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토론:편집 지침/보존문서3
저작물의 명칭과 표기: 해외 TV 프로그램적어도 해외 프로그램을 다룰 때, 현재의 지침인 "공식적인 한국어 표기가 여러 개일 경우 그 중 하나를 따른다."는 무리가 따른다고 생각합니다. 예로 제시된 SpongeBob SquarePants는 아시다시피 두 가지의 한국어 녹음이 있습니다. "네모네모 스펀지 송"이라는 제목을 쓰는 EBS녹음과 "보글보글 스폰지밥"이라는 제목을 쓰는 재능방송녹음(Nick이라는 케이블채널에서 방송되는 게 이 녹음입니다.)이 그것이지요. 둘 다 현재 공식적인 한국어 제목인데(그런데도 양 사간 법적 논쟁이 없었다는 게 신기합니다.), 두 제목중 하나만 따른다는 건 중립원칙에 위배되는 일입니다. 비슷한 경우에 대한 비슷한 대책을 사랑방에서 제시한 일이 있습니다만, 그 때 올라간 댓글들 등을 고려해서 약간 다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대한민국에 정식으로 소개가 되지 않은, 그러니까, 대한민국 영토에서 송출되는 채널들(예: KBS, SBS, OCN, 투니버스)을 통하여, 자막으로든 녹음으로든 방송되지 아니한 TV 프로그램에도 이 규칙을 적용해 보는 게 어떨까요? 그러고 보니까, 위 국가들을 제외한 비로마자 언어 국가에서 제작된 프로그램은 어찌할 것인가를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의견이 더 필요합니다.--성혀니 2007년 8월 4일 (토) 14:08 (KST)
제목도 번역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옛날 홍콩 영화 중에 '시티 워'라는 게 있는데 중국어 제목은 城市戰爭, 영문 제목은 City War입니다. 이미 '시티 워'로 상영되었기에 문제 없지만 저 제목을 우리말로 쓸 필요가 있어 쓸 경우, 저 제목을 '성시전쟁'이라고 쓰는 것은 무의미한 일입니다. 뜻을 전해주지 못합니다. 한국말은 한글과 한자로 표현합니다. 'sponge'라고는 가능해도 sponge 이런 식으로 써서는 안됩니다. 또 하나 고려되어야 할 점은 영화제목은 사람 이름이나 도시 이름 같은 것과는 성질이 다르다는 것입니다.Diabetes333 2007년 8월 4일 (토) 22:13 (KST) 일본 드라마 '山おんな壁おんな'는 우리나라에 방영,수입된 적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그러나 일본드라마 애호가들이 많이 가는 사이트에서는 '빵빵녀와 절벽녀'란 제목으로 불립니다. 수입사는 아니지만 이미 그 제목으로 기억하는 사람이 많을 것입니다. 저것을 '산여자,벽여자'식으로 직역하는게 꼭 좋은지 모르겠습니다.Diabetes333 2007년 8월 4일 (토) 22:21 (KST)
일본어는 반드시 직역할 필요없습니다. 오히려 알수없는 제목으로 바뀔수 있는 제목이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선 통용 표기를 우선으로 하는 게 좋습니다. 로마자 표기를 그대로 쓰는것은 반대합습니다. --크렌베리 2007년 8월 4일 (토) 22:32 (KST)
서론 부분 편집에 대하여서론 부분 편집에 대한 지침을 제안드립니다. 첫째, 서론 및 본문 틀을 이용한 문서의 체계화입니다. 예컨대,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교통, 대한민국의 항공 교통, 대한민국의 공항과 같은 상-하위 단계의 문서들이 있습니다. 이 때, 대한민국의 교통에 작성한 서론 부분을 대한민국의 대한민국#교통에 같은 내용으로 기술하고 {{본문}} 틀을 이용하여 그 해당 부분이 대한민국의 교통에서 가져왔다고 밝히는 것입니다. 또한 대한민국의 교통의 서론 부분에도 그 서론 부분이 수정되는 경우에는 대한민국#교통에도 마찬가지로 수정 내용을 반영하여 달라는 뜻을 밝혀 놓습니다. 이런 식으로 문서들을 서로 연결해 주면 문서의 체계화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둘째, 서론의 문서양에 관한 제안입니다. 서론의 특성 상 간결하게 해당 문서 전체의 내용을 아우를 수 있도록 작성되어야 할 것입니다. 제 생각으로는 서론은 1단락, 3문장, 100음절을 넘지 않게 작성한다는 정도의 지침이 어떨까 합니다.Nichetas 2007년 10월 5일 (금) 13:12 (KST) 전화 번호공공기관이나 회사, 학교 문서에 전화번호가 있는 경우가 종종 보입니다. 백과사전이 해당 기관의 전화번호를 안내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공식 홈페이지로의 링크만 있다면 충분하겠지요.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전화번호 표시는 하지 않도록 지침을 추가했으면 하는데,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 --정안영민 2007년 10월 23일 (화) 03:40 (KST)
지침에 “개인이나 기관의 전화번호나 팩스번호를 안내하지 않습니다.”라는 내용을 추가했습니다. :) --정안영민 2008년 1월 9일 (수) 20:00 (KST) 편집 지침의 단순화 필요성당신이 반드시 하지 말아야 하는 부분과 누군가는 해야할 부분을 구분할 필요가 있습니다. 많은 wikipedia의 문서들이 비전문가가 시작한 엉터리(?) 잛은 글을보고 전문가의 보정과 설명이 추가되는 과정에서 만들어집니다. 너무 많은 to do/not to do를 강조하다보면 비전문가의 참여가 적어지고, 그렇게되면 1% 법칙으로 대변되는 개방형 지식 공유가 힘들어집니다. 여기는 개방형 협력을 통한 다양성을 우선으로하는 백과사전 만들기 사이트이지 정확도에만 초첨을 맞추는 브래타니카식 전문가 백과사전이 아님을 항상 명심합시다. 정확도와 질의 수준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비용을 원칙으로 하는 사이트로 고수준을 요구하는 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이보다는 약간의 질은 희생하더라도 다양성을 갖춤으로 기존 백과사전과 차별화하는 것이 더 바람직합니다. 비슷한 예로 동영상 제공자로 CNN, iTune, YouTube의 차이에 대한 비교가 있습니다. 또한, 실험적으로도 다양성을 늘리게되면 매우 고수준의 문서가 아니더라도 인간 '뇌'의 정규화 작업을 통해 정확도가 향상된 효과를 가져온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참고로 wikipedia 참여자를 위한 준필독 추천 도서를 소개합니다.
저도 분류에 대해서 Jamessungjin.kim님과 같은 의견입니다. 위키백과에 익숙하지 않은 분에게 분류를 달아달라는 부탁은 짐이 될 수 있습니다. “분류를 달아주면 더욱 좋습니다” 정도의 안내가 되야지, “분류를 꼭 달아주시기 바랍니다”식의 표현은 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 --정안영민 2008년 1월 9일 (수) 19:55 (KST) 용의자·피의자의 실명 게재위키백과:사랑방/2008년 제7주#범죄인의 실명 게시에서 토론하던 내용을 가져옵니다. 여기서 결론이 났으면 좋겠네요. 김성재 사건의 경우 피의자 실명은 널리 알려져 있는데요. 이것도 이름 올리면 규칙 위반인가요? 북극펭귄님 2008년 2월 13일 (수) 17:00 (KST)
참고로 말씀 드린다면 조선일보가 이에 대해서 회사의 입장을 밝힌 글을 신문에서 봤습니다(언제적 기사인지는 기억에 사라졌지만..). 범죄자(용의자)의 실명을 게재하는 경우는 흉악한 범죄를 저지른 경우나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는 범죄에 대해 회사는 실명을 밝힌다고 했습니다. 이에 따라서 대구지하철 방화사건 피의자 김대한도, 연쇄 살인범 유영철도, 이번에 방화사건 피의자 채종기도 조선일보에는 실명이 게재 되었습니다. --해피해피 2008년 2월 13일 (수) 18:53 (KST)
직접 상대방을 호칭하는 경우가 아닌 문서에 이름을 쓸때는 본래 "~~씨"와 같은 경칭 등을 붙이지 않습니다. 실명을 개제하지 않는다면, 그냥 김모는, 김모가 등으로 쓰면 됩니다. 그리고 일정한 지위에 따른 직급명이나 직책명이 있다면, 그 당시에 맡았던 직책명을 써주게 됩니다. (대령, 소장, 과장, 차장, 이사 같은 용어들이죠). 따라서 이 경우, (방화범 이름을 모르겠는데), 실명을 쓰기로 했다고 하고, 방화범 이름이 이명박이라면 문서에는 그냥 "이명박"이라고 쓰면 됩니다. 이명박이란 방화범이 어떤 직책을 가지고 있었다면, (예를 들면, 부장이라고 할까) "이명박 부장"이라고 써줘도 됩니다. 그러나, 그 직책과 사건이 직접 연관이 없다면, 생략해도 무방합니다(참고로, 메일을 쓸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실명을 밝히지 않기로 했다면, "이모는", "이모가" 등으로 쓰면 되고, 친척을 가리킬때 사용하는 "이모"와 헷갈린다면, "이(李)모" 또는 "이모(某)" 등으로 쓰면 됩니다. 요약하자면, 상대방을 직접 부르는 것이 아닌, 문서에서 사람 이름을 언급할 경우에는 "~~씨", "~~님"등을 붙이는 것이 아니며, 이 경우 그냥 "이명박은", "이명박이" 등으로 쓰면 됩니다. --WaffenSS 2008년 2월 15일 (금) 01:29 (KST)
슬슬 결론이 나는 것 같네요. (모 아니면 아무개) 저는 일단 제가 낸 의견이기도 하고, 동의어 시비가 나지 않는 '아무개'를 지지합니다.
인권을 생각한다면 밝히지 말아야겠지만, 형벌의 징벌적 효과를 생각한다면 밝혀도 됩니다. 다만 오늘날 범죄자의 실명은 감추는 추세입니다. --Knight2000 (토론) 2008년 8월 23일 (토) 20:42 (KST) '모(某)'와 '아무개'는 같은 뜻이며, 성씨에 붙여 쓰지 않아야 옳지만, 대부분의 신문 기사에서는 붙여쓰고 있습니다. --Knight2000 (토론) 2008년 8월 23일 (토) 20:42 (KST) 문서 개편지금의 내요은 문서를 꾸미는 법에 대해 적고 있습니다. 편집 지침 문서는 en:Wikipedia:Editing policy에 대응하도록 하고, 현재 내용은 적절한(!) 이름으로 옮기는게 어떨까요? (예컨데 원래 이름인 스타일북이라든가..) -- ChongDae (토론) 2008년 6월 13일 (금) 12:37 (KST) 교단명칭교단 문서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문서명 (~~)이것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위키백과 방침에는 문서명 (~~) 이것이 규칙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교단명칭은 ex)대한예수교장로회(~~)인데 많은 사람들께서 대한예수교장로회 (~~)로 바꾸고 계십니다. 하지만 교단을 만든 사람들 입장에서 그리고 개신교측 입장에서는 대한예수교장로회(~~)이기 때문에 문서를 검색하거나 여러 사이트에서 검색하여 찾아보시는 사람들 사이에서 혼란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교단명칭은 괄호 띄어쓰기를 안했으면 합니다.--139 영등포 Yeongdeungpo 永登浦 (토론) 2008년 6월 16일 (월) 21:58 (KST) 정정합니다. 공식명칭이라고 말하기엔 너무 애매한것 같아 보편적 명칭으로 수정합니다.
자주 틀리는 맞춤법에 대해
총의가 확인되지 않은 내용들'작품 제목 표시에 쓰이는 부호' 문단에
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총의로 확인했는지 궁금합니다. 저는 따옴표('_', "_")와 부등호(<>, <<>>)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낫표와 꺽쇠표는 사용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해당 문장부호가 잘 사용되지 않아 입력하기도 불편하고 미적인 부분도 이를 고려하여 개선되지 않고 있습니다. --케골 (토론) 2008년 8월 5일 (화) 07:03 (KST)
이해하기 힘든 내용
위의 용례는 적어도 대한민국 국어사전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이상한 표현입니다. 비슷한 예를 들어 보자면, 표준국어사전에 등재된 보일·마리오트의 법칙(보일의 법칙), 마르크스·레닌주의 등이 있습니다. 적어도 두 이름이 붙임표(하이픈)로 연결된 로마자 이름을 한국어로 옮길 때 붙임표를 그대로 남긴 용례는 (ㄱ 항목에서 ㄹ 항목까지는) 단 한 건도 없습니다. 이 내용에 대해 의견 남겨 주시기 바랍니다. --Knight2000 (토론) 2008년 8월 23일 (토) 09:26 (KST) 참고 : 사용자:첫밗/한국어에서 하이픈 관리하는 방법#참고: 국립국어원의 답변에서 보면 엉뚱한 말이 있습니다.
라고 하였습니다. 이건 제가 확인한 바로는 명백한 거짓말입니다. 로마자 두 이름이 붙임표로 묶여 있는 말을 한국어로 옮길 때 (ㄱ 항목에서 ㄹ 항목까지는) 일관되게 붙임표를 가운뎃점으로 바꾸었으며, 예외 찾기가 힘들 정도입니다(언젠가 예외도 찾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Knight2000 (토론) 2008년 8월 23일 (토) 09:26 (KST) 시각예술 작품 - 《게르니카》
위키백과:편집 지침에 위의 설명이 있습니다. 그런데 단독 작품이 아닌 경우에는 약간 문제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삽화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요즘은 삽화도 예술 작품으로 여기지만, 예전에는 그렇지 않았고, 더구나 삽화 자체를 인용할 때 단독 작품처럼 처리하기도 애매합니다. --Knight2000 (토론) 2008년 12월 16일 (화) 10:39 (KST) 질문 - 법령 같은 경우에는 어떻게 표기하죠?법령 제목 같은 경우는 〈〉로 표기해야 하나요, 《》로 표기해야 하나요? Scripct1111 (토론) 2009년 2월 14일 (토) 09:34 (KST) 외부 링크 명칭에 대해'외부 링크'와 '바깥 고리'가 혼용되고 있는데요. 어느 쪽이 나을까요? 바깥 고리는 외부 링크의 순우리말로 인정된 건가요?--잉여킹 (토론) 2009년 4월 7일 (화) 23:04 (KST)
저작물 명칭저작물 제목에는 《홍길동》나 〈홍길동〉을 쓰고, 로마자 제목은 John Doe나 "John Doe"를 쓴다고 알고 있는데, 魂: Map the Soul같이 로마자와 다른 문자가 섞인 제목이면 어떻게 표기하나요? Scripct1111 (토론) 2009년 4월 30일 (목) 13:27 (KST)
단위 표기원래 위키백과에서는 단위 표기를 한글로 풀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그게 사실상 유명무실합니다. 그 규정을 폐지하거나, 봇을 돌리는 등으로 대량으로 수정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Scripct1111 (토론) 2009년 6월 20일 (토) 14:24 (KST)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