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가니스탄-중화인민공화국 국경은 아프가니스탄과 중화인민공화국 사이의 92km 국경으로, 파키스탄의 연방 직할 영토인 길기트발티스탄과 양국의 삼합점에서 시작하여 무스타그 산맥을 따라 분수계를 이루며 타지키스탄과의 삼합점에서 끝난다. 이 짧은 국경은 아프가니스탄의 북동쪽 끝에 위치하며, 양국의 많은 지역이나 도시 지역과는 멀리 떨어진 길고 좁은 와한 회랑의 끝에 있다. 국경의 중화인민공화국 쪽은 찰라치구 계곡(Chalachigu Valley)에 있다. 국경은 남쪽의 와흐지르 고개와 북쪽의 테게르만수 고개(Tegermansu Pass)를 포함한 여러 산길로 이어진다.
최근에는 주요 통로인 와흐지르 고개가 아프가니스탄에서 생산된 아편을 중화인민공화국으로 운반하는 저강도 마약 밀수 경로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2000년대에 아프가니스탄은 경제적 이유나 탈레반 반란에 맞서는 대체 보급로로 와한 회랑의 국경을 개방해 줄 것을 여러 차례 중화인민공화국에 요청했다.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은 회랑과 접해 있는 서부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불안정 때문에 대체로 거부했다.[7][8] 2009년 12월[update], 미국이 중화인민공화국에 회랑 개방을 요청했다고 보도되었다.[9]
1990년대부터 카슈가르 지역 정부는 경제적인 목적으로 테게르만수 고개(Tegermansu Pass)를 통관항으로 개방하려는 제안과 계획을 내놓았다.[10][11] 하지만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
지리
아프가니스탄-중화인민공화국 국경 (1969),[a] 1963년 조약에 언급된 대부분의 지형을 포함함
1963년 국경 조약 제1조는 아프가니스탄-중화인민공화국 국경을 남쪽 끝에서부터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남단에 위치한 해발 5,630m의 봉우리(참조 좌표는 대략 북위 37도 03분, 동경 74도 36분)에서 시작하여 양국 간의 경계선은 한편으로는 타슈쿠르간강의 지류인 카라추쿠르 수강(Karachukur Su River)[{{{설명}}}] 유역과 다른 한편으로는 악수강(Aksu River) 및 와흐지르강(Wakhjir River), 즉 와한강(Wakhan River)의 상류 사이의 무스타그 산맥 분수계를 따라 이어지며, 해발 4,923m의 남와흐지르 다반(South Wakhjir Daban, 아프가니스탄 지도에는 와흐지르 고개로 표기), 북와흐지르 다반(North Wakhjir Daban, 중국 지도에만 표기), 서코크토록 다반(West Koktorok Daban, 중국 지도에만 표기), 동코크토록 다반(East Koktorok Daban, 아프가니스탄 지도에는 카라질가 고개로 표기), 톡만 수 다반(Tok Man Su Daban, 아프가니스탄 지도에는 미흐만 욜리 고개로 표기), 시리크 타슈 다반(Sirik Tash Daban, 중국 지도에만 표기), 코크라시 콜 다반(Korrash Kol Daban, 아프가니스탄 지도에는 티가르만 수 고개로 표기)을 통과하여 해발 5,698m의 코크라시 콜 봉우리(Korrash Kol Peak, 아프가니스탄 지도에는 포발로 슈베이코프스키 봉우리로 표기)에 이른다.[12]
↑Office of the Geographer (1969년 5월 1일). “International Boundary Study - Afghanistan – China Boundary”(PDF). 미국 국무부 정보조사국. 2015년 1월 3일에 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3일에 확인함. The Afghanistan–China boundary agreement, signed on November 22, 1963, was the fifth of these boundaries treaties initiated by the Chinese communists.
↑“Afghanistan border crossings”. 《Caravanistan》. 2017년 2월 3일에 확인함. It is mostly used as a low-intensity drug-smuggling corridor to bring opium to China during the summer.
↑“新疆对外开放口岸一览表”. 《china.com.cn》 (중국어). 2019년 12월 23일에 확인함. 国别:阿富汗 口岸名称:托克满苏 开放时间:未定 说明:规划开放口岸(98年) Country: Afghanistan, Name of port: Tegermansu, Opening date: Undecided, Notes: Planning to open the port (1998)
↑아프가니스탄 (중국어 간체). 국가민족사무위원회. 2004년 7월 6일. 2008년 12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중아 국경{...}남쪽으로는 중화인민공화국,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3국의 경계인 5587봉에서 시작하여 무스타그 산맥 분수령을 따라 북쪽으로 코크라시 콜 봉우리까지 이어진다.
↑“중화인민공화국 보고서 정치, 사회 및 군사 문제 No. 363”(PDF). 미국 합동 출판 연구 서비스. 1982년 11월 18일. 1쪽. 2020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월 11일에 확인함 – 방어 기술 정보 센터 경유. 중화인민공화국 아틀라스를 펼쳐보면, 파미르 지역, 즉 신장의 서쪽 끝이 우즈벨(Uzbel) 고개에서 남쪽으로 코크라시 콜 봉우리(소비에트 러시아인들이 "파벨 슈베이코프스키 봉우리"라고 부르는)까지 제한되지 않은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