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로드 차량(off-road vehicle, ORV) 또는 오프로드 자동차는 비포장도로와 표면을 주행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운송 수단이다.[1] 여기에는 트레일, 산림 도로, 기타 저접지 지형이 포함된다. 오프로드 차량은 레크리에이션 활동부터 농업 및 건설과 같은 실제 응용 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맥락에서 널리 사용된다. 여러 국가에 걸쳐 다양한 극한 지형으로 참가자들을 시험하는 연례 다카르 랠리와 같은[2] 행사는 이러한 차량에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가장 초기에 개조된 오프로드 차량 중 하나는 1906년부터 1916년까지 니콜라이 2세를 위해 일하던 아돌프 케그레스가 개발한 자동차 개조 시스템인 케그레스 트랙이었다.[3] 이 시스템은 맞물린 금속 세그먼트 대신 유연한 벨트가 있는 무한궤도를 사용하여 일반 차량에 장착하여 거친 지형이나 부드러운 지형에 적합한 하프 트랙으로 전환할 수 있었다.
1937년부터 1939년 사이에 토마스 폴터의 지휘 아래 설계된 대형 바퀴 차량인 남극 스노 크루저는 남극에서의 운송을 위해 고안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혁신적인 기능을 통합했지만, 혹독한 남극 조건에서 작동상의 어려움에 직면하여 중단되었다.[4]
원래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용 차량으로 개발된 지프는 민간인들 사이에서 다목적 차량으로 인기를 얻었다. 이것은 또한 취미로서의 험지주파의 시작이기도 했다. 그러나 전시 지프는 곧 낡았고, 지프 회사는 민간용 파생 모델을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곧이어 영국의 랜드로버와 일본의 토요타, 닷선/닛산, 스즈키, 미쓰비시에서 유사한 차량을 출시했다. 이들은 모두 비슷했다. 작고, 콤팩트하며, 4륜구동 차량으로, 탑승자를 날씨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작은 하드톱이 최대였다.
초기 오프로드 차량으로는 미국의 지프 왜고니어와 포드 브롱코, 영국의 랜드로버 레인지 로버, 일본의 토요타 랜드크루저, 닛산 패트롤, 스즈키 LJ 시리즈 등이 있었다. 이들은 스테이션 왜건과 유사한 차체를 가졌지만 경트럭과 유사한 프레임에 4륜구동드라이브트레인을 장착했다. 1990년대에 오프로드 차량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더 많은 회사들이 이른바 SUV 라인을 생산하기 시작했다.[5] 제조사들은 오프로드 차량이 소비자 시장에서 일반 차량과 경쟁력을 갖추도록 더 많은 기능을 통합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결국 현대의 SUV와 최신 크로스오버 차량으로 발전했으며, 이들의 오프로드 기능은 향상된 온로드 핸들링과 고급스러움에 대한 선호로 인해 감소했다.
포장도로 밖을 효과적으로 주행하려면 오프로드 차량은 낮은 지면 압력, 높은 최저 지상고, 그리고 고르지 않은 노면에서 바퀴 또는 무한궤도 접촉을 유지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바퀴 달린 차량은 크거나 추가적인 타이어와 높고 유연한 현가장치를 결합하여 이를 달성한다. 궤도 차량은 넓은 궤도와 유연한 현가장치를 사용한다.
궤도형 드라이브트레인은 생산 및 유지 보수 비용이 더 비싸지만 더 나은 오프로드 성능을 제공하며, 바퀴형 드라이브트레인은 더 저렴하고 더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다.
타이어는 바퀴형 오프로드 차량에 매우 중요하며, 오프로드 타이어 트레드 유형은 지형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인 유형으로는 A/T(올-터레인) 및 M/T(머드 터레인)가 있다. A/T 타이어는 모래에서 잘 작동하지만 진흙에서는 덜 효과적이다. 샌드 블래스터 및 머드보깅 타이어는 흙, 모래, 물과 같은 어려운 지형에서 높은 각도와 속도(오프로드 모터스포츠)에서 견인력을 확보하는 데 사용된다.[6]
대부분의 오프로드 차량은 저단 기어를 장착하여 운전자가 어려운 지형에서 느린 움직임을 위해 엔진의 사용 가능한 출력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한다. 표준 변속기와 연결된 내연기관은 출력이 너무 높은 경우가 많으며, 이는 매우 낮은("할머니") 1단 기어를 사용하거나(모든 휠 구동 폭스바겐 트랜스포터 버전과 같이) 첫 번째 기어와 일렬로 추가 변속기를 사용하여 해결되는데, 이를 감속 구동이라고 한다. Bv206과 같은 일부 차량에는 기어를 줄이기 위한 토크컨버터도 있다.[7]
ORV는 또한 다른 깨끗한 지역에 과도한 공해를 유발하고, 청각을 손상시키고 야생 동물에 스트레스를 줄 수 있는 소음 공해를 유발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20] 2002년, 미국 환경보호청은 전지형차에 대한 배출가스 기준을 채택했는데, "2012년에 완전히 시행되면 매년 2백만 톤 이상의 대기 오염 배출을 방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매년 3,200만 대 이상의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오염을 제거하는 것과 맞먹는다."[21][22]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2013년 7월)
국내에서는 사륜 오토바이로 많이 알려져 있다
전지형차(all-terrain vehicle, ATV)는 사륜 오토바이를 포함하여 도로 이외의 지형에도 사용할 수 있는 탈것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네 개의 바퀴를 가진 모델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사륜 오토바이로 더 잘 알려져 있으며, 산악 오토바이로 불리기도 한다.
↑“Off-Road Vehicle Act”. 《New Brunswick Acts and regulations》. Attorney General, New Brunswick, Canada. 1985년 6월 27일. 2007년 8월 18일에 원본 문서(Web)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17일에 확인함.
↑“Technical Notes”(PDF). 《Conserving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on Department of Defense Lands; Case Studies from the DoD Conservation Program (Page 13)》. US Department of Defense. 2004. 2007년 6월 28일에 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24일에 확인함.
↑“Recreation Management Goals and Strategies”(PDF). 《Capitol State Forest Recreation and Public Use Plan—Part II (Page 45)》.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2007년 2월 21일에 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24일에 확인함.
↑“Chapter 11. Field Management Status”(Web). 《Land Management (11.5.2 Identified Concerns of the Parks Department)》. Central Pine Barrens Joint Planning and Policy Commission. 2007년 6월 24일에 확인함.
Allen, Jim; Weber, James J. (2021). 《The Four-Wheeler's Bible: The Complete Guide to Off-Road and Overland Adventure Driving》 3판. Beverly, MA, USA: Motorbooks. ISBN9780760368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