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수학과를 졸업했으며, 응용수학에 관한 100편 이상의 과학 논문을 발표했다. 피온트콥스키는 미국 수학회 회원이다. 경력 초기에 그는 종단 제어 문제,[6] 및 비정상 비선형 시스템에 대해 글을 썼다.[7] 후기 논문들은 냉전 이중 대립 시스템에서 전략적 안정성의 수학적 모델링에 할애되었다.[8]
논쟁적 경력
그는 2000년 1월 11일 소베츠카야 로시야에 발표되고[9] 같은 날 러시아 통일민주당 웹사이트에 게재된[10] 기사에서 처음으로[11] "푸틴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며, 이를 "러시아에서 깡패 자본주의의 최고이자 마지막 단계, 즉 반쯤 잊힌 고전이 말했듯이 부르주아지가 민주적 자유와 인권의 깃발을 내던지는 단계; 그리고 전쟁, 특정 민족 집단에 대한 증오를 바탕으로 한 국가의 '통합', 언론의 자유와 정보 세뇌에 대한 공격, 외부 세계로부터의 고립 및 추가적인 경제적 퇴보"라고 정의했다. 같은 기사에서 피온트콥스키는 푸틴주의가 러시아의 머리에 가해진 종말론적 총격이며, 보리스 옐친을 1932년 아돌프 히틀러에게 독일의 권력을 넘겨준 파울 폰 힌덴부르크에 비유했다.
피온트콥스키는 2006년 이후 폐쇄된 전략 연구 센터(모스크바) 싱크탱크의 전무 이사였다. 그는 노바야 가제타, 모스크바 타임스, 러시아 저널 및 온라인 저널 Grani.ru[12] 및 Transitions Online[13]에 정기적으로 기고했다. 그는 또한 BBC 월드 서비스와 모스크바의 자유유럽방송의 정기적인 정치 평론가이기도 했다. 그는 러시아에서 푸틴의 "관리된" 민주주의에 대한 노골적인 비판자였으며, 러시아를 "온건한 전체주의 정권"[14] 및 "하이브리드 파시즘"이라고 묘사했다.[15]
피온트콥스키는 러시아에서 푸틴 대통령 재임 기간에 관한 여러 책의 저자이며, 가장 최근에는 푸틴의 영혼에 대한 또 다른 시각(Another Look Into Putin's Soul)을 집필했다.[16][17]
피온트콥스키는 2010년 3월 10일에 발표된 온라인 반푸틴 선언문 "푸틴은 떠나야 한다"의 서명자 34명 중 한 명이다. 그는 후속 기사에서 이 선언문의 중요성을 반복해서 강조하고 시민들에게 서명할 것을 촉구했다.[18]
2013년 6월 26일, 피온트콥스키는 에드워드 스노든 사건에 대해 "만약 알렉세이 푸시코프가 스노든과 소련 반체제 인사를 비교한다면, 나는 그들 중 누구도 소련 특수 서비스와 관련이 없었으며, 누구도 국가 및 부서 비밀을 배신하지 않겠다고 맹세하지 않았다고 답변해야 한다"고 말했다.[19]
2016년에 그는 러시아-체첸 민족 갈등에 관한 기사 "폭발할 준비가 된 폭탄"("A bomb that is ready to explode")을 발표했다.[21] 검찰청이 그의 기사를 "극단주의적"으로 판단하고 형사 기소를 시작하자[22] 피온트콥스키는 마침내 2016년 2월 19일 러시아를 떠났다.[23][24][25]
2014년 파시즘 비난
피온트콥스키는 이고리 기르킨의 이름을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 중 하나로 언급하며, "진정한 원칙주의적 히틀러주의자들, 진정한 아리아 인종알렉산드르 두긴, 알렉산드르 프로하노프, 예고르 프로스비르닌(러시아어판), 예고르 홀모고로프, 이고리 기르킨, 자하르 프리레핀은 러시아에서 소외된 소수이다"라고 말한다.[26][27] 피온트콥스키는 "푸틴은 국내 히틀러주의자들로부터 러시아 제국의 이데올로기를 훔쳤고, 그들의 도움을 받아 수백 명의 가장 적극적인 지지자들을 우크라이나 방데의 용광로에 불태워 예방적으로 제거했다"고 덧붙였다.[26][27]자유유럽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피온트콥스키는 푸틴이 수행하는 작전의 의미는 사회 반란의 잠재적인 열정적인 지도자들을 모두 드러내어 우크라이나로 보내 우크라이나 방데의 용광로에 불태우는 것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28]
미국 망명
2022년 2월 11일 발표된 인터뷰에서 피온트콥스키는 라시즘의 이데올로기가 독일 파시즘(나치즘)과 여러 면에서 유사하다고 주장했고,[29] 2021년 8월 11일 발표된 인터뷰에서는 푸틴의 연설과 정책이 히틀러의 사상과 유사하다고 보았다.[30]
Piontkovsky, Andrei; Tsygichko, Vitali (1998년 8월). 《Russia and NATO after Paris and Madrid: a perspective from Moscow》. 《Contemporary Security Policy》 19. 121–125쪽. doi:10.1080/13523269808404196.
Gelovani, Viktor; Yegorov, Vsevolod; Mitrophanov, Viktor; Piontkovsky, Andrey (1974). Решение одной задачи управления для глобальной динамической модели Форрестера [포레스터의 세계 동역학 모델에 대한 하나의 제어 문제 해결]. 《자동화 및 원격 제어》 (러시아어) (소련 과학 아카데미 켈디쉬 응용수학 연구소).
Yurchenko, Valentin; Gelovani, Viktor; Piontkovsky, Andrey (1975). О задаче управления в глобальной модели World-3 [World-3 전역 모델의 제어 문제에 관하여] (러시아어). Moscow: 소련 과학 아카데미 관리 문제 연구소.
Yegorov, Vsevolod; Kallistov, Yuri; Mitrophanov, Viktor; Piontkovsky, Andrey (1980). Математические модели глобального развития [세계 개발의 수학적 모델] (러시아어). Leningrad: 히드로메테오이자트.
Исследование стратегической стабильности методами математического моделирования [수학적 모델링 방법을 통한 전략적 안정성 연구] (러시아어). Moscow: 소련 과학 아카데미 시스템 분석 연구소. 1988.
Gelovani, Viktor; Piontkovsky, Andrey; Yemeliyanov, Stanislav (1997). 《Эволюция концепций стратегической стабильности (Ядерное оружие в XX и XXI веке)》 [전략적 안정성 개념의 진화 (20세기와 21세기의 핵무기)] (러시아어). Moscow: 라임스. ISBN5876640840.
↑Klimina, Anna (2011). 《The futility of the neoliberal policy of deliberate market construction and the promise of an institutionalist alternative: the case of Russia's authoritarian transition》. 《Journal of Economic Issues》 45. 411–420쪽. doi:10.2753/JEI0021-3624450218. S2CID154346707.
↑Isaev, Gumer (January 2014). 《Russia and Egypt: conflicts in the political elite and protest movements in 2011–2012》. 《Journal of Eurasian Studies》 5. 60–67쪽. doi:10.1016/j.euras.2013.10.003.
↑Gelovani, V.A.; Piontkovsky, A.A.; Skerokhodov, A.P. (1990). 《Strategic Stability Analysis through Mathematical Modeling》.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11. 243–260쪽. doi:10.1177/019251219001100207.
↑Piontkovsky, Andrey (2000년 1월 11일). “Путинизм как высшая и заключительная стадия бандитского капитализма в России” [Putinism as highest and final stage of bandit capitalism in Russia]. 《Советская Россия》 (러시아어). 3호 (Moscow).
↑Fedorov, Valeriy; Baskakova, Yuliya; Byzov, Leontiy; Chernozub, Oleg; Mamonov, Mikhail; Gavrilov, Igor; Vyadro, Mikhail (2018). 〈"Путинизм" как социальный феномен и его ракурсы〉 ["Putinism" as a social phenomenon and its aspects]. Fedorov, Valeriy. 《Выборы на фоне Крыма: электоральный цикл 2016–2018 гг. и перспективы политического транзита》 [Elections against the backdrop of Crimea: election cycle 2016–2018 and perspectives of political transit] (러시아어). Moscow: ВЦИОМ. 587–602쪽. ISBN978-5041523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