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가니스탄-중국 국경

아프가니스탄-중화인민공화국 국경을 포함한 지도

아프가니스탄-중화인민공화국 국경아프가니스탄중화인민공화국 사이의 92km 국경으로, 파키스탄의 연방 직할 영토인 길기트발티스탄과 양국의 삼합점에서 시작하여 무스타그 산맥을 따라 분수계를 이루며 타지키스탄과의 삼합점에서 끝난다. 이 짧은 국경은 아프가니스탄의 북동쪽 끝에 위치하며, 양국의 많은 지역이나 도시 지역과는 멀리 떨어진 길고 좁은 와한 회랑의 끝에 있다. 국경의 중화인민공화국 쪽은 찰라치구 계곡(Chalachigu Valley)에 있다. 국경은 남쪽의 와흐지르 고개와 북쪽의 테게르만수 고개(Tegermansu Pass)를 포함한 여러 산길로 이어진다.

국경 양측은 보호 지역이다. 아프가니스탄 쪽은 바다흐샨주 와한 지구와한 국립공원이고, 중화인민공화국 쪽은 신장 위구르 자치구 카슈가르 지구 타슈쿠르간 타지크 자치현의 타슈쿠르간 자연보호구(Taxkorgan Nature Reserve)이다.

이 국경은 아프가니스탄의 UTC+04:30과 중화인민공화국의 UTC+08:00 사이의 3.5시간 차이로 지구상에서 가장 큰 육상 시간대 차이를 나타낸다.[1]

역사

아프가니스탄 (초록색) 및 중화인민공화국 (주황색)

국경 지역은 비단길의 통로였다. 유명한 중국 불교 순례자 현장649년경 중국으로 돌아가는 길에 이 고개를 통과했다고 전해진다.[2]

국경은 대영 제국러시아 제국 간의 1895년 그레이트 게임의 일환으로 아프가니스탄과 중국 사이에 설정되었지만, 중화인민공화국과 아프가니스탄은 1963년이 되어서야 국경에 최종 합의했다.[3][4] 아프가니스탄 왕국중화인민공화국은 1963년에 국경을 획정했다.[3][5]

최근에는 주요 통로인 와흐지르 고개가 아프가니스탄에서 생산된 아편을 중화인민공화국으로 운반하는 저강도 마약 밀수 경로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2000년대에 아프가니스탄은 경제적 이유나 탈레반 반란에 맞서는 대체 보급로로 와한 회랑의 국경을 개방해 줄 것을 여러 차례 중화인민공화국에 요청했다.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은 회랑과 접해 있는 서부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불안정 때문에 대체로 거부했다.[7][8] 2009년 12월, 미국이 중화인민공화국에 회랑 개방을 요청했다고 보도되었다.[9]

1990년대부터 카슈가르 지역 정부는 경제적인 목적으로 테게르만수 고개(Tegermansu Pass)를 통관항으로 개방하려는 제안과 계획을 내놓았다.[10][11] 하지만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

지리

아프가니스탄-중화인민공화국 국경 (1969),[a] 1963년 조약에 언급된 대부분의 지형을 포함함

1963년 국경 조약 제1조는 아프가니스탄-중화인민공화국 국경을 남쪽 끝에서부터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남단에 위치한 해발 5,630m의 봉우리(참조 좌표는 대략 북위 37도 03분, 동경 74도 36분)에서 시작하여 양국 간의 경계선은 한편으로는 타슈쿠르간강의 지류인 카라추쿠르 수강(Karachukur Su River)[{{{설명}}}] 유역과 다른 한편으로는 악수강(Aksu River) 및 와흐지르강(Wakhjir River), 즉 와한강(Wakhan River)의 상류 사이의 무스타그 산맥 분수계를 따라 이어지며, 해발 4,923m의 남와흐지르 다반(South Wakhjir Daban, 아프가니스탄 지도에는 와흐지르 고개로 표기), 북와흐지르 다반(North Wakhjir Daban, 중국 지도에만 표기), 서코크토록 다반(West Koktorok Daban, 중국 지도에만 표기), 동코크토록 다반(East Koktorok Daban, 아프가니스탄 지도에는 카라질가 고개로 표기), 톡만 수 다반(Tok Man Su Daban, 아프가니스탄 지도에는 미흐만 욜리 고개로 표기), 시리크 타슈 다반(Sirik Tash Daban, 중국 지도에만 표기), 코크라시 콜 다반(Korrash Kol Daban, 아프가니스탄 지도에는 티가르만 수 고개로 표기)을 통과하여 해발 5,698m의 코크라시 콜 봉우리(Korrash Kol Peak, 아프가니스탄 지도에는 포발로 슈베이코프스키 봉우리로 표기)에 이른다.[12]

국경의 북쪽 끝은 아프가니스탄가장 동쪽에 있는 지점인 포발로-슈베이코프스코고 봉우리(Povalo-Shveikovskogo Peak)[13][14](중국어 간체자: 波万洛什维科夫斯基峰[15], 병음: Bōwànluò Shíwéikēfūsījī Fēng) / 코크라시 콜 봉우리(Kekelaqukaole Peak; 중국어: 克克拉去考勒[16], 병음: Kèkèlāqùkǎolè Fēng)에서 아프가니스탄-중화인민공화국-타지키스탄 삼합점에 위치한다.[17][18]

국경 통과 지점

역사적으로 양측 간의 주요 통과 지점은 와흐지르 고개였다. 와흐지르 고개는 비단길 이래로 최소 천 년 동안 사용되었다. 와흐지르 고개 외에도 소 파미르의 극동 끝에 위치한 테게르만수 고개(Tegermansu Pass)도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쪽의 찰라치구 계곡(Chalachigu Valley)은 방문객에게 폐쇄되어 있어 고개들은 폐쇄되어 있다. 그러나 지역 주민과 목축업자는 접근이 허용된다.

역사 지도 및 갤러리

아프가니스탄-중화인민공화국 국경의 20세기 중후반 영어 역사 지도:

같이 보기

내용주

  1. 지도 출처: "이름과 경계 표시는 반드시 권위 있는 것은 아님"
  2. 지도 출처: "국제 국경의 표시는 반드시 권위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됨"
  3. 지도 출처: "국제 국경 표시는 반드시 권위 있는 것은 아님."
  4. 지도 출처: "국제 국경 표시는 반드시 권위 있는 것은 아님"

각주

  1. Bill Bostock (2019년 6월 27일). “Afghanistan shares a tiny 46-mile border with China — here's the intriguing story of how the 2 countries became neighbors”. Insider Inc. – CIA 경유. 
  2. Stein, M. Aurel (1903년 6월 30일). “Exploration in Chinese Turkestan”. 《United States Congressional Serial Set》. 748호 (Washington, D.C.: 스미스소니언 협회). 752쪽. 2017년 2월 3일에 확인함. 
  3. 中华人民共和国和阿富汗王国边界条约》 [아프가니스탄-중화인민공화국 국경 협정] (중국어). 1963년 11월 22일 – 위키문헌 경유. 
  4. Office of the Geographer (1969년 5월 1일). “International Boundary Study - Afghanistan – China Boundary” (PDF). 미국 국무부 정보조사국. 2015년 1월 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3일에 확인함. The Afghanistan–China boundary agreement, signed on November 22, 1963, was the fifth of these boundaries treaties initiated by the Chinese communists. 
  5. 全国人民代表大会常务委员会关于签订中华人民共和国和阿富汗王国边界条约的决议 (중국어 간체). 전국인민대표대회. 2013년 10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월 12일에 확인함. 
  6. “Afghanistan border crossings”. 《Caravanistan》. 2017년 2월 3일에 확인함. It is mostly used as a low-intensity drug-smuggling corridor to bring opium to China during the summer. 
  7. Afghanistan tells China to open Wakhan corridor route. 더 힌두. 2009년 6월 11일 보관됨 2011-01-08 - 웨이백 머신
  8. China mulls Afghan border request. BBC 뉴스 온라인. 2009년 6월 12일
  9. South Asia Analysis Group: Paper No. 3579, 31 December 2009
  10. “新疆对外开放口岸一览表”. 《china.com.cn》 (중국어). 2019년 12월 23일에 확인함. 国别:阿富汗 口岸名称:托克满苏 开放时间:未定 说明:规划开放口岸(98年) Country: Afghanistan, Name of port: Tegermansu, Opening date: Undecided, Notes: Planning to open the port (1998) 
  11. 喀什地区发展和改革委员会 (카슈가르 지역 개발개혁위원회) (2016년 3월 17일). “喀什地区国民经济和社会发展第十三个五年” [카슈가르 지역 경제 사회 개발 13차 5개년 계획 (2016-2020)]. 2019년 10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2월 23일에 확인함. 推进新建中国-阿富汗托克满苏陆路口岸、中国-巴基斯坦铁路口岸、中国-塔吉克斯坦铁路口岸。改善现有口岸通关条件。 
  12. “International Boundary Study Afghanistan – China Boundary” (PDF). 2015년 1월 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5월 21일에 확인함. 
  13. Kamoludin Abdullaev (2018). 《Historical Dictionary of Tajikistan》 3판. Rowman & Littlefield. 92쪽. ISBN 9781538102527구글 도서 경유. 중국-타지크 국경.{...}이 산악 경계는 타지키스탄 동부의 사리콜 산맥을 따라 이어지며, 파미르고원에서 포발로-슈베이코프스코고 봉우리(해발 5,543미터)에서 아프간 국경에 이른다. 
  14. “NJ 43 수푸 [소련, 중화인민공화국,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잠무 카슈미르 주] 시리즈 1301, 5판-AMS” (영어). 워싱턴 D.C.: 육군 지도국. 1967년 3월 – 페리-카스타녜다 도서관 지도 컬렉션 경유. Pik Povalo-Shveikovskogo 
  15. 中华人民共和国和阿富汗王国边界条约 (중국어). 1963년 11월 22일 – 위키문헌 경유. 到高程为5698米的克克拉去考勒峰(阿方图称波万洛什维科夫斯基峰)。 
  16. 아프가니스탄 (중국어 간체). 국가민족사무위원회. 2004년 7월 6일. 2008년 12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중아 국경{...}남쪽으로는 중화인민공화국,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3국의 경계인 5587봉에서 시작하여 무스타그 산맥 분수령을 따라 북쪽으로 코크라시 콜 봉우리까지 이어진다. 
  17. Thomas L. Hughes (1964년 1월 14일). “The Afghanistan - China Boundary Settlement” (PDF). Bureau of Intelligence and Research. 1, 4쪽. 2021년 9월 10일에 확인함CIA 경유. The new boundary, 57 miles long,{...}and reaches Peak Kokrash Kol (called Peak Povalo Shveikovski on the Afghan map) with a height of 5,698 meters. 
  18. “중화인민공화국 보고서 정치, 사회 및 군사 문제 No. 363” (PDF). 미국 합동 출판 연구 서비스. 1982년 11월 18일. 1쪽. 2020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월 11일에 확인함방어 기술 정보 센터 경유. 중화인민공화국 아틀라스를 펼쳐보면, 파미르 지역, 즉 신장의 서쪽 끝이 우즈벨(Uzbel) 고개에서 남쪽으로 코크라시 콜 봉우리(소비에트 러시아인들이 "파벨 슈베이코프스키 봉우리"라고 부르는)까지 제한되지 않은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추가 문헌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