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
|
개최년도
|
대전일
|
우승 학교
|
결과
|
준우승 학교
|
비고
|
1
|
1924년
|
4월 5일
|
다카마쓰 상업(가가와)
|
2-0
|
와세다 실업(도쿄)
|
나고야시 교외의 야마모토 구장에서 개최됨
|
2
|
1925년
|
4월 5일
|
마쓰야마 상업(에히메)
|
3-2
|
다카마쓰 상업(가가와)
|
한신 고시엔 구장에서 개최
|
3
|
1926년
|
4월 5일
|
고료 중(히로시마)
|
7-0
|
마쓰모토 상업(나가노)
|
라디오 중계 시작
|
4
|
1927년
|
5월 1일
|
와카야마 중(와카야마)
|
8-3
|
고료 중(히로시마)
|
5월에 결승전 개최. 우승 학교의 미국 원정
|
5
|
1928년
|
4월 5일
|
간사이 가쿠인 중(효고)
|
2-1
|
와카야마 중(와카야마)
|
|
6
|
1929년
|
4월 4일
|
제1 신코 상업(효고)
|
3-1
|
고료 중(히로시마)
|
|
7
|
1930년
|
4월 5일
|
제1 신코 상업(효고)
|
6-1
|
마쓰야마 상업(에히메)
|
대회 첫 연패. 우승 투수는 기시모토 마사하루
|
8
|
1931년
|
4월 8일
|
히로시마 상업(히로시마)
|
2-0
|
주쿄 상업(아이치)
|
최초의 여름·봄 연패 우승 투수는 하이야마 모토하루 준우승 투수는 요시다 마사오
|
9
|
1932년
|
4월 5일
|
마쓰야마 상업(에히메)
|
1-0
|
아카시 중(효고)
|
우승 학교의 미국 원정 중단 준우승 투수는 구스모토 다모쓰
|
10
|
1933년
|
4월 13일
|
기후 상업(기후)
|
1-0
|
아카시 중(효고)
|
우승 투수는 마쓰이 에이조 준우승 투수는 구스모토 다모쓰
|
11
|
1934년
|
4월 7일
|
도호 상업(아이치)
|
2x-1
|
나니와 상업(오사카)
|
|
12
|
1935년
|
4월 7일
|
기후 상업(기후)
|
5-4
|
고료 중(히로시마)
|
우승 투수는 마쓰이 에이조
|
13
|
1936년
|
4월 6일
|
아이치 상업(아이치)
|
2x-1
|
기류 중(군마)
|
준우승 투수는 아오키 쇼이치
|
14
|
1937년
|
4월 5일
|
나니와 상업(오사카)
|
2-0
|
주쿄 상업(아이치)
|
|
15
|
1938년
|
4월 4일
|
주쿄 상업(아이치)
|
1-0
|
도호 상업(아이치)
|
여름·봄 연패. 첫 같은 현 출신의 결승전 우승 투수는 노구치 지로
|
16
|
1939년
|
4월 3일
|
도호 상업(아이치)
|
7-2
|
기후 상업(기후)
|
실황 중계가 해설에 등장
|
17
|
1940년
|
4월 2일
|
기후 상업
|
2-0
|
교토 상업(교토)
|
|
18
|
1941년
|
3월 28일
|
도호 상업(아이치)
|
5-2
|
이치노미야 중(아이치)
|
3월에 결승전 개최. 같은 현 출신의 결승전
|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대회 중지( ~ 1946년까지)
|
19
|
1947년
|
4월 7일
|
도쿠시마 상업(도쿠시마)
|
3-1
|
오구라 중(히로시마)
|
|
학제 개혁으로 인해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로 개칭
|
20
|
1948년
|
4월 6일
|
교토 1상업(교토)
|
1x-0
|
교토 2상업(교토)
|
연장 11회. 같은 현 출신의 결승전
|
21
|
1949년
|
4월 6일
|
기타노(오사카)
|
6-4
|
아시야(효고)
|
|
22
|
1950년
|
4월 8일
|
나리야마(시즈오카)
|
4-1
|
고치 상업(고치)
|
|
23
|
1951년
|
4월 9일
|
나루토(도쿠시마)
|
3x-2
|
나루오(효고)
|
|
24
|
1952년
|
4월 6일
|
시즈오카 상업(시즈오카)
|
2-0
|
나루토(도쿠시마)
|
|
25
|
1953년
|
4월 6일
|
스모토(효고)
|
4-0
|
나니와 상업(오사카)
|
|
26
|
1954년
|
4월 7일
|
이이다 오사히(나가노)
|
1-0
|
오구라(후쿠오카)
|
NHK의 TV 중계 개시. 우승 투수는 미쓰자와 다케시
|
27
|
1955년
|
4월 8일
|
나니와 상업(오사카)
|
4x-3
|
기류(군마)
|
연장 11회
|
28
|
1956년
|
4월 9일
|
주쿄 상업(아이치)
|
4-0
|
기후 상업(기후)
|
|
29
|
1957년
|
4월 7일
|
와세다 실업(도쿄)
|
5-3
|
고치 상업(고치)
|
우승 투수는 오 사다하루
|
30
|
1958년
|
4월 10일
|
세이세이(구마모토)
|
7-1
|
주쿄 상업(아이치)
|
|
31
|
1959년
|
4월 10일
|
주쿄 상업(아이치)
|
3-2
|
기후 상업(기후)
|
왕세자의 결혼 퍼레이드로 결승전 TV 중계 중단
|
32
|
1960년
|
4월 8일
|
다카마쓰 상업(가가와)
|
2x-1
|
요나고 히가시(돗토리)
|
야마구치 후지오에 의하면 끝내기 홈런 준우승 투수는 미야모토 요지로
|
33
|
1961년
|
4월 5일
|
호세이 2(가나가와)
|
4-0
|
다카마쓰 상업(가가와)
|
여름·봄 연패. 우승 투수는 시바타 이사오
|
34
|
1962년
|
4월 7일
|
사쿠신가쿠인(도치기)
|
1-0
|
니혼대학 3(도쿄)
|
우승 투수는 야기사와 소로쿠
|
35
|
1963년
|
4월 5일
|
시모노세키 상업(야마구치)
|
10-0
|
홋카이(홋카이도)
|
우승 투수는 이케나가 마사아키
|
36
|
1964년
|
4월 5일
|
도쿠시마 가이난(도쿠시마)
|
3-2
|
오노미치 상업(히로시마)
|
우승 투수는 오자키 마사시 준우승 투수는 오가와 구니카즈
|
37
|
1965년
|
4월 4일
|
오카야마 히가시 상업(오카야마)
|
2x-1
|
시립 와카야마 상업(와카야마)
|
연장 10회. 우승 투수는 히라마쓰 마사지
|
38
|
1966년
|
4월 3일
|
주쿄 상업(아이치)
|
1-0
|
도사(고치)
|
|
39
|
1967년
|
4월 7일
|
쓰쿠미(오이타)
|
2-1
|
고치(고치)
|
우승 투수는 기라 슈이치
|
40
|
1968년
|
4월 6일
|
오미야 공업(사이타마)
|
3-2
|
오노미치 상업(히로시마)
|
|
41
|
1969년
|
4월 6일
|
미에(미에)
|
12-0
|
호리코시(도쿄)
|
|
42
|
1970년
|
4월 5일
|
쓰미노시마(와카야마)
|
5x-4
|
호쿠요(오사카)
|
우승 투수는 시마모토 고헤이
|
43
|
1971년
|
4월 6일
|
니혼대학 3(도쿄)
|
2-0
|
한난(오사카)
|
사상 첫 도쿄 - 오사카 결전
|
44
|
1972년
|
4월 7일
|
니혼대학 사쿠라가오카(도쿄)
|
5-0
|
니혼대학 3(도쿄)
|
같은 도 출신의 결승전 우승 투수는 나카네 마사히로
|
45
|
1973년
|
4월 6일
|
요코하마(가나가와)
|
3-1
|
히로시마 상업(히로시마)
|
연장 11회
|
46
|
1974년
|
4월 6일
|
호토쿠가쿠인(효고)
|
3-1
|
이케다(도쿠시마)
|
이케다 고등학교 팀 총원 11명으로 준우승
|
47
|
1975년
|
4월 6일
|
고치(고치)
|
10-5
|
도카이대 사가미(가나가와)
|
연장 10회. 금속 배트 사용 시작
|
48
|
1976년
|
4월 6일
|
소토쿠(히로시마)
|
5-0
|
오야마(도치기)
|
우승 투수는 구로다 신지
|
49
|
1977년
|
4월 6일
|
쓰미노시마(와카야마)
|
3-0
|
나카무라(고치)
|
준우승 투수는 야마오키 유키히로. 나카무라 고등학교 팀 총원 12명으로 준우승
|
50
|
1978년
|
4월 5일
|
하마마쓰 상업(시즈오카)
|
2-0
|
후쿠이 상업(후쿠이)
|
마에바시의 마쓰모토 미노루가 사상 첫 퍼펙트 게임 달성
|
51
|
1979년
|
4월 7일
|
쓰미노시마(와카야마)
|
8-7
|
나미쇼 상업(오사카)
|
우승 투수는 이시이 다케시 준우승 투수는 우시지마 가즈히코
|
52
|
1980년
|
4월 6일
|
고치 상업(고치)
|
1x-0
|
데이쿄(도쿄)
|
연장 10회. 우승 투수는 나카니시 기요오키 준우승 투수는 이토 아키미쓰
|
53
|
1981년
|
4월 8일
|
PL가쿠엔(오사카)
|
2x-1
|
인바 메이세이(지바)
|
우승 투수는 니시카와 요시아키
|
54
|
1982년
|
4월 5일
|
PL가쿠엔(오사카)
|
15-2
|
니쇼가쿠샤 부속(도쿄)
|
봄 2연패
|
55
|
1983년
|
4월 5일
|
이케다(도쿠시마)
|
3-0
|
요코하마 상업(가나가와)
|
출전권이 32개교로 증가. 여름·봄 연패 우승 투수는 미즈노 가쓰히토
|
56
|
1984년
|
4월 4일
|
이와쿠라(도쿄)
|
1-0
|
PL가쿠엔(오사카)
|
우승 투수는 야마구치 유키 준우승 투수는 구와타 마스미
|
57
|
1985년
|
4월 7일
|
이노 상업(고치)
|
4-0
|
데이쿄(도쿄)
|
우승 투수는 와타나베 도미오
|
58
|
1986년
|
4월 5일
|
이케다(도쿠시마)
|
7-1
|
우쓰노미야 미나미(도치기)
|
준우승 투수는 다카무라 히로시
|
59
|
1987년
|
4월 4일
|
PL가쿠엔(오사카)
|
7-1
|
간토 제1(도쿄)
|
우승 투수는 노무라 히로키, 하시모토 기요시
|
60
|
1988년
|
4월 5일
|
우와지마 히가시(에히메)
|
6-0
|
도호(아이치)
|
구제 도호 상업은 도호로 교명 변경 준우승 투수는 야마다 기쿠오
|
61
|
1989년
|
4월 5일
|
도호(아이치)
|
3x-2
|
우에노미야(오사카)
|
우승 투수는 야마다 기쿠오
|
62
|
1990년
|
4월 4일
|
긴키 대학 부속(오사카)
|
5-2
|
닛타(에히메)
|
|
63
|
1991년
|
4월 5일
|
고료(히로시마)
|
6x-5
|
마쓰쇼가쿠엔(나가노)
|
65년 만의 결승전 재대결 구제 마쓰모토 상업은 마쓰쇼 가쿠엔으로 교명 변경 준우승 투수는 우에다 요시노리
|
64
|
1992년
|
4월 6일
|
데이쿄(도쿄)
|
3-2
|
도카이대 사가미(가나가와)
|
럭키존 철거 우승 투수는 미사와 고이치
|
65
|
1993년
|
4월 5일
|
우에노미야(오사카)
|
3-0
|
오미야 히가시(사이타마)
|
|
66
|
1994년
|
4월 4일
|
지벤가쿠인 와카야마(와카야마)
|
7-5
|
조소가쿠인(이바라키)
|
가나자와·나카노 마사히로가 사상 2번째 퍼펙트 게임 달성
|
67
|
1995년
|
4월 5일
|
간온지 주오(가가와)
|
4-0
|
조시 상업(지바)
|
한신 아와지 대지진 외야 펜스는 특별 버전
|
68
|
1996년
|
4월 5일
|
가고시마 실업(가고시마)
|
6-3
|
지벤가쿠인 와카야마(와카야마)
|
우승 투수는 시모쿠보 요스케 준우승 투수는 다카쓰카 노부유키
|
69
|
1997년
|
4월 9일
|
덴리(나라)
|
4-1
|
주쿄대 주쿄(아이치)
|
우승 투수는 나가사키 신이치
|
70
|
1998년
|
4월 8일
|
요코하마(가나가와)
|
3-0
|
간사이대 1(오사카)
|
우승 투수는 마쓰자카 다이스케 준우승 투수는 구보 야스토모
|
71
|
1999년
|
4월 5일
|
오키나와 쇼가쿠(오키나와)
|
7-2
|
미토 상업(이바라키)
|
오키나와 현 대표로 첫 우승
|
72
|
2000년
|
4월 4일
|
도카이대 사가미(가나가와)
|
4-2
|
지벤가쿠인 와카야마(와카야마)
|
우승 투수는 지쿠가와 리키야
|
73
|
2001년
|
4월 4일
|
조소가쿠인(이바라키)
|
7-6
|
센다이 이쿠에이(미야기)
|
21세기 전형 도입
|
74
|
2002년
|
4월 5일
|
호토쿠가쿠인(효고)
|
8-2
|
나루토 공업(도쿠시마)
|
우승 투수는 오타니 도모히사
|
75
|
2003년
|
4월 3일
|
고료(히로시마)
|
15-3
|
요코하마(가나가와)
|
메이지 진구 대회 전형 & 희망 전형 도입 우승 투수는 니시무라 겐타로 준우승 투수는 나루세 요시히사·와쿠이 히데아키
|
76
|
2004년
|
4월 4일
|
세이세이(에히메)
|
6-5
|
아이치 공대 메이텐(아이치)
|
결승 사상 최초의 야간 경기 우승 투수는 후쿠이 유야 준우승 투수는 마루야마 다카시
|
77
|
2005년
|
4월 4일
|
아이치 공대 메이텐(아이치)
|
9-2
|
가미무라가쿠인(가고시마)
|
준우승 투수는 노가미 료마
|
78
|
2006년
|
4월 4일
|
요코하마(요코하마)
|
21-0
|
세이호(나가사키)
|
결승전에서 최다 득점 기록
|
79
|
2007년
|
4월 3일
|
도코하 기쿠카와(시즈오카)
|
6-5
|
오가키 니혼대학(기후·희망 전형)
|
우승 투수는 다나카 겐지로, 도가리 도시키
|
80
|
2008년
|
4월 4일
|
오키나와 쇼가쿠(오키나와)
|
9-0
|
세이보가쿠인(사이타마)
|
오키나와 쇼가쿠의 히코우야 감독은 제71회 대회의 우승 투수(결승전 등판 없음) 우승 투수는 히가시하마 나오
|
81
|
2009년
|
4월 2일
|
세이호(나가사키)
|
1-0
|
하나마키히가시(이와테)
|
희망 전형 폐지. 21세기 전형이 3개교로. 나가사키 대표의 첫 대회 우승. 공립학교가 14년 만에 우승 우승 투수는 이마무라 다케루 준우승 투수는 기쿠치 유세이
|
82
|
2010년
|
4월 3일
|
고난(오키나와)
|
10-5
|
니혼대학 3(도쿄)
|
연장 12회
|
83
|
2011년
|
4월 3일
|
도카이대 사가미(가나가와)
|
6-1
|
규슈 국제대학 부속(후쿠오카)
|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로 각각 자숙 26년 만에 연장전 경기 없음 준우승 투수는 미요시 다쿠미
|
84
|
2012년
|
4월 4일
|
오사카 도인(오사카)
|
7-3
|
고세이가쿠인(아오모리)
|
26년 만에 결승전 순연 우승 투수는 후지나미 신타로
|
85
|
2013년
|
4월 3일
|
우라와가쿠인(사이타마)
|
17-1
|
세이세이(에히메)
|
21세기 전형이 4개교로 증가. 도호쿠 인연 전형 신설
|
86
|
2014년
|
4월 2일
|
류코쿠대 헤이안(교토)
|
6-2
|
리세이샤(오사카)
|
류코쿠대 헤이안 38번째 출전 만에 첫 우승 35년 만의 긴키 지역 대결 및 첫 게이한 대결
|
87
|
2015년
|
4월 1일
|
쓰루가케히(후쿠이)
|
3-1
|
도카이 4(홋카이도)
|
호쿠리쿠 지구 첫 우승 우천으로 인하여 결승전 1시간 순연
|
88
|
2016년
|
3월 31일
|
치벤가쿠엔(나라)
|
2x-1
|
다카마쓰상업(카가와)
|
3월 결승 연장11회 25년만의 끝내기 승리
|
89
|
2017년
|
4월 1일
|
오사카토인(오사카)
|
8-3
|
리세이샤(오사카)
|
결승 사상 최초 오사카 대표들의 경기 오사카토인 5년만에 2번째 우승 우승 투수는 토쿠야마 소마
|
90
|
2018년
|
4월 4일
|
오사카토인(오사카)
|
5-2
|
지벤가쿠인 와카야마(와카야마)
|
우승 투수는 삼도류로 유명한 네오 아키라 2년 연속 선발고교야구대회 우승은 역대 세번째
|
91
|
2019년
|
4월 3일
|
도호(아이치)
|
6-0
|
나라시노(지바)
|
도호 고교 헤이세이 처음과 마지막 우승 달성 선발고교야구대회 5번째 우승은 역대 최다 우승 기록 헤이세이 마지막 우승 투수는 이시카와 타카야로 결승전 완봉승 타자로써는 4타수 3안타 4타점 2홈런
|
|
92 2020년 3월 19일부터 11일 (휴식일 제외)에 걸쳐 한신 고시엔 구장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일본의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이다.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취소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