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래치 (프로그래밍 언어)
스크래치(Scratch)는 MIT 미디어 랩에서 8세~16세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만든 교육용, 블록형 프로그래밍 언어이다.[1] 이 사이트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인 '스크래쳐'(영어: Scratcher)들은 블록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만든다. 만들어진 프로젝트는 스크래치 웹사이트에서 누구나 실행하거나 하트나 별, 댓글을 달고 리믹스할 수 있다.[2] 필요하다면 HTML5나 안드로이드 앱, EXE 등의 형식으로 내보낼 수도 있다. 2024년 1월 기준, 공유된 프로젝트는 15,929,322개, 등록된 계정은 100,411,828개, 프로젝트에 달린 댓글은 총 722,213,385개로 집계되었다. 또한, 스크래치 웹사이트는 지난 한 달 동안 711,425,440번의 접속이 있었다.[2][3] 스크래치 체험용의 하위 버전인 1.4 버전은 오픈 소스라서 누구든지 스크래치 모딩(스크래치 모드를 만드는 행위)을 할 수 있다. 스크래치 3.0스크래치 3.0은 스크래치 2.0의 상위 버전으로, 2018년 후반에 베타 버전이 공개되었고 2019년 1월 정식 버전이 출시되었다. 2.0에서 쓰이던 어도비 플래시를 사용하지 않고 HTML5와 자바스크립트로 새롭게 제작되었다. 화면 구성![]() 화면은 블록 모음과 블록 조립소, 화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블럭 모음에서 필요한 블록을 블럭 조립소로 꺼낸 뒤, 초록 깃발이나 블록을 눌러 실행할 수 있다. 초록 깃발을 누르면 전체가 실행되며 블록을 누르면 누른 블럭이 속한 블럭 뭉치가 실행된다. 화면은 좌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작 블럭을 이용해 움직일 수 있다. 좌표는 화면의 가운데가 이다.[4] 블럭 카테고리
데스크톱 버전인터넷 연결과 커뮤니티 기능 없이 프로젝트를 편집하고 저장할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와 앱 스토어(맥 전용)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5] 또한 공식 홈페이지(2.0과 1.4만 다운로드 가능) 또는 아카이브에서 온라인 버전에서는 지원하지 않는 이전 버전(3.0 이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스크래치에서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들을 시험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2022년 12월 기준 다음과 같은 기능들이 있다.[6]
스크래치 팀에 따르면 어느 기능은 기본 스크래치에 추가될 수도 있고, 어느 기능들은 추가되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6] 사용처![]() 스크래치는 아이들에게 기본적인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소개하는 수단으로 전 세계의 학교 등에서 사용된다. 어린이와 어른 모두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면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로 옮겨가는 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대한민국에서는 정규 교육 과정에 이와 비슷한 엔트리를 가르친다. 이제 대한민국의 모든 학교에서 엔트리를 사용한다. 같이 보기각주
외부 링크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