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
|
대
|
사진
|
이름
|
임기
|
직책
|
정당
|
취임일 |
퇴임일
|
리오데라플라타 합중국
|
-
|
-
|
|
이그나시오 알바레스 토마스 (1787.2.15 ~ 1857.7.19) Ignacio Álvarez Thomas
|
1815년 4월 20일
|
1816년 7월 9일
|
리오데라플라타 합중국 최고총재
|
|
독립 선언 이후
|
-
|
-
|
|
이그나시오 알바레스 토마스 (1787.2.15 ~ 1857.7.19) Ignacio Álvarez Thomas
|
1816년 7월 9일
|
1816년 4월 16일
|
리오데라플라타 합중국 최고총재
|
|
-
|
-
|
|
안토니오 곤살레스 데 발카르세 (1774.6.24 ~ 1819.8.15) Antonio González de Balcarce
|
1816년 4월 16일
|
1816년 7월 9일
|
리오데라플라타 합중국 최고총재
|
|
-
|
-
|
|
후안 마르틴 데 푸에이레돈 (1777.12.18 ~ 1850.3.13) Juan Martín de Pueyrredón
|
1816년 7월 9일
|
1819년 6월 9일
|
리오데라플라타 합중국 최고총재
|
|
-
|
-
|
|
호세 론데아우 (1773.3.4 ~ 1844.12.18) José Rondeau
|
1819년 6월 9일
|
1820년 2월 11일
|
리오데라플라타 합중국 최고총재
|
적색당
|
-
|
-
|
|
후안 페드로 아기레 (1781.10.19 ~ 1837.7.17) Juan Pedro Aguirre
|
1820년 2월 11일
|
1820년 2월 16일
|
리오데라플라타 합중국 회의 최고총재
|
|
-
|
-
|
|
마티아스 데 이리고옌 (1781 ~ 1839) Matías de Irigoyen
|
1820년 2월 11일
|
1820년 2월 18일
|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총독
|
|
-
|
-
|
|
마누엘 데 사라테아 (1774.8.11 ~ 1849.9.21) Manuel de Sarratea
|
1820년 2월 18일
|
1820년 3월 6일
|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총독
|
|
-
|
-
|
|
후안 라몬 곤살레스 발카르세 (1773.3.16 ~ 1836.11.12) Juan Ramón González Balcarce
|
1820년 3월 6일
|
1820년 3월 11일
|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총독
|
연방당
|
-
|
-
|
|
마누엘 데 사라테아 (1774.8.11 ~ 1849.9.21) Manuel de Sarratea
|
1820년 3월 11일
|
1820년 5월 2일
|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총독
|
|
-
|
-
|
|
일데폰소 라모스 메히아 (1769 ~ 1854) Ildefonso Ramos Mexía
|
1820년 5월 2일
|
1820년 6월 20일
|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총독
|
|
-
|
-
|
|
미겔 에스타니슬라오 솔레르 (1783 ~ 1849) Miguel Estanislao Soler
|
1820년 6월 20일
|
1820년 6월 29일
|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총독
|
연방당
|
-
|
-
|
|
마누엘 도레고 (1787.6.11 ~ 1828.12.13) Manuel Dorrego
|
1820년 6월 29일
|
1820년 9월 20일
|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총독
|
연방당
|
-
|
-
|
|
마르틴 로드리게스 (1771.7.4 ~ 1845.3.5) Martín Rodríguez
|
1820년 9월 20일
|
1824년 4월 2일
|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총독
|
애국군 단방당
|
-
|
-
|
|
후안 그레고리오 데 라스 에라스 (1780.7.11 ~ 1866.2.15) Juan Gregorio de Las Heras
|
1824년 4월 2일
|
1826년 2월 7일
|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총독
|
|
번
|
대
|
사진
|
이름
|
임기
|
선거
|
정당
|
취임일 |
퇴임일
|
1
|
1
|
|
베르나르디노 리바다비아 (1780.5.20 ~ 1845.9.2) Bernardino Rivadavia
|
1826년 2월 8일
|
1827년 6월 27일 (사임)
|
1826년 제헌의회 선출
|
단방당
|
2
|
-
|
|
비센테 로페스 이 플라네스 (1785.5.3 ~ 1856.10.10) Vicente López y Planes
|
1827년 7월 7일
|
1827년 8월 17일
|
임시 대통령
|
단방당
|
-
|
-
|
|
마누엘 도레고 (1787.6.11 ~ 1828.12.13) Manuel Dorrego
|
1827년 8월 17일
|
1828년 12월 13일
|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총독
|
연방당
|
-
|
-
|
|
후안 라바예 (1797.10.17 ~ 1841.10.9) Juan Lavalle
|
1828년 12월 13일
|
1829년 8월 26일
|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총독
|
단방당
|
-
|
-
|
|
후안 호세 비아몬테 (1774.2.9 ~ 1843.3.31) Juan José Viamonte
|
1829년 8월 26일
|
1829년 12월 6일
|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총독
|
연방당
|
-
|
-
|
|
후안 마누엘 데 로사스 (1793.3.30 ~ 1877.3.14) Juan Manuel de Rosas
|
1829년 12월 6일
|
1831년 1월 4일
|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총독
|
연방당
|
아르헨티나 연방
|
-
|
-
|
|
후안 마누엘 데 로사스 (1793.3.30 ~ 1877.3.14) Juan Manuel de Rosas
|
1831년 1월 4일
|
1832년 12월 17일
|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총독
|
연방당
|
-
|
-
|
|
후안 라몬 곤살레스 발카르세 (1773.3.16 ~ 1836.11.12) Juan Ramón González Balcarce
|
1832년 12월 17일
|
1833년 12월 4일
|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총독
|
연방당
|
-
|
-
|
|
후안 호세 비아몬테 (1774.2.9 ~ 1843.3.31) Juan José Viamonte
|
1833년 12월 4일
|
1834년 6월 27일
|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총독
|
연방당
|
-
|
-
|
|
마누엘 비센테 마사 (1779 ~ 1839.6.27) Manuel Vicente Maza
|
1834년 6월 27일
|
1835년 3월 7일
|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총독
|
연방당
|
-
|
-
|
|
후안 마누엘 데 로사스 (1793.3.30 ~ 1877.3.14) Juan Manuel de Rosas
|
1835년 3월 7일
|
1852년 2월 3일
|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총독
|
연방당
|
-
|
-
|
|
비센테 로페스 이 플라네스 (1785.5.3 ~ 1856.10.10) Vicente López y Planes
|
1852년 2월 3일
|
1852년 7월 26일
|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총독
|
단방당
|
-
|
-
|
|
후스토 호세 데 우르키사 (1801.10.18 ~ 1870.4.11) Justo José de Urquiza
|
1852년 7월 26일
|
1852년 5월 31일 (총독 임기 종료는 1852년 9월 4일)
|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총독
|
연방당
|
-
|
-
|
1852년 5월 31일
|
1854년 3월 5일
|
아르헨티나 연방 임시 책임자
|
3
|
2
|
1854년 3월 5일
|
1860년 3월 5일
|
1854년 대선
|
4
|
3
|
|
산티아고 데르키 (1809.6.21 ~ 1867.11.5) Santiago Derqui
|
1860년 3월 5일
|
1861년 9월 17일
|
1860년 대선
|
연방당
|
아르헨티나 공화국 (파본 전투 이후)
|
4
|
3
|
|
산티아고 데르키 (1809.6.21 ~ 1867.11.5) Santiago Derqui
|
1861년 9월 17일
|
1861년 11월 5일
|
1860년 대선
|
연방당
|
5
|
4
|
|
후안 에스테반 페데네라 (1796.12.25 ~ 1886.2.1) Juan Esteban Pedernera
|
1861년 11월 5일
|
1861년 12월 12일
|
1861년 대선
|
단방당
|
-
|
-
|
|
바르톨로메 미트레 (1821.6.26 ~ 1906.1.19) Bartolomé Mitre
|
1861년 12월 12일
|
1862년 10월 12일
|
임시 대통령
|
자유당
|
6
|
5
|
1862년 10월 12일
|
1868년 10월 12일
|
1862년 대선 - 100%[5]
|
7
|
6
|
|
도밍고 파우스티노 사르미엔토 (1811.2.15 ~ 1888.9.11) Domingo Faustino Sarmiento
|
1868년 10월 12일
|
1874년 10월 12일
|
1868년 대선 - 60.30% 79표(총 투표자수 131명)[6]
|
무소속
|
8
|
7
|
|
니콜라스 아베야네다 (1837.10.3 ~ 1885.11.24) Nicolás Avellaneda
|
1874년 10월 12일
|
1880년 10월 12일
|
1874년 대선 - 54.1% 79표(총 투표자수 146명)[7]
|
국민자치당
|
9
|
8
|
|
훌리오 아르헨티노 로카 (1843.7.17 ~ 1914.10.19) Julio Argentino Roca
|
1880년 10월 12일
|
1886년 10월 12일
|
1880년 대선 - 45.16% 70표(총 투표자수 155명)[8][9]
|
국민자치당
|
10
|
9
|
|
미겔 앙헬 후아레스 셀만 (1844.9.29 ~ 1909.4.14) Miguel Ángel Juárez Celman
|
1886년 10월 12일
|
1890년 8월 6일 (사임)
|
1886년 대선 - 약 100%[10]
|
국민자치당
|
11
|
9 (승계)
|
|
카를로스 페예그리니 (1846.10.11 ~ 1906.7.17) Carlos Pellegrini
|
1890년 8월 6일
|
1892년 10월 12일
|
대통령 승계 (부통령)
|
국민자치당
|
12
|
10
|
|
루이스 사엔스 페냐 (1822.4.2 ~ 1907.12.4) Luis Sáenz Peña
|
1892년 10월 12일
|
1895년 1월 22일 (사임)
|
1892년 대선 - 100%[11]
|
국민자치당
|
13
|
10 (승계)
|
|
호세 에바리스토 데 우리부루 (1831.11.19 ~ 1914.10.23) José Evaristo de Uriburu
|
1895년 1월 22일
|
1898년 10월 12일
|
대통령 승계 (부통령)
|
국민자치당
|
14
|
11
|
|
훌리오 아르헨티노 로카 (1843.7.17 ~ 1914.10.19) Julio Argentino Roca
|
1898년 10월 12일
|
1904년 10월 12일
|
1898년 대선
|
국민자치당
|
15
|
12
|
|
마누엘 킨타나 (1835.10.19 ~ 1906.3.12) Manuel Quintana
|
1904년 10월 12일
|
1906년 1월 25일 (사임)
|
1904년 대선
|
국민자치당
|
16
|
12 (승계)
|
|
호세 피게로아 알코르타 (1860.11.20 ~ 1931.12.27) José Figueroa Alcorta
|
1906년 1월 25일
|
1910년 10월 12일
|
대통령 승계 (부통령)
|
국민자치당
|
17
|
13
|
|
로케 사엔스 페냐 (1851.3.19 ~ 1914.8.9) Roque Sáenz Peña
|
1910년 10월 12일
|
1914년 8월 9일 (사망)
|
1910년 대선 - 100%[12]
|
국민자치당
|
18
|
13 (승계)
|
|
빅토리노 데 라 플라사 (1840.11.2 ~ 1919.10.2) Victorino de la Plaza
|
1914년 8월 9일
|
1916년 10월 12일
|
대통령 승계 (부통령)
|
국민자치당
|
19
|
14
|
|
이폴리토 이리고옌 (1852.7.12 ~ 1933.7.3) Hipólito Yrigoyen
|
1916년 10월 12일
|
1922년 10월 12일
|
1916년 대선 - 46.83% 336,980표[13]
|
급진시민연합
|
20
|
15
|
|
마르셀로 토르쿠아토 데 알베아르 (1868.10.4 ~ 1942.3.23) Marcelo Torcuato de Alvear
|
1922년 10월 12일
|
1928년 10월 12일
|
1922년 대선 - 49.06% 406,304표[13]
|
급진시민연합
|
21
|
16
|
|
이폴리토 이리고옌 (1852.7.12 ~ 1933.7.3) Hipólito Yrigoyen
|
1928년 10월 12일
|
1930년 9월 6일
|
1928년 대선 - 61.67% 839,140표[13]
|
급진시민연합
|
22
|
17
|
|
호세 펠릭스 우리부루 (1868.7.20 ~ 1932.4.29) José Félix Uriburu
|
1930년 9월 6일
|
1932년 2월 20일
|
1930년 군사 쿠데타
|
민족해방동맹
|
23
|
18
|
|
아구스틴 페드로 후스토 (1876.2.26 ~ 1943.1.11) Agustín Pedro Justo
|
1932년 2월 20일
|
1938년 2월 20일
|
1931년 대선 - 43.26% 607,765표[13][14]
|
콩코르단시아
|
24
|
19
|
|
로베르토 오르티스 (1886.9.24 ~ 1942.7.15) Roberto Ortiz
|
1938년 2월 20일
|
1942년 6월 27일 (사임)
|
1937년 총선 - 55.77% 1,094,685표[13]
|
콩코르단시아
|
25
|
20 (승계)
|
|
라몬 카스티요 (1873.11.20 ~ 1944.10.12) Ramón Castillo
|
1942년 6월 27일
|
1943년 6월 4일
|
대통령 승계 (부통령)
|
콩코르단시아 국가민주당
|
26
|
21
|
|
아르투로 라우손 (1885.6.4 ~ 1952.10.8) Arturo Rawson
|
1943년 6월 4일
|
1943년 6월 7일
|
1943년 군사 쿠데타
|
무소속
|
27
|
22
|
|
페드로 파블로 라미레스 (1884.1.30 ~ 1962.5.12) Pedro Pablo Ramírez
|
1943년 6월 7일
|
1944년 2월 25일
|
1943년 군사 쿠데타
|
|
28
|
23
|
|
에델미로 훌리안 파렐 (1887.2.12 ~ 1980.10.21) Edelmiro Julián Farrell
|
1944년 2월 25일
|
1946년 6월 4일
|
1943년 군사 쿠데타
|
무소속
|
29
|
24
|
|
후안 도밍고 페론 (1895.10.8 ~ 1974.7.1) Juan Domingo Perón
|
1946년 6월 4일
|
1952년 6월 4일
|
1946년 대선 - 52.84% 1,487,866표[13][15]
|
노동당 ( ~ 1947년) ↓ 정의당 (1947년 이후)
|
25
|
1952년 6월 4일
|
1955년 9월 21일
|
1951년 대선 - 63.4% 4,745,168표[13]
|
-
|
-
|
|
호세 도밍고 몰리나 고메스 (1896.9.26 ~ 1969) José Domingo Molina Gómez
|
1955년 9월 21일[16]
|
1955년 9월 23일
|
1955년 군사 쿠데타 군사 정부 지도자
|
|
30
|
26
|
|
에두아르도 로나르디 (1896.9.15 ~ 1956.3.22) Eduardo Lonardi
|
1955년 9월 23일
|
1955년 11월 13일
|
1955년 군사 쿠데타
|
무소속
|
31
|
27
|
|
페드로 에우헤니오 아람부루 (1903.5.21 ~ 1970.5.29) Pedro Eugenio Aramburu
|
1955년 11월 13일
|
1958년 5월 1일
|
1955년 군사 쿠데타
|
무소속
|
32
|
28
|
|
아르투로 프론디시 (1908.10.28 ~ 1995.4.18) Arturo Frondizi
|
1958년 5월 1일
|
1962년 3월 29일
|
1958년 대선 - 52.77% 4,090,840표[13]
|
비타협 급진 시민 연합
|
33
|
29
|
|
호세 마리아 기도 (1910.8.29 ~ 1975.6.13) José María Guido
|
1962년 3월 29일
|
1963년 10월 12일
|
1962년 군사 쿠데타
|
비타협 급진 시민 연합
|
34
|
30
|
|
아르투로 움베르토 일리아 (1990.8.4 ~ 1983.1.18) Arturo Umberto Illia
|
1963년 10월 12일
|
1966년 6월 28일
|
1963년 대선 - 31.9% 2,441,064표[13]
|
푸에블로 급진 시민 연합
|
군사 쿠데타 (1966년 6월 28일)
|
35
|
31
|
|
후안 카를로스 옹가니아 (1914.3.17 ~ 1995.6.8) Juan Carlos Onganía
|
1966년 6월 29일
|
1970년 6월 8일
|
1966년 군사 쿠데타
|
무소속
|
-
|
-
|
|
알레한드로 아구스틴 라누세 (1918.8.28 ~ 1996.8.26) Alejandro Agustín Lanusse
|
1970년 6월 8일
|
1970년 6월 18일
|
1970년 군사 쿠데타 3인 군사 위원회 의장
|
무소속
|
36
|
32
|
|
로베르토 마르셀로 레빙스톤 (1920.1.19 ~ 2015.6.17) Roberto Marcelo Levingston
|
1970년 6월 18일[17]
|
1971년 3월 22일
|
1966년 3인 군사 위원회 선출[17] - 100%
|
무소속
|
-
|
-
|
|
알레한드로 아구스틴 라누세 (1918.8.28 ~ 1996.8.26) Alejandro Agustín Lanusse
|
1971년 3월 22일
|
1971년 3월 26일
|
1971년 군사 쿠데타 3인 군사 위원회 의장
|
무소속
|
36
|
32
|
1971년 3월 26일
|
1973년 5월 25일
|
|
37
|
33
|
|
엑토르 호세 캄포라 (1909.3.26 ~ 1980.12.18) Héctor José Cámpora
|
1973년 5월 25일
|
1973년 7월 13일 (사임)
|
1973년 3월 대선 - 49.56% 5,907,464표[13][18]
|
해방 정의 전선(정의당)
|
38
|
-
|
|
라울 알베르토 라스티리 (1915.9.11 ~ 1978.12.11) Raúl Alberto Lastiri
|
1973년 7월 13일
|
1973년 10월 12일
|
임시 대통령 (하원의장)
|
해방 정의 전선(정의당)
|
39
|
34
|
|
후안 도밍고 페론 (1895.10.8 ~ 1974.7.1) Juan Domingo Perón
|
1973년 10월 12일
|
1974년 7월 1일
|
1973년 9월 대선 - 61.85% 7,359,252표[19]
|
해방 정의 전선(정의당)
|
40
|
34 (승계)
|
|
마리아 에스텔라 마르티네스 (1931.2.4 ~ ) María Estela Martínez
|
1974년 7월 1일
|
1976년 3월 24일
|
대통령 승계 (부통령)
|
해방 정의 전선(정의당)
|
-
|
-
|
|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 (1925.8.2 ~ 2013.5.17) Jorge Rafael Videla
|
1976년 3월 24일
|
1981년 3월 29일
|
1976년 군사 쿠데타 3인 군사 위원회 의장
|
|
41
|
35
|
1976년 3월 29일[20]
|
1981년 3월 29일[21]
|
1976년 3인 군사 위원회 선출[20] - 100%
|
42
|
36
|
|
로베르토 에두아르도 비올라 (1924.10.13 ~ 1994.9.30) Roberto Eduardo Viola
|
1981년 3월 29일[21]
|
1981년 12월 11일
|
1980년 3인 군사 위원회 선출[21][22] - 100%
|
무소속
|
-
|
-
|
|
카를로스 알베르토 라코스테 (1929.2.2 ~ 2004.6.25) Carlos Alberto Lacoste
|
1981년 12월 11일
|
1981년 12월 22일
|
임시 대통령
|
|
43
|
37
|
|
레오폴도 갈티에리 (1926.7.15 ~ 2003.1.12) Leopoldo Galtieri
|
1981년 12월 22일
|
1982년 6월 17일 (사임)
|
1981년 3인 군사 위원회 선출[23] - 100%
|
|
-
|
-
|
|
알프레도 생장 (1926.11.11 ~ 1987.9.2) Alfredo Saint-Jean
|
1982년 6월 17일
|
1982년 7월 1일
|
임시 대통령
|
|
44
|
38
|
|
레이날도 비그노네 (1928.1.21 ~ 2018.3.7) Reynaldo Bignone
|
1982년 7월 1일
|
1983년 12월 10일
|
1982년 3인 군사 위원회 선출 - 66.66% (3인 중 2표)[24]
|
|
45
|
39
|
|
라울 알폰신 (1927.3.12 ~ 2009.3.31) Raúl Alfonsín
|
1983년 12월 10일
|
1989년 7월 8일
|
1983년 대선 - 51.75% 7,724,559표[25][13]
|
급진시민연합
|
46
|
40
|
|
카를로스 메넴 (1930.7.2 ~2021.2.14) Carlos Menem
|
1989년 7월 8일
|
1995년 7월 8일
|
1989년 대선 - 47.49% 7,953,301표[25][13]
|
국민 연합 정의 전선(정의당)
|
41
|
1995년 7월 8일
|
1999년 12월 10일
|
1995년 대선 - 49.94% 8,687,319표[13]
|
정의당
|
47
|
42
|
|
페르난도 데 라 루아 (1937.9.15 ~2019.7.0 ) Fernando de la Rúa
|
1999년 12월 10일
|
2001년 12월 21일 (사임)[26]
|
1999년 대선 - 48.37% 9,167,261표[27]
|
노동, 정의 및 교육을 위한 연합 (급진시민연합)
|
-
|
-
|
|
라몬 푸에르타 (1951.9.9 ~ ) Ramón Puerta
|
2001년 12월 21일[26]
|
2001년 12월 23일
|
임시 대통령 (상원 의장)[26]
|
정의당
|
48
|
-
|
|
아돌포 로드리게스 사아 (1947.7.25 ~ ) Adolfo Rodríguez Saá
|
2001년 12월 23일
|
2001년 12월 30일 (사임)
|
2001년 의회 선출 - 81.65% 138표 (전체 투표자 수 169명)[28] 임시 대통령
|
정의당
|
-
|
-
|
|
에두아르도 카마노 (1946.6.17 ~ ) Eduardo Camaño
|
2001년 12월 30일
|
2002년 1월 2일
|
대통령 직무 대행 (하원 의장)
|
정의당
|
49
|
-
|
|
에두아르도 두알데 (1941.10.5 ~ ) Eduardo Duhalde
|
2002년 1월 2일
|
2003년 5월 25일
|
2002년 상하원 합동회의 선출[29][30][31] 임시 대통령
|
정의당
|
50
|
43
|
|
네스토르 키르치네르 (1950.2.25 ~ 2010.10.27) Néstor Kirchner
|
2003년 5월 25일
|
2007년 12월 10일
|
2003년 대선 - 22.2% 4,312,517표[32]
|
승리를 위한 전선(정의당)
|
51
|
44
|
|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1953.2.19 ~ ) Cristina Fernández
|
2007년 12월 10일
|
2011년 12월 10일
|
2007년 대선 - 45.29% 8,651,066표[33]
|
승리를 위한 전선(정의당)
|
45
|
2011년 12월 10일
|
2015년 12월 9일
|
2011년 대선 - 54.11% 11,864,456표[34]
|
52
|
-
|
|
페데리코 피네도 (1955.12.29 ~ ) Federico Pinedo
|
2015년 12월 9일
|
2015년 12월 10일
|
임시 대통령 (상원 의장)
|
바꾸자(Cambiemos) (공화주의제안당)
|
53
|
46
|
|
마우리시오 마크리 (1959.2.8 ~ ) Mauricio Macri
|
2015년 12월 10일
|
2019년 12월 10일
|
2015년 대선 - 51.34%[35] 12,997,937표[35]
|
바꾸자(Cambiemos) (공화주의제안당)
|
54
|
47
|
|
알베르토 페르난데스 (1959.4.2 ~ ) Alberto Fernández
|
2019년 12월 10일
|
2023년 12월 10일
|
2019년 대선 - 48.10% 12,473,709표
|
승리를 위한 전선(정의당)
|
55
|
48
|
|
하비에르 밀레이 (1970.10.22 ~) Javier Milei
|
2023년 12월 10일
|
|
2023년 대선 - 55.69% 14,476,462표
|
자유지상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