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군(信都郡)은 중국의 옛 군이다. 군국제 시행 시에는 광천국(廣川國), 신도국(信都國), 안평국(安平國)이기도 했다.
전한
기주자사부에 속했다.[1]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65,556호, 304,384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2][1]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7현이다. 서울은 신도현이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신도현
|
信都縣
|
헝수이 시 지저우 구
|
고장하(故漳河)와 고호지(故虖池)가 모두 북쪽에 있어 동으로 바다로 들어간다. 《우공》의 강수(絳水)도 바다로 들어간다.
|
역현
|
歷縣
|
헝수이시 구청 현 북
|
|
부류현
|
扶柳縣
|
헝수이 시 지저우 구 북서
|
|
벽양현
|
辟陽縣
|
헝수이시 짜오창 현 남서
|
|
남궁현
|
南宮縣
|
싱타이시 난궁 시 서
|
|
하박현
|
下博縣
|
헝수이 시 선저우 시 남동
|
|
무읍현
|
武邑縣
|
헝수이시 우이 현 북동
|
|
관진현
|
觀津縣
|
헝수이시 우이 현 동
|
|
고제현
|
高隄縣
|
헝수이시 짜오창 현 북동
|
|
광천현
|
廣川縣
|
헝수이시 짜오창 현 북동
|
|
악향현
|
樂鄕縣
|
헝수이시 선저우 시 동
|
|
평제후국
|
平隄侯國
|
헝수이시 징 현 남서
|
|
도후국
|
桃侯國
|
헝수이시 북서
|
|
서량후국
|
西梁侯國
|
신지 시 남
|
|
창성후국
|
昌成侯國
|
헝수이시 지저우 구 북서
|
|
동창후국
|
東昌侯國
|
헝수이시 우이 현 북동
|
|
수현
|
脩縣
|
헝수이시 징 현 남
|
|
신
군의 이름을 신박(新博)으로 고치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전한
|
신
|
신도
|
신박정(新博亭)
|
역
|
역녕(歷寧)
|
벽양
|
악신(樂信)
|
남궁
|
서하(序下)
|
하박
|
윤박(閏博)
|
무읍
|
순환(順桓)
|
관진
|
삭정정(朔定亭)
|
악향
|
악구(樂丘)
|
도
|
환분(桓分)
|
동창
|
전창(田昌)
|
수
|
수치(脩治)
|
후한
후한 명제시기 낙성군(樂城郡)으로 개명되었다가 122년(연광 원년) 안평국(安平國)으로 개명되었으며 탁군의 일부 현들이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13현 91,440호 655,180명을 거느렸다.[3]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신도현
|
信都縣
|
헝수이 시 지저우 구
|
|
부성현
|
阜城縣
|
신지 시 왕구진 북
|
창성현(昌城縣)을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
남궁현
|
南宮縣
|
싱타이시 난궁 시 서
|
|
부류현
|
扶柳縣
|
헝수이 시 지저우 구 북서
|
|
하박현
|
下博縣
|
헝수이 시 선저우 시 남동
|
|
무읍현
|
武邑縣
|
헝수이 시 우이 현
|
|
관진현
|
觀津縣
|
헝수이시 우이 현 동
|
|
당양현
|
堂陽縣
|
싱타이 시 신허 현
|
거록군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
무수현
|
武遂縣
|
헝수이 시 우창 현 북서
|
하간군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
요양현
|
饒陽縣
|
헝수이 시 라오양 현
|
옛이름은 요(饒)로 탁군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무루정(蕪蔞亭[4])이 있다.
|
안평현
|
安平縣
|
헝수이시 안핑현
|
탁군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
남심택현
|
南深澤縣
|
스자좡시선쩌현 동
|
탁군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
위진
위나라에선 기주 자사의 치소를 신도로 옮겼다. 서진시기 일련의 행정개편을 겪으면서 5개 속현을 잃었다.
개편이전
|
개편이후
|
안평군
|
신도현, 부류현, 하박현, 무읍현, 관진현, 무수현, 광종현, 경현
|
안평군
|
신도현, 하박현, 무읍현, 무수현, 관진현, 부류현, 광종현, 경현
|
안평현, 요양현, 남심택현
|
박릉군(서진대에 복치됨)
|
안평현, 요양현, 남심택현
|
부성현
|
발해군
|
부성현(전한대 부성현 치소로 옮겨지면서 발해군으로 이관)
|
남궁현, 당양현
|
폐지
|
남궁현, 당양현
|
안평군은 8현 21,000호를 거느렸다.[5]284년(태강 5년) 군명을 장악군(長樂郡)으로 개명했다.[6]
북조
석륵이 기주를 점령하면서 후조의 관할로 들어왔다가 후조가 염위와 전연에게 무너진 뒤엔 전연이 차지했다. 이후 전진에 소속되었다가 전진이 무너진 뒤 후연을 세운 모용수가 이곳을 차지하고 신도현에 기주자사부를 두었다. 397년(황시 2년) 북위 도무제 탁발규에 의해 신도가 점령되면서 북위의 땅으로 넘어갔다.[6]
북위
8현 35,683호 143,145명을 거느렸다.[6] 그리고 과거 장악군에 속했던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당양현
|
堂陽縣
|
싱타이 시 신허 현 북서
|
서진초에 폐지되었던 당양현을 복구했다. 형구(荊丘)가 있다.
|
조강현
|
棗强縣
|
헝수이 시 짜오창 현
|
서진시기 광천군에 통폐합되있었다가 415년(신서 2년) 광천현에 통폐합되었다. 498년(태화22년) 광천현이 복구되었다. 자조성(煑棗城)이 있다.
|
부류현
|
扶柳縣
|
헝수이 시 지저우 구 북서
|
442년(태평진군 3년) 당양현을 통폐합했다가
|
삭노현
|
索盧縣
|
|
서진시기 광천군에 속했다가 415년 광천현을 통폐합했다. 498년 복구되었다. 삭노성이 있다.
|
광천현
|
廣川縣
|
헝수이 시 짜오창 현 동
|
|
남궁현
|
南宮縣
|
싱타이시 난궁 시 북서
|
서진에서 폐지됐던 것을 복원했다.
|
신도현
|
信都縣
|
헝수이 시 지저우 구
|
무양성(武陽城), 안성(安城), 그리고 피양성(辟陽城)이 있으며 기주 자사부가 있는 곳이다.
|
하박현
|
下博縣
|
헝수이 시 선저우 시 동
|
|
수
신도군(信都郡)으로 되돌아왔다. 12현 168,718호를 거느렸다. 주제를 실시했을 때 기주(冀州)로 칭했다.[7]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장악현
|
長樂縣
|
헝수이 시 지저우 구
|
북제에서 부류현을 통폐합했다. 개황초에 폐현되었다가 신도현에서 장악현을 분리신설하면서 등장했다. 그리고 596년(개황 16년) 본현에서 담성현(潭城縣)을 분리신설했다. 대업초에 담성현은 폐지되었고 신도군을 세웠다.
|
당양현
|
堂陽縣
|
싱타이 시 신허 현 북서
|
북제시기 폐지되었다가 596년 복구되었다.
|
형수현
|
衡水縣
|
헝수이 시 서
|
596년 설치되었으며 헝수이 시의 전신이다.
|
조강현
|
棗强縣
|
헝수이 시 짜오창 현 동
|
북제에서 삭노현, 광천현을 통폐합시켰다.
|
무읍현
|
武邑縣
|
헝수이 시 우이 현
|
북제에서 폐지된 것을 586년(개황 6년) 복구되었다. 그리고 북제 관진현의 고지를 흡수했다. 596년 무강현에서 창정현(昌亭縣)을 분리신설했으나 대업초에 폐지되었다.
|
무강현
|
武强縣
|
헝수이 시 우창 현 서남
|
무읍군의 치소가 있었다. 북제에서 무읍군을 폐지한 뒤 무수현을 통폐합했다.
|
남궁현
|
南宮縣
|
싱타이 시 난궁 시 북서
|
북제에서 폐지했다가 586년 복구되었다.
|
녹성현
|
鹿城縣
|
헝수이 시 선저우 시 서
|
북제에서 교현(鄥縣)을 안국현(安國縣)으로 개명했고 586년 안정현(安定縣)으로 개명했다. 598년(개황 18년)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596년 안성현(晏城縣)을 설치했다가 대업초에 폐지했다.
|
하박현
|
下博縣
|
헝수이 시 선저우 시 동남
|
|
수현
|
蓚縣
|
헝수이 시 징 현
|
585년(개황 5년) 수현(脩縣)에서 수현(蓚縣)으로 바뀌었다. 596년 관진현(觀津縣)을 분리신설했으나 대업초에 폐지했다.
|
부성현
|
阜城縣
|
헝수이 시 푸청 현
|
|
당
기주 참조.
장관
광천상
신도태수
각주
- ↑ 가 나 周振鹤 (2006년 6월). 《汉书地理志汇释》. 合肥市回龙桥路1号: 安徽教育出版社. 451 - 455쪽. ISBN 7-5336-4757-2.
- ↑ 반고: 《한서》 권28 지리지 제8 하
- ↑ 《후한서》 지 제 22 군국지 4 기주 안평국 [1]
- ↑ 無蔞亭이라고 적기도 했다
- ↑ 《진서》14권 지 제 4 지리지 上 기주 안평국 [2]
- ↑ 가 나 다 라 마 바 《위서》 106권 上 제 5 지형지 上 기주 장악군 [3]
- ↑ 《수서》30권 지 제25 지리지 中 기주 신도군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