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 혹은 사람 알파헤르페스바이러스 3(Human alphaherpesvirus 3; HHV-3)은 수두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다. 청소년들에게 수두를, 성인에게 대상포진을 일으킨다. 수두바이러스, 대상포진바이러스 등의 이름으로도 불린다. 사람간 전염을 통해 전염되나, 외부 환경에서도 수시간부터 많게는 이틀까지 생존하기도 한다.[3]
우선 허파에서 증식하며 다양한 증상을 일으킨다. 초기 감염증상인 수두가 지나고 나면 두개골 신경절, 배근 신경절, 자율신경절 등의 신경조직 잠복한다. 잠복한 바이러스들은 이후 조건이 갖춰지면 재활성화할 수 있다.[4]
호흡기를 통해 신체로 침투하며, 10~21일간의 증식 후에 피부와 말초신경계통을 감염시켜 3~4일간 증상을 일으킨다. 발진이 나타나기 하루이틀전에 가장 전염성이 높다. 고름으로 가득찬 수포가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발진은 얼굴이나 목, 등 하부에까지 미치며 흉부나 어깨에 도달하기도 한다. 대상포진은 주로 허리에서 나타난다.[6]
10~20%는 살아가면서 바이러스 재활성화를 겪는데 이것이 바로 대상포진이다. 또한 2013년의 조사에 의하면 스위스에서 10만명 중 1.02명, 스웨덴에서 매년 10만명 중 1.8명에서 중추신경계를 감염시킨 사례가 발견되었다.[7]
대상포진후 신경통, 양성 재발성 수막염, 다발성 대상포진(zoster multiplex), 척수염, 안구헤르페스, 무발진대상포진 등의 심각한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뇌 동맥에 염증이 생긴 경우 뇌졸중으로 이어질 수 있다.[8]람세이헌트증후군 2형의 경우 슬상신경절에 영향을 줘 휘하의 안면 신경들에 병변을 일으킬 수 있다. 이 경우 혀나 귀에 대상포진이 생기거나, 얼굴의 한 쪽에 마비증상이나 청력 상실이 올 수 있다. 임신 초기에 감염되면 태아가 심각한 손상을 입어 라이 증후군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아스피린을 통해 일부 경감할 수 있다.[6]
형태
단순포진바이러스와 유전체의 많은 부분을 공유한다. 외피당단백질중 gD를 제외한 gB, gC, gE, gH, gI, gK, gL가 모두 단순포진바이러스와 일치한다. 또한 단순포진바이러스에서 잠복에 도움을 주는 전사체인 잠복연관전사체(latency-associated transcripts; LAT)가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9]
유전체
1986년에 서열이 분석되었다.[10] 선형 이중가닥 DNA를 가지며, 해당 분석에서는 124,884개의 염기로 이루어졌다는 결과가 나왔다. S조각의 방향에 따라 P형과 IS(S 역전)형으로 나뉘며 거의 비슷한 비율로 존재한다. 대략 5~10%의 확률로 L조각에도 역전이 발생하여 IL과 ILS를 포함한 총 4개의 이성질체가 존재하게 된다. 단순포진바이러스에서는 L역전과 S역전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는데, 어째서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또한 원형의 유전체를 가진 개체들도 존재한다는 사실이 알려졌는데, 단순포진바이러스와 다르게 그 이유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대략 70개의 오픈 리딩 프레임이 존재한다.[11]
최소 다섯 개의 계통군이 존재한다. 계통군 1과 3은 유럽/북아메리카에서, 계통군 2는 아시아(특히 일본)에서, 계통군 5는 인도에서 주로 발견되는 바이러스주(strain)이다. 계통군 4는 일단 유럽에서 발견되나 정확한 지리적 분포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12]
↑“ICTV 9th Report (2011) Herpesviridae”.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ICTV)》 (영어). 2018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html)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월 9일에 확인함. Human herpesvirus 3 Human herpesvirus 3 [X04370=NC_001348] (HHV-3) (Varicella-zoster virus)
↑Nagel, M. A.; Gilden, D. H. (July 2007). “The protean neurologic manifestations of varicella-zoster virus infection”. 《Cleveland Clinic Journal of Medicine》 74 (7): 489–94, 496, 498–9 passim. doi:10.3949/ccjm.74.7.489. PMID17682626.
↑Steiner I; Kennedy PG; Pachner AR (2007). “The neurotropic herpes viruses: herpes simplex and varicella-zoster”. 《Lancet Neurol》 6 (11): 1015–28. doi:10.1016/S1474-4422(07)70267-3. PMID17945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