
|
3.9 (39.0)
|
0.2 (32.4)
|
−2.2 (28.0)
|
−3.0 (26.6)
|
−2.5 (27.5)
|
−0.4 (31.3)
|
2.5 (36.5)
|
4.8 (40.6)
|
9.9 (49.8)
|
−3.0 (26.6)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238.0 (9.37)
|
181.9 (7.16)
|
134.6 (5.30)
|
61.6 (2.43)
|
27.6 (1.09)
|
12.9 (0.51)
|
5.4 (0.21)
|
6.4 (0.25)
|
15.1 (0.59)
|
63.8 (2.51)
|
102.3 (4.03)
|
160.1 (6.30)
|
1,009.7 (39.75)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12.7
|
11.1
|
12.0
|
9.4
|
7.5
|
4.9
|
2.8
|
1.5
|
3.1
|
7.4
|
10.1
|
11.5
|
93.9
|
평균 강설일수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0.1
|
0.0
|
0.0
|
0.0
|
0.0
|
0.1
|
평균 상대 습도 (%)
|
73.4
|
76.9
|
80.0
|
80.2
|
79.7
|
77.6
|
69.4
|
59.2
|
55.9
|
61.0
|
65.3
|
69.1
|
70.6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229.4
|
186.5
|
173.6
|
153.0
|
145.7
|
135.0
|
186.0
|
204.6
|
198.0
|
195.3
|
213.0
|
229.4
|
2,249.5
|
평균 일일 일조시간
|
7.4
|
6.6
|
5.6
|
5.1
|
4.7
|
4.5
|
6.0
|
6.6
|
6.6
|
6.3
|
7.1
|
7.4
|
6.2
|
가능 일조율
|
52.9
|
46.2
|
45.3
|
46.8
|
44.9
|
47.5
|
60.3
|
57.0
|
55.4
|
50.7
|
50.6
|
60.0
|
51.5
|
출처: 아르헨티나 국립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61년~현재, 일조율: 1991년~2000년)[1][2][3][4][5]
|
각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