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의 종교

우크라이나의 종교에 관한 내용이다.

키예프 국제사회학연구소(KIIS)가 실시한 2022년 조사에 따르면 기독교는 우크라이나의 주요 종교이며, 인구의 85%가 기독교인이라고 한다. 인구의 72%가 동방 정교회에 대한 충성을 표명했다. 우크라이나인의 54%는 독립된 우크라이나 정교회를 지지한다고 선언했다. 14%는 소속 교회를 명시하지 않은 채 정교회 신자로 확인되었다. 4%는 모스크바 총대주교청과 연관되어 있다. 또 다른 9%의 우크라이나인은 우크라이나 가톨릭 교회에 대한 헌신을 공언했다. 8%는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신자이고 1%는 라틴 가톨릭 신자이다. 인구의 2%는 주류 개신교에 소속되어 있다고 선언했고, 추가로 2%는 기독교의 대안적인 종파에 속해 있다고 밝혔다.[1]

우크라이나인의 10%가 무신론자로 확인되었다. 우크라이나에서는 기독교가 압도적으로 우세한 상황에서 2020년, 2021년, 2022년에 KIIS가 조사한 인구의 대표적인 통계 표본에 따르면 응답자 중 유대교와 이슬람교를 믿는 사람은 0%였다. 2018년 라줌코프 센터(Razumkov Center)의 이전 조사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의 유대인은 인구의 0.4%로 추정되었으며, 힌두교, 불교, 이교(Rodnovery)를 따르는 소수민족은 0.1%에 불과했다. 라줌코프가 2000년대와 2010년대 초반에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이러한 비율은 지난 10년 동안 상대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 반면, 전체 신자의 비율은 2014년 76%에서 2016년 70%, 2018년 72%로 감소했다.[2][3]

2022년 현재 기독교는 대부분의 그리스 가톨릭 신자가 살고 있는 우크라이나 서부 지역에서 특히 강세를 보였다. 중부, 남부 및 동부 지역에서는 기독교인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더 낮으며, 특히 돈바스의 가장 동쪽 지역에서는 기독교인의 비율이 낮다. 기독교 외에 우크라이나에 존재하는 또 다른 종교는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 공동체로 구성된 로드노베리(슬라브 원주민 신앙)이다(일부 로드노버 조직은 이 종교를 정교회(우크라이나어: Правосла́в'я, 로마자 표기: Pravoslávʺya)라고 부른다.[4][5]

이슬람교를 믿는 크리미안 타타르족은 크리미아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2014년 이전에는 우크라이나의 속국이었으나 그 해부터 러시아에 점령당했다. 2016년 현재, 무슬림이 2013년 인구의 15%를 차지했던 크림 반도를 제외하면,[6] 돈바스만이 다른 우크라이나 지역(6%)에 비해 더 큰 무슬림 공동체를 유지하고 있다.

2014년 돈바스에서 전쟁이 발발하기 전부터, 그러나 그해 이후 더욱 격렬해진 전쟁이 일어나기 전부터 우크라이나 내 친우크라이나와 친러시아 종교 단체 사이에 소요가 발생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러시아와 관련된 종교 단체 대표들에 대해 개인적 제재를 가하는 국가 안보 및 국방 위원회 결정을 제정하는 법령에 서명했다.[7] 우크라이나 정부는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의 우크라이나 정교회를 구체적으로 조사하고 친러시아 운동과 관련된 모든 활동을 금지할 예정이다.

같이 보기

각주

  1. “Press releases and reports - Dynamics of religious self-identification of the population of Ukraine”. Kyiv International Institute of Sociology (KIIS). 2022년 8월 5일. 2023년 1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2월 8일에 확인함. 
  2. Особливості Релігійного І Церковно-Релігійного Самовизначення Українських Громадян: Тенденції 2010–2018 [Features of Religious and Church – Religious Self-Determination of Ukrainian Citizens: Trends 2010–2018] (PDF) (우크라이나어), Kyiv: Razumkov Center in collaboration with the All-Ukrainian Council of Churches, 2018년 4월 22일, 12, 13, 16, 31쪽, 2018년 4월 2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Sample of 2,018 respondents aged 18 years and over, interviewed 23–28 March 2018 in all regions of Ukraine except Crimea and the occupied territories of the Donetsk and Lugansk regions.
  3. Релігія, Церква, суспільство і держава: два роки після Майдану [Religion, Church, Society and State: Two Years after Maidan] (PDF) (우크라이나어), Kyiv: Razumkov Center in collaboration with the All-Ukrainian Council of Churches, 2016년 5월 26일, 22, 27, 29, 31쪽, 2017년 4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Sample of 2,018 respondents aged 18 years and over, interviewed 25–30 March 2016 in all regions of Ukraine except Crimea and the occupied territories of the Donetsk and Lugansk regions.
  4. Proshak, Vitaliy Valentynovych (2006). "Paganism in Ukraine: Its Beliefs, Encounter with Christianity, and Survival" 보관됨 2022-03-30 - 웨이백 머신. Theological Reflections (7), 2006. p. 145
  5. Kolesnychenko, Tetiana. "Non-Christian Orthodox believers". Den' (День), day.kyiv.ua, 28 November 2006. Retrieved 1 May 2017.
  6. “Public Opinion Survey Residents of the Autonomous Republic of Crimea” (PDF). , The sample consisted of 1,200 permanent Crimea residents older than the age of 18 and eligible to vote and is representative of the general population by age, gender, education and religion.
  7. “Ukraine bans religious organizations with links to Russia”. 《AP NEWS》 (영어). 2022년 12월 2일. 2022년 12월 1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