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흔한 에스트로겐 약인 프레마린에 들어 있는 성분은 에스트론 황화합물과 스테로이드게 에스트로겐인 에퀼린과 에퀼레닌이다. 많은 자연적, 인공적인 화합물도 에스트로겐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이들 중 인공적인 화합물은 크세노에스트로겐이라고 부르며, 식물에서 만든 화합물은 피토에스트로겐, 균류에서 만드는 것은 미코에스트레겐이라고 부른다. 이들은 포유류에서 만드는 에스트로겐과는 달리, 스테로이드가 아닌 경우도 있다.
기능
에스트로겐은 남자와 여자 모두 가지고 있지만, 보통 여성이 생식 가능할 때 많이 생긴다. 2차 성징, 예를 들면 가슴의 발달에 큰 기여를 하며, 자궁 내막을 두껍게 하는 등 월경 주기에 역할을 한다. 남자에게는 에스트로겐이 정자가 자라는 데 영향을 미치는 등[4][5] 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건전한 성적 욕구를 위해서도 필요하다.[6]. 다른 몸의 많은 부분의 발전도 에스트로겐의 영향을 받는데 다음과 같다.
↑Fang H, Tong W, Shi L, Blair R, Perkins R, Branham W, Hass B, Xie Q, Dial S, Moland C, Sheehan D (2001).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for a large diverse set of natural, synthetic, and environmental estrogens.”. 《Chem Res Toxicol》 14 (3): 280–94. PMID 11258977.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Warnock JK, Swanson SG, Borel RW, Zipfel LM, Brennan JJ. (2005). “Combined esterified estrogens and methyltestosterone versus esterified estrogens alone in the treatment of loss of sexual interest in surgically menopausal women”. 《Menopause》 12 (4): 374–84. PMID 16037752.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