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돔

멸망하는 소돔의 모습. 존 마틴이 1852년 그림.

소돔(영어: Sodom)은 구약성서창세기에 나오는 지명이다. 성경에 따르면 소돔과 그 이웃 성(城)인 고모라성폭력 및 도덕적 퇴폐가 만연하였다고 전해 내려온다.[1] 하지만 야훼는 아브라함의 기도를 듣고는 소돔성에 의인이 10명만 있어도 멸망시키지 않겠다고 약속한다.[2] 그러나 의인이 10명이 되지 못해, 아브라함의 조카인 이 소돔을 탈출 하자마자 하늘에서 유황불이 내려 멸망하였다고 전해진다.

후보지

소돔은 요르단의 국토 중에서 사해 남부의 고대 도시 밥 에드드라(영어판)이다. 고모라는 누메이라(영어판)로 추정되어 왔다. 하지만 두 도시가 각각 서로 다른 시기인 EB IVA(기원전 2350-2067년[3] 또는 기원전 2350년[4])와 EB III(기원전 2600년)[5]에 파괴되었으며, 아브라함이 활동했을 시기인 기원전 21세기나 기원전 18세기보다 훨씬 이전이라는 점에서 반대하는 의견이 있다. 물론, 밥 에드드라와 누메이라의 파괴 시기를 기원전 20세기와 21세기로 보는 학자 역시 존재한다.[6]

밥 에드-드라와 누메이라와 같은 사해 남부 모압 평원의 고대 도시 대신에 기원전 18-17세기에 소행성 충돌로 멸망한 사해 최북부의 탈 엘함맘(영어판)의 고대 도시로 보는 견해가 있으며,[7] 성서의 기록을 근거로 소돔과 고모라가 사해 남부가 아니라 북부에 위치했을 것으로 해석하여 탈 엘함맘이 소돔이었음을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8] 하지만, 주류 역사 학계는 이러한 주장을 완전히 반대한다. 소행성 충돌에 대해 연구해온 물리학자 마크 보슬로우(Mark Boslough)는 텔 엘함맘이 소행성으로 인해 파괴되었다는 가설에 대해 지속적으로 비판해오고 있다. 그는 이러한 주장이 성서무오설을 지지하기 위해 만들어낸 것이며,[9] 소행성의 공중폭발로 인해 파괴되었다고 판단할만한 적절한 기준이 충족되지 않는다고 말한다.[10] 〈사피엔스 인류학 매거진(Sapiens Anthropology Magazine)〉에 실린 논평에서는 탈 엘함맘이 소행성 충돌로 파괴되었다는 주장에 대해서 "사이비 과학적"이라고 까지 하였으며, 과학적 무결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제안하였고, 언론의 대대적인 선전에 대해서 도굴꾼들에 의해 유적지가 파괴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그 장소가 소돔이나 고모라를 대표한다고 믿는 고고학자들이 거의 없다고 하였다.[11]

대부분의 학자들은 소돔과 고모라의 파괴 시기와 아브라함의 활동 시기를 떠나서 소돔과 고모라가 실존했다면, 사해 북부가 아니라 남부의 모압 평원에 위치했을 것이라고 보며, 아직 발견되지 않았거나, 밥 에드-드라와 누메이라가 소돔과 고모라와 동일한 도시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사해 남부의 고대 도시들 중 밥 에드-드라와 누메이라를 제외하고 거론되는 후보들 중 하나인 페이파(Feifa)는 청동기 시대가 아니라 철기 시대 유적임이 밝혀졌기에[12] 사실상 현재 남은 후보는 밥 에드-드라와 누메이라가 유일하다. 밥 에드-드라와 누메이라를 포함한 사해 남부 고대 도시에 일생을 바친 학계 최고 권위자 중 한 명인 케르셀(Kersel)은 사피엔스 인류학 매거진에서 소돔과 고모라 전승이 기원전 9세기 유다 왕국의 사람들이 모압 평원의 폐허가 된 밥 에드-드라와 누메이라 도시들과 유골들, 그리고 유황 등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신화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제안하였다.

참고로, 밥 에드-드라 지역에서는 황과 천연 가스를 포함하는 역청 및 석유 광상이 발견되었는데, 한 이론은 소돔과 고모라 전승의 기원에 대해서 천연 가스 주머니가 도시의 화재를 초래했다고 제안한다. 그러나 현장에서 일했던 고고학자들은 그 정도의 대규모의 화재의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고, 도시의 거주민들이 갑작스럽게 도시를 버린 것을 설명할 수 있는 어떤 종류의 재앙도 발견하지 못했다.

같이 보기

각주

  1. 창세기 19장 1-9절
  2. 창세기 18장 32절
  3. Cline, Eric H. From Eden to Exile: Unraveling Mysteries of the Bible (Tampa, Florida: National Geographic, 2007), 60.
  4. Walter E. Rast, "Bab Edh-Dhraʿ and the Origin of the Sodom Saga", in Archaeology and Biblical Interpretation: Essays in Memory of D. Glenn Rose, ed. Leo G. Perdue, Lawrence E. Toombs, and Gary L. Johnson (Atlanta, Ga.: Knox, 1987), 185–201
  5. Jack Donahue, "Geologic Reconstruction of Numeira", Bulletin of the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255 (Summer 1984): 87; Michael David Coogan, "Numeira 1981", Bulletin of the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255 (Summer 1984): 81
  6. Udd, Kris J., "Bab edh-Dhra', Numeira, and the Biblical Patriarchs: a Chronological Study" (2011). Dissertations. 157.
  7. Bunch, Ted E.; LeCompte, Malcolm A.; Adedeji, A. Victor; Wittke, James H.; Burleigh, T. David; Hermes, Robert E.; Mooney, Charles; Batchelor, Dale; Wolbach, Wendy S. (2021년 9월 20일). “A Tunguska sized airburst destroyed Tall el-Hammam a Middle Bronze Age city in the Jordan Valley near the Dead Sea”. 《Scientific Reports》 (영어) 11 (1): 18632. doi:10.1038/s41598-021-97778-3. ISSN 2045-2322. PMC 8452666. PMID 34545151. 
  8. inspiringphilosophy (2021년 7월 16일). “Yes, Tall el-Hammam is Sodom” (영어). 2022년 9월 30일에 확인함. 
  9. Boslough, Mark (2022). "Sodom Meteor Strike Claims Should Be Taken with a Pillar of Salt" (PDF). Skeptical Inquirer. 46 (1): 10–14.
  10. Jaret, Steven J.; Scott Harris, R. (2022년 3월 25일). “No mineralogic or geochemical evidence of impact at Tall el-Hammam, a Middle Bronze Age city in the Jordan Valley near the Dead Sea”. 《Scientific Reports》 (영어) 12 (1): 5189. doi:10.1038/s41598-022-08216-x. ISSN 2045-2322. PMC 8956582. PMID 35338157. 
  11. Kersel, Morag M.; Chesson, Meredith S.; Hill, Austin "Chad" (15 December 2021). "When Biblically Inspired Pseudoscience and Clickbait Cause Looting". Sapiens.
  12. Bert de Vries, "Archaeology in Jordan", ed. Pierre Bikai,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97, no. 3 (1993): 482.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