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레일리아 오픈 여자 단식 우승자 목록

역대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여자 단식 우승자들의 목록이다.

목록

1969년 ~ 2000년

연도 우승자 준우승자 스코어 비고
1969년 오스트레일리아 마거릿 코트 미국 빌리 진 킹 6-4, 6-1
1970년 오스트레일리아 마거릿 코트 오스트레일리아 케리 멜빌 6-1, 6-3
1971년 오스트레일리아 마거릿 코트 오스트레일리아 이본 굴라공 2-6, 7-6(7-0), 7-5
1972년 영국 버지니아 웨이드 오스트레일리아 이본 굴라공 6-4, 6-4
1973년 오스트레일리아 마거릿 코트 오스트레일리아 이본 굴라공 6-4, 7-5
1974년 오스트레일리아 이본 굴라공 미국 크리스 에버트 7-6(7-5), 4-6. 6-0
1975년 오스트레일리아 이본 굴라공 체코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6-3, 6-2
1976년 오스트레일리아 이본 굴라공 체코 레나타 토마노바 6-2, 6-2
1977년 1월 오스트레일리아 케리 멜빌 오스트레일리아 다이앤 프롬홀츠 7-5, 6-2
1977년 12월 오스트레일리아 이본 굴라공 오스트레일리아 헬렌 굴레이 6-3, 6-0
1978년 오스트레일리아 크리스 오닐 미국 벳시 나겔센 6-3, 7-6(7-3)
1979년 미국 바바라 조던 미국 샤론 월시 6-3, 6-3
1980년 체코 하나 만들리코바 오스트레일리아 웬디 턴불 6-0, 7-5
1981년 미국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미국 크리스 에버트 6-7(4-7), 6-4, 7-5
1982년 미국 크리스 에버트 미국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6-3, 2-6, 6-3
1983년 미국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미국 캐시 조던 6-2, 7-6(7-5)
1984년 미국 크리스 에버트 체코 헬레나 수코바 6-7(4-7), 6-1, 6-3
1985년 미국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미국 크리스 에버트 6-2, 4-6, 6-2
1987년 체코슬로바키아 하나 만들리코바 미국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7–5, 7–6(7–1)
1988년 서독 슈테피 그라프 미국 크리스 에버트 6–1, 7–6(7–3)
1989년 서독 슈테피 그라프 체코슬로바키아 헬레나 수코바 6–4, 6–4
1990년 서독 슈테피 그라프 미국 메리 조 페르난데스 6–3, 6–4
1991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모니카 셀레스 체코슬로바키아 야나 노보트나 5–7, 6–3, 6–1
1992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모니카 셀레스 독일 슈테피 그라프 6–2, 6–3
1993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모니카 셀레스 독일 슈테피 그라프 4–6, 6–3, 6–2
1994년 독일 슈테피 그라프 스페인 아란하 산체스 비카리오 6–0, 6–2
1995년 프랑스 메리 피어스 스페인 아란차 산체스 비차리오 6–3, 6–2
1996년 미국 모니카 셀레스 독일 안케 후버 6–4, 6–1
1997년 스위스 마르티나 힝기스 프랑스 메리 피어스 6–2, 6–2
1998년 스위스 마르티나 힝기스 스페인 콘치타 마르티네스 6–3, 6–3
1999년 스위스 마르티나 힝기스 프랑스 아멜리 모레스모 6–2, 6–3
2000년 미국 린제이 대븐포트 스위스 마르티나 힝기스 6–1, 7–5

2001년 이후

연도 우승자 준우승자 스코어 비고
2001년 미국 제니프 카프리아티 스위스 마르티나 힝기스 6–4, 6–3
2002년 미국 제니퍼 카프라이티 스위스 마르티나 힝기스 4–6, 7–6(9–7), 6–2
2003년 미국 세리나 윌리엄스 미국 비너스 윌리엄스 7–6(7–4), 3–6, 6–4
2004년 벨기에 저스트린 에넹 벨기에 킴 클리스터스 6–3, 4–6, 6–3
2005년 미국 세레나 윌리엄스 미국 린제이 대븐포트 2–6, 6–3, 6–0
2006년 프랑스 아멜리 모레스모 벨기에 쥐스틴 에넹 6–1, 2–0 에넹 기권
2007년 미국 세레나 윌리엄스 러시아 마리아 샤라포바 6–1, 6–2
2008년 러시아 마리아 샤라포바 세르비아 아나이 바노비치 7–5, 6–3
2009년 미국 세레나 윌리엄스 러시아 디나라 사피나 6–0, 6–3
2010년 미국 세레나 윌리엄스 벨기에 저스트린 에넹 6–4, 3–6, 6–2
2011년 벨기에 짐 클리스터스 중화인민공화국 리나 3–6, 6–3, 6–3
2012년 벨기에 빅토리아 아자렌카 러시아 마리아 샤라포바 6–3, 6–0
2013년 벨라루스 빅토리아 아자렌카 중화인민공화국 리나 4–6, 6–4, 6–3
2014년 중화인민공화국 리나 슬로바키아 도미니카 치불코바 7–6(7–3), 6–0
2015년 미국 세레나 윌리엄스 러시아 마리아 샤라포바 6–3, 7–6(7–5)
2016년 독일 안젤리크 케르버 미국 세레나 윌리엄스 6–4, 3–6, 6–4
2017년 미국 세레나 윌리엄스 미국 비너스 윌리엄스 6–4, 6–4
2018년 덴마크 캐롤라인 보즈니이키 루마니아 시모나 할렙 7–6(7–2), 3–6, 6–4
2019년 일본 오사카 나오미 체코 페트라 크비토바 7–6(7–2), 5–7, 6–4
2020년 미국 소피아 케닌 스페인 가르비녜 무구루사 4–6, 6–2, 6–2
2021년 일본 오사카 나오미 미국 제니퍼 브래디 6–4, 6–3
2022년 오스트레일리아 애슐리 바티 미국 다니엘 콜린스 6–3, 7–6(7–2)
2023년 border 링크= 아리나 사발렌카 카자흐스탄 엘레나 리바키나 4–6, 6–3, 6–4
2024년 border 링크= 아리나 사발렌카 중화인민공화국 진친원 6–3, 6–2
2025년 미국 매디슨 키스 border 링크= 아리나 사발렌카 6–3, 2–6, 7–5

같이 보기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