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과 같이 0: 맹세의 장소
《용과 같이 0: 맹세의 장소》(일본어: 龍が如く0 誓いの場所 류가고토쿠제로 치카이노바쇼[*])는 세가 게임즈(2015년 3월까지는 세가)에서 2015년 3월 12일에 플레이스테이션 4와 플레이스테이션 3으로 출시된 게임 소프트웨어이다. 한국에서는 2016년 11월 17일 출시했다. 중국어권에는 人中之龍0 誓約的場所, 영어권에는 Yakuza 0이라는 제목으로 발매됐다. 캐치 프레이즈는 “전 일본이 광희 난무하고 있던 시대. ‘용’의 전설은 여기서부터 시작됐다”. 발매에 따라서, 본작과 연동하는 플레이스테이션 비타 전용 앱 《용과 같이0 기본 무료 앱 for PlayStation Vita》가 2015년 2월 26일에 무료 공개됐다[4]. 개요2014년 8월 24일에 행해진 니코니코 생방송의 방송 ‘용과 같이 특별방송 ~섹시 여배우 · 남자의 출연자 발표회~’에서 발표된, 시리즈 넘버링 타이틀의 최신작[5]. 이번 작품은 제목 그대로 1번째인 《용과 같이》보다도 과거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 되며, 키류 카즈마와 마지마 고로를 주인공을 카무로쵸와 소텐보리의 2개 도시가 무대가 된다. 컨셉트는 ‘돈 · 여자 · 폭력’이며, 특히 돈은 이번 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게스트 성우진으로 배우인 오자와 히토시, 나카노 히데오, 츠루미 신고, 이우라 아라타, 타케우치 리키, 와타리 테츠야[주 1] 등이 출연한다. 또, 이번 작품의 발표에 앞서서 행해졌던 ‘남자 출연자 오디션’ ‘섹시 여배우 인기투표’의 각 합격자(남성 8명, 여성 30명, 호스트 사진 20명)이 게임 내에 등장한다[5]. 작품 중의 붓글씨는 《유신》에 이어서 서예가인 나카츠카 스이토가 담당한다. 예약 특전으로 잡지 《Hot-Dog PRESS》와의 콜라보에 의한 특제책자 《용과 같이 Hot-Dog PRESS》가 들어있다. 표지에 실리는 것은 《Hot-Dog PRESS》에서 실제로 연재의 집필이나 표지 일러스트를 담당하고 있던 스에마츠 마사히로. 그 외의 예약 특전으로 게임 판매 점포별(11점포)로 각각 다른 특전이 부속된다. 시리즈 향례의 DLC[6]와 과거작의 세이브 데이터 불러오기에 의한 특전[주 2]은 이번 작품에서도 존재한다. 또, 《4》까지와 같이 ‘프리미엄 어드벤처’에서 했던 데이터를 불러오는 것이 가능해졌다(사용할 수 있는 난이도는 HARD까지). PPL도 건재하지만, 시대 설정을 반영해서 간판은 쇼와 말기 시대의 것으로 변경돼있다. 2015년 6월 기준으로, 일본 국내를 포함하는 아시아 지역에서의 판매수가 50만을 돌파했다[7]. 2016년 3월 17일에는 염가판이 발매[1]. 줄거리《용과 같이》보다 17년 전의 1988년. 거품 경제의 영향을 받은 환락가 카무로쵸. 키류 카즈마는 그 뒤를 쫓아서 간토 최대의 폭력단 ‘동성회’의 2차 단체 ‘도지마조’에 들어가지만 꿈이나 희망은 없이, 빚쟁이 아르바이트로 먹고 사는 생활을 하고 있었다. 오사카의 환락가 소텐보리. 동성회의 2차 단체 ‘시마노조’에 속해있던 마지마 고로는 조직을 거역한 죄로 극도회사에서 추방당하며, 간사이 최대의 폭력단 ‘오미연합’의 직계 단체 ‘사가와조’에 일반인으로 감시되어 살게 되며, 적자에 이은 카바레 ‘그랜드’의 지배인을 맡게 된다. 그랜드를 흑자 경영으로 되돌린 것으로 ‘밤의 제왕’이라고 사회적 승인을 받으나, 형무소에 들어간 의형제가 돌아올 장소를 만들기 위해서 극도로의 복귀를 목표로 하고 있었다. 카무로쵸에서 도지마조가 ‘카무로쵸 21세기 재개발 계획’에서 행해지는 거대 상업 시설 ‘밀레니엄 타워’ 건설의 이권취득을 위해서 100억엔 이상을 걸어서 주변의 토지 매수를 행하로 있었지만, 그 중에 ‘한 평의 공터’라는 토지가 발견되며, 그 토지의 소유자로부터 손에 넣지 않으면 계획을 실행할 수 없다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키류와 마지마는 카라의 한 평을 도는 항쟁에 휘말려 같이 휘말린 한 사람의 눈먼 여성을 지키게 된다. 등장인물게임 시스템기본적인 시스템은 전작인 《유신》에서 온 것이 많다.
노래용과 같이 0: 맹세의 장소 80's Hits! Collection
이번 작품의 시대 설정에 맞춰서 1980년대의 명곡을 10곡을 수록한 컴필레이션 음반이다.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재팬과의 컬레버레이션 기획이기도 하다. 초도판에는 프로덕트 코드가 들어있으며, 플레이 중의 BGM으로 재생이 가능해진다. 수록곡
주요 스태프
평가
각주내용주
참조주
외부 링크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