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만 제국 후기 집단학살

베를린에 위치한 1912년~1922년 오스만 제국 집단학살 희생자들을 기리는 기념비. 기념비에는 "아르메니아인", "소아시아, 폰투스동트라키아의 그리스인" 그리고 "아람인(시리아인/아시리아인/칼데아인)"이 언급되어 있다.

오스만 제국 후기 집단학살청년 튀르크당에 의해 191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 발생한 아르메니아인 집단학살, 그리스인 집단학살, 아시리아 집단학살이 개별적인 사건이 아닌 단일 사건의 일부로 보는 역사학적 이론이다.[1] 역사가 베니 모리스드로르 지비가 저술한 《30년간의 집단학살》(2019)을 포함한 일부 자료는 이 사건을 기독교인 집단학살로 규정하지만,[1][2][3] 도미니크 J. 샬러와 위르겐 침머러 같은 역사가들이 저술한 자료에서는 이러한 접근 방식이 "청년 튀르크당이 비기독교인들, 특히 무슬림 쿠르드족에게 가한 대규모 폭력을 무시한다"고 주장한다.[4][5][6]

개요

튀르키예계 네덜란드인 역사학자이자 집단학살 연구 교수인 우우르 위미트 윈괴르후기 오스만 제국과 그 후계 국가에서 발생한 대규모 폭력노예화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고 설명한다. 아다나 학살; 오스만 제국의 축소기 동안의 무슬림 박해; 아르메니아인 집단학살, 그리스인 집단학살, 아시리아 집단학살; 1921년 코치기리 학살; "1925년 셰이크 사이드 반란부터 1938년 데르심 학살까지 쿠르드족에 대한 대규모 폭력"; 1934년 1934년 트라키아 포그롬, 그리고 그리스 및 아르메니아 기독교인에 대한 1955년 이스탄불 포그롬이 이에 해당한다.[7]

다른 학자들은 때때로 1890년대 기독교 아르메니아인에 대한 초기 하미디안 학살이나 1916년부터 1934년 사이의 쿠르드족 추방을 포함하기도 한다.[8]

언론인 토머스 드 발에 따르면, 역사학자 티머시 스나이더의 《블러드랜즈》(2010)와 같이 1914년에서 1921년 사이 아나톨리아캅카스에서 발생한 모든 대규모 폭력을 다루는 작업은 부족하다.[9] 드 발은 "1915년~1916년의 아르메니아인 집단학살이 이 시기의 가장 큰 잔혹 행위로 부각될 것"이라고 제안하면서도, "그러한 작업은 또한 사람들이 무슨 일이 왜 일어났는지 이해하고, 이 시대에 비극적으로 죽어간 많은 무슬림에게 경의를 표할 수 있는 맥락을 확립할 것"이라고 덧붙였다.[9]

같이 보기

각주

  1. Morris, Benny; Ze'evi, Dror (2021년 11월 4일). “Then Came the Chance the Turks Have Been Waiting For: To Get Rid of Christians Once and For All”. 《하아레츠》 (텔아비브). 2021년 11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1월 5일에 확인함. 
  2. Morris, Benny; Ze'evi, Dror (2019). 《The Thirty-Year Genocide: Turkey's Destruction of Its Christian Minorities, 1894–1924》. 케임브리지 (매사추세츠주):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3–5쪽. ISBN 978-0-674-24008-7. 
  3. Gutman, David (2019). “The thirty year genocide: Turkey's destruction of its Christian minorities, 1894–1924”. 《Turkish Studies》 (라우틀리지) 21: 1–3. doi:10.1080/14683849.2019.1644170. S2CID 201424062. 
  4. Schaller, Dominik J.; Zimmerer, Jürgen (2008). “Late Ottoman genocides: the dissolution of the Ottoman Empire and Young Turkish population and extermination policies—introduction”. 《Journal of Genocide Research》 10 (1): 7–14. doi:10.1080/14623520801950820. S2CID 71515470. 
  5. Schaller, Dominik J.; Zimmerer, Jürgen, 편집. (2013). 《Late Ottoman Genocides: The dissolution of the Ottoman Empire and Young Turkish population and extermination policies》 (영어). Routledge. ISBN 978-1-317-99045-1. 
  6. Akçam, Taner (2011). 《The Young Turks' Crime Against Human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7. Üngör, Uğur Ümit (June 2008). 《Seeing like a nation-state: Young Turk social engineering in Eastern Turkey, 1913–50》. 《Journal of Genocide Research10 (런던뉴욕: 라우틀리지). 15–39쪽. doi:10.1080/14623520701850278. ISSN 1469-9494. OCLC 260038904. S2CID 71551858. 
  8. Deringil, Selim; Adjemian, Boris; Nichanian, Mikaël (2018). 《Mass Violence in the Late Ottoman Empire: A Discussion》. 《Études Arméniennes Contemporaines》 (OpenEdition Journals). 95–104쪽. doi:10.4000/eac.1803. ISSN 2425-1682. S2CID 165468004. 
  9. de Waal, Thomas (2015). 《Great Catastrophe: Armenians and Turks in the Shadow of Genocide》. 옥스퍼드뉴욕: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254쪽. ISBN 978-0-19-935069-8. 

참고 문헌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