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포스 신들은 주로 3세대와 4세대 불멸의 존재들로 구성된 신들의 종족이며, 그리스 판테온의 주신으로 숭배되었다. 이들은 올림포스산에 거주했기 때문에 그렇게 불렸다. 이들은 제우스가 형제자매들을 이끌고 이전 세대의 지배적인 불멸자들, 즉 그리스 태초신가이아와 우라노스의 자식들인 티탄족에 대항하여 10년간의 신들의 전쟁에서 승리하며 지배권을 얻었다. 이들은 신들의 가족으로, 가장 중요한 올림포스 1세대 신들은 티탄족 크로노스와 레아의 자손인 제우스, 포세이돈, 헤라, 데메테르, 헤스티아였으며, 여기에 제우스의 주요 자손인 아프로디테[3], 아테나, 아르테미스, 아폴론, 아레스, 헤파이스토스, 헤르메스, 디오니소스가 포함되었다. 하데스는 그리스 판테온의 주요 신이었고 제우스와 다른 올림포스 1세대 신들의 형제였지만, 그의 영역은 그리스 지하세계의 올림포스와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올림포스 신 중 하나로 간주되지 않았다.[4] 올림포스 신들은 그리스 지하신과 대조될 수 있는데,[5] 하데스와 그의 아내 페르세포네를 포함한 지하신들은 제단 대신 보트로스(βόθρος, "구덩이")나 메가론(μέγαρον, "움푹 들어간 방")[6]에서 희생 제물을 받았다.
올림포스 신의 정식 숫자는 12명이었지만, 위에 나열된 (13명의) 주요 올림포스 신들 외에도 올림포스에 거주하며 올림포스 신으로 간주될 수 있는 다른 많은 신들이 있었다.[7]헤라클레스는 신격화된 후 올림포스에 거주하게 되었고 또 다른 올림포스 거주자인 헤베와 결혼했다.[8]디오도로스 시켈로스에 따르면, 일부는 헤라클레스가 12신 중 한 명으로 제안되었으나, 이는 원래 12신 중 한 명이 "쫓겨나는" 것을 의미했기 때문에 거절했다고 전해진다.[9]일리아스에서는 12명의 티탄 중 하나로 등재된 여신 테미스가 다른 신들과 함께 올림포스에 거주하며,[10] 그녀를 티탄이자 올림포스 신으로 만든다. 헤시오도스에 따르면, 스틱스의 자녀들인 젤로스(질투), 니케(승리), 크라토스(힘), 비아(강제)는 "제우스와 떨어져 집을 가지지 않으며, 신이 이끄는 곳 외에는 어떤 거처나 길도 없으며, 항상 제우스와 함께 거주한다"고 한다.[11] 올림포스 신으로 간주될 수 있는 다른 신들로는 호라이, 그라에케, 무사, 에일레이티이아, 이리스, 디오네, 가니메데스 등이 있다.[12]
12신
고대 그리스 전역에는 다양한 구성원을 가진 12신 숭배 집단이 많았다. 12신(고대 그리스어: δωδεκάθεον, dōdekátheon, δώδεκαdōdeka, "12" 및 θεοίtheoi, "신"에서 유래)을 포함하는 그리스 종교 관습의 가장 초기의 증거는 기원전 6세기 후반보다 이르지 않다.[13]투키디데스에 따르면, 기원전 522년경 아테네의 아고라에 아르콘 피시스트라투스(히피아스의 아들이자 참주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손자)에 의해 12신 제단이 세워졌다.[14] 이 제단은 아테네에서 거리를 측정하는 중심점이 되었고, 간구와 피난의 장소였다.[15]
올림피아에도 일찍이 12신 전통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16]헤르메스에게 바치는 호메로스 찬가( 기원전 500년c.)에는 신 헤르메스가 아폴론에게서 훔친 두 마리 소를 희생 제물로 삼아 알페이오스강 강둑(아마도 올림피아에서)에서 12등분하는 내용이 나온다.
이후 헤르메스는 즐거운 마음으로 자신이 준비한 기름진 고기들을 매끄럽고 평평한 돌 위에 놓고, 제비를 뽑아 12등분하여 각 부분을 온전히 명예롭게 만들었다.[17]
핀다로스는 기원전 480년경 올림피아에서 불릴 송가에서 헤라클레스가 알페이오스강을 따라 "12명의 지배 신"에게 희생 제물을 바치는 내용을 언급한다.[18]
[헤라클레스]는 알티스 전체를 에워싸고 그 경계를 정했으며, 알페이오스강과 12명의 지배 신들을 기리며 그 주변 지역을 축제를 위한 휴식처로 만들었다.[19]
핀다로스의 또 다른 올림피아 송가에는 "여섯 개의 이중 제단"이 언급된다.[20]헤라클레이아의 헤로도루스(기원전 400년경) 역시 헤라클레스가 올림피아에 각 쌍이 하나의 제단을 공유하는 여섯 쌍의 신들을 모신 신전을 세웠다고 전한다.[21]
델로스섬, 칼케돈, 마그네시아 아드 마이안드룸, 시칠리아의 레온티노이를 포함하여 많은 다른 지역에서도 12신 숭배가 이루어졌다.[22] 올림포스 12신과 마찬가지로, 신의 수는 12명으로 고정되었지만 구성원은 다양했다.[23] 이 다른 12신 숭배에 포함된 신들 대부분은 올림포스 신이었지만, 올림포스 신이 아닌 존재들도 때때로 포함되었다. 예를 들어, 헤라클레이아의 헤로도루스는 올림피아의 여섯 쌍의 신들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제우스와 포세이돈, 헤라와 아테나, 헤르메스와 아폴론, 카리스와 디오니소스, 아르테미스와 알페이오스, 그리고 크로노스와 레아였다.[24] 따라서 이 목록에는 제우스, 포세이돈, 헤라, 아테나, 헤르메스, 아폴론, 아르테미스, 디오니소스의 8명의 올림포스 신이 포함되어 있지만, 올림포스 신이 아닌 3명(1세대 올림포스 신의 티탄 부모인 크로노스와 레아, 그리고 강신 알페이오스)도 포함되어 있으며, 카리스(여기서는 하나의 신으로 간주됨)의 지위는 불분명하다.
플라톤은 "12신"을 12개월과 연결시켰고, 마지막 달을 플루톤 (또는 하데스)과 죽은 자들의 영혼에게 바치자고 제안하며 그를 12신 중 한 명으로 여겼음을 암시한다.[25]
신들의 대장장이이자 장인; 대장간, 장인정신, 발명, 불, 화산의 신. 헤라의 아들로, 제우스와의 사이에서 태어나거나 처녀생식으로 태어났다. 아프로디테와 결혼했다. 그의 라틴어 이름 불카누스는 "화산"이라는 단어의 어원이 되었다. 그의 상징은 불, 모루, 도끼, 당나귀, 망치, 집게, 메추라기이다.
사랑, 쾌락, 열정, 번식, 생식력, 아름다움, 욕망의 여신. 제우스와 오케아니스 또는 티탄족 디오네의 딸이거나, 혹은 우라노스의 막내아들 크로노스에 의해 거세된 후 우라노스의 피가 바다에 떨어져 바다 거품에서 태어났을 수도 있다. 헤파이스토스와 결혼했지만, 특히 아레스와 많은 간통 관계를 가졌다. 그녀의 이름은 "춘약"이라는 단어의 어원이 되었고, 그녀의 라틴어 이름 베누스는 "venereal"이라는 단어의 어원이 되었다. 그녀의 상징은 비둘기, 새, 사과, 벌, 백조, 은매화, 장미이다.
신들의 사자; 여행, 상업, 통신, 경계, 웅변, 외교, 도둑, 게임의 신. 또한 죽은 영혼의 안내자였다. 제우스와 님프 마이아의 아들. 디오니소스보다 약간 나이가 많은 두 번째로 어린 올림포스 신. 그의 상징은 케뤼케이온 (두 마리 뱀이 얽힌 지팡이), 날개 달린 샌들과 모자, 황새, 거북(그의 등껍질로 리라를 발명함)이다.
대부분의 "올림포스 12신" 목록은 위의 11명에 헤스티아 또는 디오니소스를 더한 것으로 구성된다.
화로, 불, 가정과 가족의 올바른 질서의 여신; 그녀는 첫 번째 올림포스 세대에 태어났으며, 원래 12신 중 한 명이었다. 그녀는 크로노스와 레아의 첫째 자녀이자 하데스, 데메테르, 포세이돈, 헤라, 제우스의 언니이다. 일부 12신 목록에서는 그녀를 디오니소스 대신 제외하기도 하지만, 그녀가 평화를 위해 왕좌를 디오니소스에게 양보했다는 추측은 현대적인 발명으로 보인다.
포도주, 포도나무, 생식력, 축제, 황홀경, 광기, 부활의 신. 연극 예술의 수호신. 제우스와 필멸의 테베 공주 세멜레의 아들이며, 가장 어린 올림포스 신. 크레타 공주 아리아드네와 결혼했다. 그의 상징은 포도나무, 담쟁이, 잔, 호랑이, 표범, 흑표범, 돌고래, 염소, 솔방울이다.
↑누구를 올림포스 신으로 부를지는 완전히 명확하지 않다. 예를 들어, Dowden, p. 43, 헤라클레스, 헤베, 무사, 그라에케를 올림포스 신으로 묘사하고, p. 45에는 이리스, 디오네, 에일레이티이아를 호메로스 올림포스 신으로 열거하며, Hansen, p. 250, 헤라클레스, 헤베, 호라이, 가니메데스를 올림포스의 주목할 만한 거주자로 묘사하지만, "일반적으로 올림포스 신으로 분류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Rutherford, p. 44; Long, pp. 58 (T 13 A), 154; 핀다로스, 올림피아 5.5.
↑Dowden, p. 43; Rutherford, p. 47; Long, pp. 58–59 (T 13 B), 154; FGrH 31 F34a-b.
↑Rutherford, p. 45; Delos: Long, pp. 11, 87–90 (T 26), 182; Chalcedon: Long, pp. 56–57 (T 11 D), 217–218; Magnesia on the Maeander: Long, pp. 53–54 (T 7), 221–223; Leontinoi: Long, pp. 95–96 (T 32), p. 157.
↑Long, pp. 360–361, lists 54 Greek (and Roman) gods, including the thirteen Olympians mentioned above, who have been identified as members of one or more cultic groupings of twelve gods.
↑Dowden, p. 43; Rutherford, p. 47; Hard, p. 81; Long, pp. 58–59 (T 13 B), 141, 154; FGrH 31 F34a-b.
Dowden, Ken, "Olympian Gods, Olympian Pantheon", in A Companion to Greek Religion, Daniel Ogden editor, John Wiley & Sons, 2010. ISBN9781444334173.
Gadbery, Laura M., "The Sanctuary of the Twelve Gods in the Athenian Agora: A Revised View", Hesperia 61 (1992), pp. 447–489.
Gantz, Timothy, Early Greek Myth: A Guide to Literary and Artistic Sourc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6, Two volumes: ISBN978-0-8018-5360-9 (Vol. 1), ISBN978-0-8018-5362-3 (Vol. 2).
Hansen, William, William F. Hansen, Classical Mythology: A Guide to the Mythical World of the Greeks and Roman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ISBN9780195300352.
Hard, Robin (2004), The Routledge Handbook of Greek Mythology: Based on H.J. Rose's "Handbook of Greek Mythology", Psychology Press, 2004, ISBN9780415186360. Google Books.
Long, Charlotte R., The Twelve Gods of Greece and Rome, Brill Archive, Jan 1, 1987. Google Books.
Morford, Mark P. O., Robert J. Lenardon, Classical Mythology, Eighth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ISBN978-0-19-530805-1.
Müller, Karl Otfried, Ancient Art and Its Remains: Or, A Manual of the Archaeology of Art, translated by John Leitch, B. Quaritch, 1852.
Ogden, Daniel "Introduction" to A Companion to Greek Religion, Daniel Ogden editor, John Wiley & Sons, 2010. ISBN9781444334173.
Pache, Corinne Ondine, "Gods, Greek" in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and Rome, Volume 3,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ISBN9780195170726.
Rutherford, Ian, "Canonizing the Pantheon: the Dodekatheon in Greek Religion and its Origins" in The Gods of Ancient Greece: Identities and Transformations, editors Jan N. Bremmer, Andrew Erskin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0. ISBN978-0748637980.
Shapiro, H. A., "Chapter 20: Olympian Gods at Home and Abroad" in A Companion to Greek Art, editors Tyler Jo Smith, Dimitris Plantzos, John Wiley & Sons, 2012. ISBN9781118273371.
Thomas, Edmund, "From the pantheon of the gods to the Pantheon of Rome" in Pantheons: Transformations of a Monumental Idea, editors Richard Wrigley, Matthew Craske, Ashgate Publishing, Ltd., 2004. ISBN9780754608080.
투키디데스, Thucydides translated into English; with introduction, marginal analysis, notes, and indices. Volume 1., Benjamin Jowett. translator. Oxford. Clarendon Press. 1881. Online version at the Perseus Digital Libr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