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드리아 베네티족

로마의 이탈리아 팽창 및 정복 이전 철기 시대 이탈리아의 민족언어 지도. 베네티족은 갈색으로 표시.

베네티족(Veneti, 이탈리아어로 '베네티'라고 부르는, 오늘날 베네토 지방의 거주민들과 구분하기 위해 베네티키족(Venetici), 고대 베네티족 또는 팔레오베네티족이라고도 함)은 기원전 2천년 중엽부터 오늘날 베네토에 해당하는 이탈리아 북동부에 거주하던 원시 인도유럽인 집단으로 기원전 1천년기에 걸쳐 독자적인 문명을 발전시켰다.[1]

베네티족은 가르다호에우가네이 구릉 사이 지역에서 맨처음 확인되며 이후 이들은 현재의 베네토 지방 경계와 유사한 곳에 도달할 때까지 팽창하였다. 고고학적 발견 (또한 문헌과도 일치)에 따르면, 이들의 영역 서쪽 경계는 가르다 호수를 따라 이어지고, 남쪽에서는 타르타로강에서 시작해 포강을 따라 아드리아강까지 이어졌으며, 동쪽 경계는 탈리아멘토강까지 이어졌다.[2]

어원

율리우스 포코르니에 따르면, '베네티' (Venetī, 단수형 *Venetos)라는 명칭이 '애원하는, 바라는, 사랑하는'을 뜻하는 인도유럽조어 어근 *wen-에서 비롯했다고 한다. 비교 자료에서 나타나듯이, 게르만어파에는 서로 다른 기원을 가진 두 개의 용어가 존재하며 고대 고지 독일어 Winida의 'Wende'는 게르만조어 *Wenétos를 나타내, 라틴어-게르만어의 Venedi (타키투스가 언급)와 고대 영어의 Winedas(‘Wends’)는 게르만조어 *Wenetós가 필요로 하는 단어이다. 아드리아 베네티족과 익숙하던 타키투스에 따르면, 후자 즉 비스와 베네티족슬라브족을 연결시킨다. 어원학적으로 관련된 단어들에는 라틴어에서 '사랑, 열정, 은총' 등을 뜻하는 venus, -eris, 산스크리트어에서 '욕망, 열정'을 뜻하는 vanas-와 '바람, 소원'을 뜻하는 vani-, 고대 아일랜드어로 '친족, 동맹, 부족, 가족'을 뜻하는 fine (< 켈트조어 *venjā), '친구'를 뜻하는 고대 노르드어의 vinr, 고대 색슨어 및 고대 고지 독일어 wini, 고대 프리지아어 및 고대 영어 wine 등이 있다.[3]

언어

베네티족의 투구

고대 베네티족은 기원전 6세기에서 기원전 1세기까지 시기의 약 300여 개의 짧은 금석문에서 확인된, 현재는 사라진 인도유럽어베네티어를 구사했다. 베네티어는 라틴어 및 다른 이탈리아어파와 몇 가지 유사성을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면서도 다른 인도유럽어 특히 게르만어켈트어 등과도 일부 관련성을 띠고 있다.

베네티어를 현재 베네토 지역에서 구사하는 로망스어 중 하나인 베네토어와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지리

로마에 합병 당하기 전 고대 베네티족이 거주했던 영역의 범위는 불명확하다. 에스테, 파도바, 비첸차, 아솔로, 오데르초, 몬테벨루나, 비토리오베네토, 카도레 등 오늘날 베네토의 도시들과 더불어 포강 삼각주 주변 지역들을 포함한다.[4] 베네티족의 영토는 갈리아 키살피나로 통합되었고, 아우구스투스 시기 로마령 이탈리아의 제10 구역 (Regio X, 베네티아 에트 히스트리아로 편성되었다. 제10 구역은 지리적으로 오늘날 크로아티아가 있는 동쪽 아르시아강에서부터 현재 이탈리아 롬바르디아 지역의 아다강까지, 알프스산맥에서 아드리아해까지 해당했다.[5]

역사

고전 문헌

베네티족의 항아리

헤로도토스 (기원전 484년경–기원전 425년)는 언젠가 아드리아해의 베네티족에 대해 언급하였고 (Histories V.9) 또 한번 지나치다가 일리리아의 에네티족 (Eneti in Illyria)을 언급하는데 (Histories I.196) 이들의 혼인 관습이 바빌론인들의 관습과 흡사하다고 주장하였다.[6] 이 점은 초기 학자들이 베네티족과 일리리아인들의 연결시켜 보도록 했다.[7] 이들의 일리리아 기원은 아드리아 해안 지역의 거주민들과 밀접한 관계로 인해 한층 강해졌다.[4] 베네티어의 19세기 후반 전문가 카를 파울리 (Karl Pauli)는 베네티어에 대한 지식이 봉헌 문구에서 사용되는 인명, 명사, 동사 등 한정되어 있음에도, 다른 언어보다도 일리리아인들의 언어와 한층 더 밀접한 관련성을 띠고 있다고 말했다. 아드리아 지역과 관련된 것으로 여겨지는 일리리아어의 흔적은 훨씬 더 적으며, 이는 일리리아의 존재를 시사할 수 있다.[8]

각주

  1. Storia, vita, costumi, religiosità dei Veneti antichi at www.venetoimage.com (in Italian). Accessed on 2009-08-18.
  2. Aspes, Alessandra. 《Il Veneto nell'antichità: preistoria e protostoria》 (이탈리아어). 661쪽. 
  3. Pokorny 1959: 1146–1147; Steinacher 2002: 33
  4. Le Glay, Marcel. (2009). 《A history of Rome》. Wiley-Blackwell. ISBN 978-1-4051-8327-7. OCLC 760889060. 
  5. Berto, Luigi (2013). "Venetia (Venice)": Its Formation and Meaning in the Middle Ages” (PDF). 《NeMLA Italian Studies》 35: 1–2. 2021년 1월 14일에 확인함. 
  6. Herodotus. The Histories. Translated by Aubrey de Selincourt. (New York: Penguin Books, 1972), 120; 343.
  7. Mallory, J.P.; Adams, D.Q. (1997).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Fitzroy Dearborn. 318쪽. ISBN 9781884964985. 2015년 7월 28일에 확인함. 
  8. Aleksandar Stipčević - Illyrians, The Illyrian Art, The Illyrian Cult Symbols

외부 링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