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베다 수준도 아니고 확실하게 영리를 추구하는 주식회사이니 아무 말 없이 그냥 달아놨으면 위반 소지가 있을 순 있었을 겁니다. 다만 문서에 적혀 있듯이 위키아에 영리적 이용 허락을 내릴 수 있어야 문서를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 (즉 CCL 영역 밖에 있습니다) 문제는 없습니다. --Senior9324 (토론) 2015년 6월 3일 (수) 23:24 (KST)답변
간단히 말하면, CCL이 부착되어 있는 저작물에 광고를 부착하는 것 자체가 BY-C는 가능하고, BY-NC는 불가능하다는 주장 자체가 사실 착오에 불과합니다. 저 분들의 이해 수준이 저것 밖에 안된다는게 안타깝습니다. 참고로 위키아 주식회사는 미국 회사라서 이미 그들이 생각하는 '법률적 검토'는 다 마쳤을 겁니다. - Ellif (토론) 2015년 6월 1일 (월) 20:09 (KST)답변
제가 요즘 축구나 야구와 같은 스포츠 문서에 관심이 있어서 해보는데, 스포츠 팀 문서에는 팀의 유니폼 그림에 대해 잘 나타나 있습니다. 그래서 한 번 제안하는 것인데, 중학교나 고등학교 문서, 혹은 각 나라별 군대 문서에 교복이나 군복에 대해 넣는 것이 어떨까 한 번 이야기 해봅니다. 의견이 있으시면 이야기 해주시길 바랍니다. --Tcfc2349 (토론) 2015년 6월 1일 (월) 16:10 (KST)답변
교복의 경우 (드물긴 하나) 계속 같은 디자인의 교복만 유지하는 학교도 있을 수 있지만, 대다수 학교들이 빠르면 1,2년 정도마다 디자인을 수정하기 때문에 힘들지 않나 하는 생각입니다. 수백 수천에 달하는 변수들을 일일이 등록해야 하는 점도 그렇고요. 개인적으로는 그냥 사진자료로 대신하는 것이 훨씬 수월할 것으로 봅니다. 나라별 군복은 도입해도 괜찮을 듯 싶군요. --"밥풀떼기"2015년 6월 2일 (화) 00:53 (KST)답변
제가 알기로는 교복 디자인이 그대로 유지되는 학교도 꽤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구형 디자인도 같이 넣는 것도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스포츠 팀 문서를 봤는데, 과거 유니폼을 소개한 팀도 있긴 합니다. --Tcfc2349 (토론) 2015년 6월 2일 (화) 16:16 (KST)답변
물론 전체 도안을 확 바꾸는 것은 드물기도 하고 옛날부터 죽 유지되는 학교도 있긴 하지만, 명찰이라든지 조금씩이라도 바뀌는 경우가 (적어도 제 경험상으로는) 많더군요. 교복 도안을 넣는 것이라면 가장 최신을 반영하는 쪽으로 가야 하는데 너무 번거롭지 않나 하는 생각입니다. --"밥풀떼기"2015년 6월 4일 (목) 13:00 (KST)답변
명찰 같이 작게 나오는 부분은 생략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실제로 스포츠 팀 유니폼 같은 경우, 엠블럼이나 메이커가 생략된 경우도 있습니다. 제가 경험한 바에 의하면 교복 일부분이 바뀌는 경우는 여학생 교복의 조끼 정도가 있습니다. --Tcfc2349 (토론) 2015년 6월 4일 (목) 15:57 (KST)답변
음, 그건 생략한다고 치더라도 여전히 변수가 너무 많은 것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우선 크게 나눠보자면 남녀 교복으로 나뉘고, 거기서 또 동하복으로 나뉘고, 남녀공학 학교의 경우 남녀교복 둘 다 해당되니 4개 도안이 나오는군요. 기능적으로 살펴보면 넥타이 유무, 리본 유무, 소매나 주머니, 옷소매 길이에 기타 장신구, 또 여기에 적용되는 색깔과 모양까지. 물론 저 많은 것들을 등록할 수 있다면 저도 문제제기는 하지 않겠습니다만, 그러기엔 너무 수고가 많이 드니까 하는 말입니다. --"밥풀떼기"2015년 6월 4일 (목) 16:37 (KST)답변
그에 반해 대학교 유니폼이나 군복의 경우, 그 대상이 적다는 점도 있고 자주 바뀌기도 힘드니 이쪽에 적용한다면 저도 찬성입니다. 하지만 학교 전체를 두고 적용하자고 한다면 무리라고 봅니다. --"밥풀떼기"2015년 6월 4일 (목) 16:38 (KST)답변
같은 사이트에서 활동한다 하더라도 다 같은 생각을 가지는 것도 아니고, 오프까지 나와서 트롤링을 하는 사용자는 적죠(뭐 우리 오랜 친구라는 반례가 떡하니 있긴 하지만요). 그리고 거북이님께서는 사용자가 아닌 "관리자"의 초대를 제안하셨습니다. 디시위키의 글이 관리자에 의해 철저히 관리되는 것 같지도 않은데, 디시위키의 위키백과 항목이 저렇다고 해서 단정할 수는 없지 않을까요? --IRTC10152015년 6월 3일 (수) 14:43 (KST)답변
아 그건 잘못 봤네요. 관리자들끼리 만난다면 문제가 그나마 적겠지만 사용자들끼리 만난다면 말씀하신 대로 9년전부터 스토킹해대는 오랜 불청객처럼 행동하는 사람이 하나라도 없지 않을 가능성은 없습니다. 물론 그렇다 해도 이번 오프 모임에 초대한다는건 이릅니다. 목적부터가 다르니까요. -- S.H.Yoon論 · 기여 · F.A.2015년 6월 3일 (수) 14:49 (KST)답변
"위키백과를 제외한 다른 위키위키는 모두 짝퉁이며 위키백과를 제외히고 모두 사라져야 한다고 믿는 위키파시즘을 숭배한다. … 위키백과의 규칙이 모든 위키에 범용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는 규칙이라고 믿는다. … 이들의 최종목적은 대한민국의 유일무이한 위키로 거듭나 다른 위키들을 숙청하는 것이다."(디시위키, 위백충 항목, CCL BY-NC-SA-4.0). 이런 거짓말을 하고 있으니 당연히 그들과 대화를 시도해야겠지요. 비웃을 일이 아니라. - Ellif (토론) 2015년 6월 3일 (수) 19:54 (KST)답변
이런 사용자에 대한 무슨 대책이 없을까요? 사실상 뭔가 요구를 할 수도 없는 것 같은데.. 사용자 문서에 나와있는 내용이 사실일지 몰라도.. 위키백과 사용자로서 보기 거북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저런 내용은 해당 사용자의(이 경우에는 사용자:거북이) 토론 문서에 남기는게 맞지 않을까 싶은데요...--Alex00728 (토론 • 기여 • 총편집횟수 • 기록 • 이메일) 2015년 6월 2일 (화) 13:33 (KST)답변
저는 위 사용자가 차단 당할만한 사용자인지를 몰랐습니다. 사용자 문서에는 자신 마음대로 아무 내용이나 작성하여도 상관 없을 거라 생각하고 있으며(위키백과에서 허용하는지 모르지만, 사용자 문서의 지위를 생각하면, 상관 없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저는 위 사용자가 다중 계정 사용자인지 몰랐기에 뭔가 대책이 필요하지 않을까라는 의도로 작성하였습니다. 사용자관리를 요청하려고 한 것이 아닙니다. --Alex00728 (토론 • 기여 • 총편집횟수 • 기록 • 이메일) 2015년 6월 3일 (수) 14:02 (KST)답변
홍보의 의도를 가진 이해관계자가 관계된 회사에 대해 객관적으로 판단을 하기는 쉽지 않을 듯 싶습니다. 단순히 광고를 하면 안된다는 말을 넘어서 위키백과의 저명성 혹은 등재기준을 안내하는 것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등재기준을 만족하는 기업이나 조직의 등재는 위키백과에 꼭 필요합니다. --케골2015년 6월 3일 (수) 18:24 (KST)답변
안녕하세요. 첫번째 선거에서 군 복무 문제로 낙선하고 두번째 선거에서도 낙선한 후 군 복무 제대하고 이제 3선을 치르고 있는 Altostratus입니다. 현재 선거 종료까지 약 24시간 남은 시점에 Shyoon1님이 차단에서 풀리신 직후 제가 외부에서 Hijin6908님께 선거에 관심이 있으면 의견을 남겨달라고 부탁드린 적이 있던 걸 사실상 찬성 표를 청탁, 종용하고 있는 것으로 문제를 제기하시고 이에 동조하시고 반대 의사를 밝히신 분이 몇 분 계십니다. 이렇게 선거 막판에 이런 일이 생기도록 원인을 제공하게 된 점에 대해 유감스럽고 또 죄송스럽게 생각합니다. 관리자라는 것이 사실상 열정페이로 살아가는 자리고 나름 잘한다 생각해도 욕도 먹고 묵묵히 열심히 일한다고 해서 잘한다고 칭찬 받는 자리를 굳이 커뮤니티와 대한민국의 지식 사회의 발전을 위해 굳이 나서서 하겠다고 나섰는데 이런 지적을 받는 것에 대해서도 의욕이 떨어지고 슬프게 생각합니다. 제가 의욕이 앞서서 이런 일이 벌어졌다고 생각하고 앞으로 선거에 나갈 때나 편집할 때 저를 비롯해서 다른 사용자에게 요청을 할 때 어떤 유형이든 간에 청탁을 하는 것이 잘못된 행동이라는 것임을 지적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았고 또 다른 사용자에게 토론이나 편집에 관심을 가져달라라든지 도움을 달라고 요청하는 것도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았고 앞으로 이런 일로 인해 도덕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도록 신경쓰도록 할 것이고, 앞으로 다른 사용자에게도 이런 일과 같이 다른 사용자에게 부탁이나, 청탁하는 것과 같은 도덕적인 문제가 있을 경우 선거에서든 어디에서든 지적받을 수 있다는 규정을 다른 사용자분들의 동의를 거쳐 제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그것이 도덕적인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또한 신규 사용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에게 위키백과 서버 외부에서 오로지 위키백과 공동체 내부에 관한 의견이나 투표를 요청하는 행위를 문제삼는 규정을 반대합니다. 또한 그것을 빌미삼아 사용자의 도덕성을 직접 문제제기하는 행위는 이미 정책에 따라 금지되고 있는 것으로 압니다. 본 사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의견은 선거 문서에 있습니다. --Hijin6908(토론) 2015년 6월 4일 (목) 01:36 (KST)답변
아이피 사용자씨, 의혹 의견 감사드립니다. 저와 제 친구 이모 기자를 요즘 스토킹하고 계시는 유니폴리라고 의심되는 분이라 어이가 상실해서 이걸 달아야 하는지 모르겠군요, 아니시다면 정정당당하게 아이디로 의견 남겨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뭐 귀하가 유니폴리든 아니든 해당 계정을 쓰시는 분들은 제 직장동료였기도 했고 친구들 맞습니다. 채팅도 하고 공부도 같이 했었고, 하고 있기도 합니다. 그렇게 궁금하시다면 두사람과 제가 다르다는걸 증명하면 되지 않겠습니까? 그럼 아주 간단하죠? 그런데 귀하가 다중계정으로 분란을 일으키고, 아이피로 차단을 회피하는 사용자로 보이는 사람이라 뭐라 할말이 없습니다. Mailzzang+aus (토론) 2015년 6월 4일 (목) 13:09 (KST)답변
특정 후보가 자신을 지지해 달라고 하는 건 그닥 문제될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지나치면 안되겠습니다만... 무엇보다 뭔가 다들 착각하고 계신 듯한데, 관리자가 된다고 해서 무슨 권력을 가지는 것도 아닌데, 왜 그렇게 민감한가요? --RedMosQ (토론) 2015년 6월 4일 (목) 13:59 (KST)답변
meta:한국 위키미디어 협회는 이미 사랑방에 공지한 대로 5월에 일반인 대상 행사를 마쳤고 6월에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행사와 2015년 메인 이벤트인 9월 컨퍼런스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6월 행사와 9월 컨퍼런스 행사를 앞두고 저희 주무관청에 활동 상황을 보고하기 위하여 회원을 집중적으로 모집하려고 합니다. 회원으로 가입해 주셔서 위키미디어 협회 활동을 후원해 주시길 바랍니다. 회원으로 가입하시면 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으며, 총회 활동에 대한 소식을 우선적으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협회 회원 대상 행사에 우선적으로 초대됩니다.
활동하는 관리자가 한명 줄어든다는 것에 대해서 적어야 할거 같아서 기제해둡니다. 언젠가 돌아올 수는 있겠지만, 지금 이 상황에서의 한국어 위키백과에 기여하고 싶은 생각이 없고, 더 기여하면서 생기는 정신적인 병이나 스트레스를 더이상 견디기 힘들겠습니다. 긴급한 상황에서의 처리나 조용한 기여는 할지 모르겠지만, 소극적으로 활동할 수는 있을거 같습니다. 아무튼 저랑 함깨해주신 여러분들께 감사드리며, 당분간 토론등으로 인사드릴 일은 없을거 같네요.--분당선M (토론) 2015년 6월 5일 (금) 08:30 (KST)답변
두 계정이 다중 계정이 확실하다는 증거는 없습니다. 다중 계정 검사에서 “가능성 있음”이라는 결과가 나오는 것은 말 그대로 가능성이 0이 아니라는 의미일 뿐, 다중 계정임을 확정하는 것이 전혀 아닙니다. 사용 OS와 브라우저가 겹치는 정도로도 “가능성 있음”으로 판정될 수 있습니다. 두 사용자의 기여 내역에 공통점이 적으므로 패턴의 유사성에 의한 다중 계정 판단을 내리기도 어렵습니다. 주장을 하기 전에는 확실한 근거를 제시 바랍니다. --IRTC10152015년 6월 5일 (금) 18:45 (KST)답변
의문이 남아 스스로 살펴 본 결과를 말씀드립니다. 서술의 편의상 존칭은 생략합니다. Fx1004, Bhher, 남극원주민, Arizawa, 지구인류, Daehae, Nawara, 위키백과총수 등의 계정은 한 계정에 의해 삭제된 문서를 다른 계정이 같은 문장으로 생성하며, 그 내용이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용어사전 등을 출전으로 삼은, 큰 의미를 갖지 못 하는, 수 문장으로 구성된 토막글입니다. 허현회는 편집한 문서는 겹치지 않지만 그 패턴이 유사합니다. 이들 계정은 그 편집 패턴 등을 근거로 Excelruler의 다중 계정으로 여겨집니다. 하나로국민연합 문서는 Arizawa에 의하여 2015년 1월 18일 (일) 17:37에 생성되었다 2015년 4월 4일 (토) 22:40에 삭제되었으나, “탈당하여 창당하던 정당이다” 같은 어색한 문장을 포함하여 완전히 같은 문장으로 구성된 문서가 2015년 5월 1일 (금) 16:25 Nevadeva에 의하여 생성되었습니다. 또한 해당 계정들은 자신의 기여나 문서를 “지식”이라는 단어를 써서 표현하는 등의 특징이 있었는데, 이는 Nevadeva에게서도 확인됩니다. 따라서, 저는 이 계정들 사이에 유의미한 관계가 존재한다고 판단합니다. --IRTC10152015년 6월 5일 (금) 20:35 (KST)답변
Sorry for English, I hope someone translates this. Pywikibot (then "Pywikipediabot") was started back in 2002. In 2007 a new branch (formerly known as "rewrite", now called "core") was started from scratch using the MediaWiki API. The developers of Pywikibot have decided to stop supporting the compat version of Pywikibot due to bad performance and architectural errors that make it hard to update, compared to core. If you are using pywikibot compat it is likely your code will break due to upcoming MediaWiki API changes (e.g. T101524). It is highly recommended you migrate to the core framework. There is a migration guide, and please contact us if you have any problem.
There is an upcoming MediaWiki API breaking change that compat will not be updated for. If your bot's name is in this list, your bot will most likely break.
Thank you,
The Pywikibot development team, 19:30, 5 June 2015 (UTC)
요약: pywikibot compat 버전 지원이 중단됩니다. 즉, 최신 미디어위키 API를 지원하지 않으며, 미디어위키 API가 변경된다면 더이상 봇은 동작하지 않을 것입니다. Core으로 migration하실 계획이 있으시다면 migration guide를 보시거나 연락 (영어)을 해 주세요.--콩가루 · 토론2015년 6월 6일 (토) 09:41 (KST)답변
7월 1일부터 위키백과의 미디어위키 API 기능 중에서 action=query의 기본 출력 형식이 바뀌기 때문입니다. Action=query를 사용하면서 compat 버전 pywikibot을 사용하는 봇은 7월 2일부터 동작하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콩가루 · 토론2015년 6월 6일 (토) 09:51 (KST)답변
When using data from Wikidata on Wikipedia and other sister projects, there is currently a limitation in place that hinders some use cases: data can only be accessed from the corresponding item. So, for example, the Wikipedia article about Berlin can only get data from the Wikidata item about Berlin but not from the item about Germany. This had technical reasons. We are now removing this limitation. It is already done for a number of projects. Your project is one of the next ones:
11 June 2015: all Wikiquote, all remaining Wikivoyage
15 June 2015: Wikipedias: ar, ca, es, hu, ko, ro, uk, vi
We invite you to play around with this new feature if you are one of the people who have been waiting for this for a long time. If you have technical issues/questions with this you can come to d:Wikidata:Contact the development team.
How to use it, once it is enabled:
Parser function: {{#property:P36|from=Q183}} to get the capital from the item about Germ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