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비아-알바니아 관계 (세르비아어 : српско-албански односи , 알바니아어 : Marrëdhëniet Serbi-Shqipëri ) 는 세르비아와 알바니아의 양자 관계를 의미한다.
두 나라는 지리적으로 인접하나, 문화적 정체성에 있어서는 매우 상이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세르비아는 슬라브족 으로 이뤄져 있고 그리스 정교회 를 믿고 키릴 문자 를 사용하지만, 알바니아는 여타 발칸 국가들과는 달리 슬라브족이 아닌 일리리아인 의 후손들이며, 오스만 제국 통치의 영향으로 이슬람교 를 믿고 알파벳 을 사용한다.[ 1] [ 2] 역사적으로 세르비아의 전신 국가들이 알바니아를 여러 번 점령하였으며, 오스만 제국 의 발칸 반도 점령이 끝난 후 오스만령 알바니아 와 오스만령 세르비아 로 존재하였다.[ 3] [ 4] [ 5] 당시 알바니아에서 거주하던 무슬림들의 일부가 오늘날의 코소보 으로 유입되었고, 알바니아계 주민들이 많아졌다.[ 6] [ 7]
19세기 경 산스테파노 조약 으로 세르비아가 먼저 독립하고, 20세기 초 런던 조약 으로 알바니아가 비교적 늦게 독립하였다. 유고슬라비아 가 결성될때 알바니아는 독자적인 노선을 추구했고,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결성 전에는 이탈리아령 알바니아 로 이탈리아의 지배를 받았다.[ 8] [ 9] 1946년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공화국 이 수립된 후, 스탈린주의 를 표방한 엔베르 호자 에 의해 알바니아는 고립주의 노선을 걸었다.[ 10]
두 나라의 관계가 갈등을 빚게된 것은 유고슬라비아의 붕괴 직전에 코소보 사회주의 자치주 를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 로 강등시킨 조치에서 출발한다.[ 11] [ 12] 그리고 본격적인 관계의 악화는 세르비아와 코소보 간 갈등에 의해 발생한 코소보 전쟁 이다.[ 13] 범슬라브주의 와 대알바니아주의 가 충돌하는 가운데, 세르비아군 의 민족 청소 라는 반인류적 폭력행위가 발생하였고, 이에 알바니아군 의 지원을 받는 코소보 해방군 이 전투를 벌였다. 코소보 전쟁은 미국 과 유럽 연합 , 북대서양 조약 기구 그리고 러시아 의 개입으로 종료되었지만[ 14] , 전쟁의 피해와 대규모 난민 의 발생 등 씻을 수 없는 감정의 골을 만들었다.[ 15] [ 16] [ 17]
같이 보기
각주
↑ Hyllested, Adam; Joseph, Brian D. (2022). Olander, Thomas, 편집. 《Albanian》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3–245쪽. ISBN 978-1-108-49979-8 .
↑ Andersson, Nils (2002년 6월 1일). “Albania, European but not Europe” (영어). 2025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Royal, Web. “Ottoman Serbia” (미국 영어). 2025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Between Serb and Albanian” . 2025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Fischer, Bernd J.; Schmitt, Oliver Jens, 편집. (2022). 《The Albanians under Ottoman Rule: The Classic Period of Arnavutluk, 1500–1800》 . Cambridge Concise Histori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7–98쪽. ISBN 978-1-107-01773-3 .
↑ Judah, Tim. “A short history of Kosovo” (영어). 2025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Kosovo profile” . 《BBC News》 (영국 영어). 2012년 6월 5일. 2025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Italy Invades and Annexes Albania | EBSCO Research Starters” (영어). 2025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Invasion of Albania” . 2025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소련식 개혁거부… 정통 사회주의노선 고수/알바니아 비상사태설 배경” . 1990년 1월 12일. 2025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네이버 학술정보” . 2025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발칸반도에 남은 마지막 화약고, 코소보 분쟁의 원인과 전망 분석 - PKO저널 - 국방대학교 PKO센터 - KISS” . 《학술논문검색사이트 KISS》.
↑ 조선일보 (2020년 8월 14일). “[코소보 Q&A] 코소보사태 원인은 무엇인가” . 2025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류창하 (2015년 1월). “코소보전쟁 특성에 관한 연구” . 《군사연구》 (139): 319–347. ISSN 2093-1557 .
↑ “[유고공습]코소보 난민 '끝없는 피란길' ” . 1999년 4월 2일. 2025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코소보사태 해결] 난민 어떻게 되나” . 1999년 6월 11일. 2025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오늘의 세계 코소보 난민” . 2025년 5월 30일에 확인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