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토론:전문 용어의 표기/보존1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토론 내용입니다. 새로운 토론은 새 문단에서 다뤄주세요.
이동백:표기의 내용이 너무 길어져서 일부 내용이 "위키백과:전문용어의 표기"로 옮겨졌습니다. 다음의 내용이 아직 합의되지 않아 토론으로 이동하게 되었음을 양해 바랍니다. --ted (토론) 2012년 9월 25일 (화) 11:24 (KST)답변
컴퓨터 용어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의 정보통신용어사전을 참조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TTA에 따르면 "정보통신용어사전은 정보통신 관련 학계ㆍ업계 전문가의 심의를 거쳐 편찬한 표준사전으로 컴퓨터, 일반ㆍ인터넷 용어는 물론 전기통신ㆍ방송ㆍ전파통신ㆍ정보기술ㆍ데이터 통신용어 등 2만여 용어를 수록한 최신사전입니다."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학계ㆍ업계 전문가 심의를 거쳐 편찬한 표준사전이고 이를 따르면 되는 것인데, 굳이 학계ㆍ업계에서 표준적으로 쓰이는 개별 사례를 별도로 일일이 확인할 필요가 있는지는 의문입니다. --ted (토론) 2013년 7월 11일 (목) 02:32 (KST)답변
개별 사례에 대한 확인제가 생각하는 확인이란 이런 것입니다. --거북이 (토론) 2013년 7월 11일 (목) 15:57 (KST)답변
Elyr님의 상세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en:SQL injection의 경우 인젝션이 압도적이니까 인젝션을 지지합니다만, 삽입/주입같은 동작을 표현한 어휘라면 우리말로 고치는게 직관적이라고 생각해서 삽입쪽으로 정해져도 괜찮다 봅니다. hadron / lepton은 어디도 압도하지 못했으므로 물리학회를 따라가는 편이 좋겠구요. ykhwong님께서 가끔 말씀하시는 청산가리와 사이안화 칼륨의 경우 청산가리가 더 적합하다는 입장입니다. 디렉토리/터리는 외래어를 음차하는 방식의 문제이므로 청산가리와는 또 조금 다른 경우라 생각해요. --거북이 (토론) 2013년 7월 26일 (금) 10:55 (KST)답변
중간정리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전문 용어 제목에 관한 변경 제안이 있다면 다음의 과정을 거침:
다르게 보시는 분은 다르게 정리해주세요~ 남는 논점은, 일반어에 준할만큼 사용된다의 기준을 어디로 잡을 것인가인것 같습니다. jytim님의 75%도 기준일 수 있구요. 저는 n개 이상의 비전문적 글(블로그 포스트/뉴스...)에서 발견되는 용어라면 일반어 아닌가 하고 생각합니다. n은 얘기해서 정해볼 수 있겠지요. 다른분들 의견은 어떠실지요. --거북이 (토론) 2013년 7월 26일 (금) 10:55 (KST)답변 이 단락에서 이 단락 위의 단락(들)에 언급된, 문제가 될만한 사항들(사례 등)이 일부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만, 이들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반인들이 특정 용어를 보고 의미를 추측하지 못하는 등의 일이 있지 않다면 표준화 단체의 용어 표기를 중시"라는 의견도 무시된 것 같습니다. (상기 "개별 사례에 대한 확인"의 경우 거북이님의 안을 제시한 것이라면, "중간 정리 단락"의 경우 여러 사용자들의 의견들을 중간 정리한 것이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또, 전문 용어는 업계에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학술 단체에서도 사용하므로 굳이 업계만을 고집할 필요는 없습니다. 게다가 "전문용어 단체의 표기 참조" 이후에 표준화 단체에서 왜 그 표기를 사용하는가에 대한 확인 절차도 포함되는 것이 좋겠습니다. 적어도 표준화 단체에서의 용어 채택 이유는 알 필요가 있겠지요. 2-2번째에서 "저빈도 어휘면 전문용어로 간주"라고 되어 있는데, 저빈도 어휘가 아니라면 전문 용어가 아니라는 의미인가요? --ted (토론) 2013년 7월 26일 (금) 12:24 (KST)답변
일반인들이 해당 표기를 보고 의미를 추측하지 못하는 일이 있지 않다면 표준어 단체의 용어 표기 중시의 예를 들어봐주세요. 빠져야 하는거 아닌가 싶거든요. --거북이 (토론) 2013년 8월 26일 (월) 13:50 (KST)답변
저는 이정도로 갔으면 합니다. --거북이 (토론) 2013년 8월 28일 (수) 12:53 (KST)답변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