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는 아프가니스탄의 지진 목록이다. 아프가니스탄 에서는 특히 1998년 , 2002년 , 2023년 에 비교적 중간 규모의 지진이 매우 파괴적이었다. 이는 주로 비공식적 이고 어도비 주택에 거주하는 인구 때문으로, 이 주택들은 지진 흔들림에 극히 취약하다.[ 1]
지질학적 환경
아프가니스탄 은 유라시아판 의 남쪽 가장자리 근처에 있다.[ 2]
지진
날짜
장소
위도
경도
사망자
부상자
지진 규모
메르칼리 진도
비고
2023-10-07
헤라트
34.610
61.924
1,480
2,400
6.3 Mw
VIII
4번의 지진과 여진/극심한 피해.
[ 3]
2023-03-21
바다흐샨
36.523
70.979
21
424
6.5 Mw
V
중간 피해, 파키스탄의 10명 포함 총 21명 사망.
[ 4]
2022-09-06
바다흐샨
36.649
70.629
6
9
4.8 Mw
III
추가 피해
[ 5]
2022-09-04
쿠나르
34.662
70.701
18
42
5.1 Mw
VII
중간 피해
[ 6]
2022-07-18
호스트
33.108
69.470
44
5.1 Mw
V
추가 피해 / 여진
[ 7]
2022-06-24
카이베르파크툰크와 , 파키스탄
33.017
69.538
5
11
4.2 Mw
VII
모든 사망자는 아프가니스탄에서 발생 / 여진
[ 8]
2022-06-21
호스트
33.092
69.514
1,163
2,976
6.0 Mw
VIII
극심한 피해/산사태
[ 9]
2022-05-24
힌두쿠시
36.118
70.293
2
1
4.9 Mw
VI
경미한 피해
[ 10]
2022-02-05
힌두쿠시
36.445
71.117
3
5.8 Mw
IV
[ 11]
2022-01-17
바드기스
34.946
63.580
30
49
5.3 Mw
VI
[ 12]
2018-01-31
힌두쿠시
36.54
70.82
2
22
6.1 Mw
IV
2016-04-10
이시카심
6
28
6.6 Mw
V
2015-10-26
힌두쿠시
36.52
70.37
399
2,536
7.5 Mw
VII
2013-04-24
잘랄라바드-메흐타르 람
34.53
70.22
18
130
5.6 Mw
V
[ 13]
2012-06-11
바글란
36.05
69.30
75
-
5.4, 5.7
V
이중 지진
[ 14]
2010-04-18
사망간
35.71
67.68
11
-
5.6
VI
[ 15]
2009-10-22
힌두쿠시
36.52
70.95
5
-
6.2
V
[ 16]
2009-04-16
카불 근처
34.19
70.08
19
51
5.2 Mw
VI
이중 지진
2005-12-12
힌두쿠시
36.28
71.11
5
1
6.5 Mw
V
2002-03-25
힌두쿠시
35.93
69.19
2,000
3,000
6.1 Mw
VII
2002-03-03
힌두쿠시
36.5
70.48
166
일부
7.4 Mw
VI
1999-02-11
카불
34.3
69.36
70
500
6.0 Mw
VI
[ 17]
1998-05-30
타하르
37.17
70.09
4,000–4,500
10,001
6.5 Mw
VI
1998-02-04
타하르
37.17
70.14
2,323
818
5.9 Mw
VI
1994-05-01
마자르이샤리프
36.901
67.163
160
330
6.1 Mw
심각한 피해
[ 18]
1991-04-20
바다흐샨
36.416
70.912
4.1 Mw
III
100채의 가옥 피해
[ 19]
1991-04-08
바다흐샨
37.457
68.273
1
6
5.5 Mw
VII
중간 피해
[ 20]
1991-01-31
힌두쿠시
35.99
70.42
848
200
6.9 Mw
VII
극심한 피해
[ 21]
1990-07-13
힌두쿠시
36.415
70.789
43
2
6.4 Mw
IV
타지키스탄 에서 눈사태로 인한 사망
[ 22]
1985-07-29
힌두쿠시
36.190
70.896
5
38
7.4 Mw
VIII
파키스탄 과 타지키스탄 에서도 심각한 피해 발생
[ 23]
1984-02-16
힌두쿠시
36.431
70.826
4
13
6.4 Mw
IV
심각한 피해
[ 24]
1984-02-01
낭가르하르
34.616
70.484
1
35
6.1
VII
경미한 피해
[ 25]
1983-12-31
힌두쿠시
36.37
70.34
12–26
60–483
7.2 Mb
VII
심각한 피해
[ 26]
1982-12-16
바글란
36.148
69.011
450
다수
6.6 Ms
VI
심각한 피해
[ 27]
1981-06-13
사망간
36.176
67.827
1
2
5.5 Mw
VI
[ 28]
1918-11-15
힌두쿠시
36.202
70.711
7.8 Mw
V
[ 29]
1842-02-19
잘랄라바드
34.4
70.5
500
심각한 피해
[ 30]
818-05-15
힌두쿠시
36.8
66.2
다수
7.5 Ms
VIII
심각한 피해
[ 31]
같이 보기
각주
↑ “PAGER”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22년 6월 21일. 2022년 12월 1일에 확인함 .
↑ Ambraseyes, N. ; Bilham, R. (2003), “Earthquakes in Afghanistan”, 《Seismological Research Letters》 74 (2): 107, Bibcode :2003SeiRL..74..107A , doi :10.1785/gssrl.74.2.107
↑ Health Cluster;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3년 10월 10일). “Afghanistan Earthquake in Herat Province, Health Situation Report No. 4 10 October 2023” . ReliefWeb. 2023년 10월 11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0월 11일에 확인함 .
↑ “M 6.5 – 40 km SSE of Jurm, Afghanistan”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23년 3월 21일. 2023년 3월 24일에 확인함 .
↑ “M 4.8 – 30 km SW of Jurm, Afghanistan”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22년 9월 2일.
↑ “M 5.3 – 34 km NE of Jalālābād, Afghanistan”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22년 9월 5일에 확인함 .
↑ “M 5.1 – 49 km WNW of Khōst, Afghanistan”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22년 7월 18일에 확인함 .
↑ “M 4.3 – 49 km W of Miran Shah, Pakistan”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22년 6월 24일에 확인함 .
↑ “M 5.9 – 46 km SW of Khōst, Afghanistan”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22년 6월 22일에 확인함 .
↑ “M 5.0 – 63 km SE of Farkhār, Afghanistan”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 “M 5.7 – 45 km SW of Ashkāsham, Afghanistan”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 “M 5.3 – 41 km E of Qala i Naw, Afghanistan”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 “67 Significant Earthquakes where Country = AFGHANISTAN” . 2024년 3월 21일에 확인함 .
↑ “Afghan quakes: Landslide killed 80, says governor” . BBC News. 2012년 6월 12일. 2012년 6월 12일에 확인함 .
↑ “M5.6 – central Afghanistan”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 “M6.2 – Hindu Kush region, Afghanistan”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 “M 6.0 – 27 km WNW of ?uk?mat? Azrah, Afghanistan”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 “M 6.1 – Central Afghanistan”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24년 5월 15일에 확인함 .
↑ “M 4.1 – 50 km S of Jurm, Afghanistan”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 “M 5.5 – 14 km ESE of Boshchorbogh, Tajikistan”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 NGDC 1972
↑ “M 6.4 – 50 km S of Jurm, Afghanistan”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21년 10월 13일에 확인함 .
↑ “M 7.4 – 75 km S of Jurm, Afghanistan”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21년 11월 2일에 확인함 .
↑ “M 6.4 – 48 km S of Jurm, Afghanistan”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21년 11월 2일에 확인함 .
↑ “M 6.1 – 21 km N of Jal?l?b?d, Afghanistan”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21년 11월 2일에 확인함 .
↑ NGDC 1972
↑ “M 6.6 – 14 km NW of Nahr?n, Afghanistan”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21년 11월 2일에 확인함 .
↑ “M 5.5 – 19 km WSW of Aībak, Afghanistan”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23년 5월 3일에 확인함 .
↑ “M 7.8 – Hindu Kush region, Afghanistan”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1921년 11월 15일. 2021년 11월 2일에 확인함 .
↑ NGDC 1972
↑ NGDC 1972
참고 문헌
추가 자료
Ambraseys, N. ; Bilham, R. (2003), “Earthquakes in Afghanistan”, 《Seismological Research Letters》 74 (2): 107–123, Bibcode :2003SeiRL..74..107A , doi :10.1785/gssrl.74.2.107 , ISSN 0895-0695
Rehman, Khaista; Ali, Wajid; Ali, Asghar; Ali, Aamir; Barkat, Adnan (2017), “Shallow and intermediate depth earthquakes in the Hindu Kush region across the Afghan-Pakistan border”,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148 : 241–253, Bibcode :2017JAESc.148..241R , doi :10.1016/j.jseaes.2017.09.005 , ISSN 1367-9120
Stenz, Edward (1945), “Strong Earthquakes in Afghanistan”, 《Bulletin of the Polish Institute of Arts and Sciences in America》 3 (2): 398–411, JSTOR 24724993
Wheeler, Russell L. 2005. Seismotectonic Map of Afghanistan, with Annotated Bibliography [electronic Resource] / by Russell L. Wheeler ... [et Al.] ; Prepared Under the Auspices of the 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U.S. Geological Survey. Reston, Va: U.S. Dept. of the Interior, U.S. Geological 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