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휘 면의 증거는 빈약하나, 주로 형태론을 근거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오스트로아시아어족 간의 연관성을 주장하는 이들은 오늘날에도 존재한다. 일부는 니코바르어파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간에 최근 밝혀진 형태론적 유사성이 계통 관계를 확실히 증명한다고 믿는다. 다른 연구자들은 계속해서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또는 크라다이어족 간의 잃어버린 어휘적 고리를 찾고 있다. Reid (2005)에서는 오스트릭어족 가설의 현황을 요약했다.
자동화 유사도 판정 프로그램(ASJP)를 활용한 2015년의 분석은 오스트릭어족 가설을 지지하지 않는다. 이 분석에서는 오스트릭어족 가설의 "핵심" 구성원 후보들을 오스트로타이어족과 오스트로아시아일본어족이라는, 서로 다르고 관련 없는 두 개의 분기군에 배정했다.[9] 그러나 ASJP는 어족 간의 관계를 확립하거나 평가하는 데 적절한 방법으로서 역사언어학자들 사이에서 널리 인정받지는 못하고 있다는 점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10]
분류 체계
아래의 분류 체계[출처 필요]가 가장 보편적인 방식이다. 몽몐어족은 가끔 포함되기도 하나, 종종 오스트로 대어족에서 제외된다.
↑The Current State of Linguistic Research on the Relatedness of the Language Families of East and Southeast Asia - Hawaii linguistic conference
↑Schmidt, Wilhelm (1930). ""Die Beziehungen der austrischen Sprachen zum Japanischen", 'The connections of the Austric languages to Japanese'". Wiener Beitrag zur Kulturgeschichte und Linguistik. 1: 239–51.
↑Benedict, Paul K. (1942). “Thai, Kadai, and Indonesian: A New Alignment in Southeastern Asia”. 《American Anthropologist》 4 (44): 576–601.
↑Benedict, Paul K. (1991). 〈Austric: An 'Extinct' Proto-language〉. Davidson, Jeremy H. C. S. 《Austroasiatic Languages: Essays in Honour of H. L. Shorto》. London: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7–11쪽.
↑Cf. comments by Adelaar, Blust and Campbell in Holman, Eric W., et al. (2011) "Automated Dating of the World’s Language Families Based on Lexical Similarity." Current Anthropology, vol. 52, no. 6, pp. 841–8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