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사랑방 (일반)/2017년 제30주
위키백과:문서 관리 요청 & 위키백과:문서 이동 요청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 확인 좀 부탁드립니다.본래라면 안말할려고 했지만 요청 처리가 늦어지는 부분도 있고, 중요한 요청의 경우 꼭 처리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관리자님들께 꼭 전해드릴 말이 있는데,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7년 제29주에 있는 197.39.0.0/16 차단 요청 확인 부탁드립니다. 해당 요청은 공개 프록시이며, 한국어 위키 외에도 해외 위키마다 197.38.0.*** & 197.39.0.***로 시작하는 IP의 반달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지금 197.39.210.120 (토론 · 기여[전체 위키 기여 · 삭제된 기여] · 기록[차단 기록 · 편집 필터 기록] · WHOIS · RBLs · 차단) 로 시작하는 IP에서 반달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현재 상황상 계속 대처가 불가능합니다. 부탁을 드리고 싶지 않지만 상황이 좋지 않아 글을 남깁니다. 관리자님들 사정을 이해하지만 각자 바쁘신거 알고 있지만 도움을 구합니다.--175.197.33.25 (토론) 2017년 7월 24일 (월) 17:16 (KST)
사용자:Sawol 제한 해제에 대한 논의토론 회피 등 부적절한 행동은 차단 사유가 되지만 그에 대해 차단을 했을 때의 차단 기간을 넘어서는 제한을 통해 사과를 강요한 것은 양심의 자유를 침해하므로 사용자:Sawol의 제한을 무효화 또는 해제 합시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202.14.90.189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39만 문서현재 39만 문서가 넘은 것으로 판단되나(1640 현재 390019개) 삭제 신청된 문서가 30개가 넘으므로 정확한 수치가 아닙니다. 문서 정리 이후에 정확한 카운트를 부탁드립니다. --95016maphack (토론) 2017년 7월 27일 (목) 16:40 (KST)
바깥고리 부분 (좀 기네요.)2006년 10월 이전부터 현재도 많이 사용되는 "바깥 고리"라는 명칭에 대해 지적이 많았으며, 이 부분에 반대하는 측은 크게
등 다수의 이유를 문제삼아 해당 표현에 거부감을 표하였습니다. 당시 이 투표를 통해 공동체 적으로 "고리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말자", "링크를 사용한다."고 합의가 된 것으로 보이는데, 일부 관리자를 포함한 몇 사용자가 "외부 링크"라는 표현에 반감을 가진 것으로 과거 기록에서 확인되며, 이로 인해 링크라는 표현이 도입되지 못했습니다. 오히려 반 년도 되지 않아 위키백과:사랑방/2007년 3월#지금 진행되고 있는 외부 링크 -> 바깥 고리 수정에 대해같은, 2006년의 합의를 무색하게 하는 기여들이 보이는데요. 제가 옛날부터 활동하던 사람도 아니며, 이런 사례를 검색하기는 문제가 있어 놓친 합의가 더 있을지는 모르겠으나, 일단 제가 구할 수 있는 정보의 범위 내에서는
바깥 고리라는 것도 누군가 아이디어를 냈으니 (누가 만든 용어인지는 이제는 압니다만.) 만들어진 것이고, 여러 사람들이 찬성을 했으니까 도입되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아직까지도, 그 많은 사람들이 동의해서 지금도 사용하고 있는 그 바깥 고리라는 표현이,
이 두가지가 크게 의문이 들어서 위키백과토론:바깥 고리에 새 토론을 개설하였습니다. 표현을 만드셨으면 이유가 있을 겁니다. 그 이유를 듣고 싶어서 개설한 토론입니다. 제대로 된 이유는 아직까지 보질 못했습니다. 지금까지, 과거의 토론과 현재의 토론에서 "바깥 고리"를 지지하시는 분들은 많았습니다만, 논리적인 답변은 못들었습니다. 기억나는대로 지지하시는 분들의 말씀을 들어보면
라는 정도가 떠오릅니다. (논리적인 반박은 본 기억이 없습니다. 제가 검색을 못해서 그런 것일 수 있으니, 있다면 알려 주세요.) 당시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활동하지 않았기 때문에, 당초 어떻게 돌아갔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총의가 형성되었던 말던 지키는 사람 많이 없었고, 아이러니하게도 어느샌가 바깥 고리가 대세는 아니더라도 많이 쓰이는 표현으로 남은 것으로 보입니다. "그 표현을 사용하지 말자"라고 결론 지어놓은 뒤에 말입니다. 그리고 나서 4년 뒤인 위키백과:사랑방/2010년_제8주#외부 링크 vs 바깥 링크 vs 바깥 고리에 이르러, "2006년때의 결정은 지금 지키는 사람도 많이 없고, 그 토론이 과연 유효했던 것인가."라는 토트님의 말씀이 인상깊습니다. 당연히 2010년에도 유효했어야 합니다. 공동체적으로 이미 고리라는 표현이 작위적이라는 결론을 내린 뒤였습니다. 그러면 적어도 2010년에는 고리라는 표현이 없어졌거나, 덜 보였어야 합니다. 그런데 그 당시에도 마치 "주류" 표현으로 남아있었는지. 이런 식이면 총의를 구하는 것 자체가 아무런 의미가 없지 않을까요? 총의가 구해져도 그냥 일반 문서에서 강행한 후에 몇 년 뒤, 떡밥이 조금 잠잠해 질 때쯤, 다시 이야기를 공론화시켜 기존 결과가 뒤집어질 때까지 투표를 반복하면 될 것처럼 보입니다. 2017년인 지금에도 2006년의 과거 편집자들이 했던 말은 유효합니다. 그들은 "투표 이전에 토론을 했으며", 확실히 누가 보아도 "고리라는 표현은 작위적인 표현입니다." 그리고 사용하는 것 자체에 의문을 가집니다. 이런저런 과정으로, 현재 위키백과토론:바깥 고리에서 의견을 여쭤보고 있습니다. 더 공론화되었으면 좋겠으며, 토론을 "바깥고리vs외부링크"로 잡긴 했으나, 바깥고리 다음가는 표현이 외부링크 였기 때문에 끌어온 것이지, 2010년 의견에서 나왔던 "관련 사이트"같은 것도 좋습니다. 저는 외부 링크라는 표현을, "바깥 고리"라는 표현을 도저히 못쓰겠어서, 그 표현을 대체하기 위해 그만큼이나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많이 사용되는 표현을 끌어온 것이지, 외부 링크로의 변경을 강행하자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무조건적인, "순한국어를 사용해야지." 같은 의견은 2006년부터 논파되어왔던 의견이라고 생각됩니다. 투표를 하기 위해 개설한 페이지가 아니라, 말씀을 여쭤보고 싶어서 개설한 페이지니만큼 생각하신 바를 공유하고, 결정했으면 합니다. 현재 토론은 7월 17일에 개설했으며, 현시간부로 8월 15일까지 다른 사용자님들의 의견을 더 들어보고자 합니다. 관리자 선거도 2주 열리는 와중에, 한 달 가까이 개설된 토론이라면 충분히 고지했다고 생각합니다. 16일에 나온 결론대로 봇에 요청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두서가 없는 점 죄송합니다. 글 재주가 많지 않아서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좋은 하루 되세요. Tablemaker (토론) 2017년 7월 27일 (목) 18:26 (KST)
UWH 수중하키 관련글안녕하세요 2017-07-26경 한글로 된 '수중하키'글을 등록 하였는데
왜 삭제가 되었는지 삭제하신 부분에 대해서 연락하고 어떻게 문의를 드려야 할지 궁금합니다. 글의 내용 및 사진 전부 제가 직접 가지고 있는 부분이라 저작권에도 문제가 없습니다만. 위키에 새로 가입한 회원으로 조언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I have written an article regarding Underwater Hockey in Korean. Now I found it has been erased by User 'Twotwo2019' 1. Why has it been erased without notice? 2. How can I contact this user 'Twotwo2019'? I have written the article word by word, also posted a picture taken by myself there shouldn't be any problem regarding 'property' I'm new to this 'Wiki' community, any of your advice would be very much appreciated. with best regards--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Edcat0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차단의 필요성이 없음에도 이해당사자인 관리자에 의해 차단되는 경우가 있습니다.분류:차단 재검토 요청을 보니 사용자토론:203.255.172.121의 차단 재검토 요청이 진행중이었는데 차단의 필요성이 없고 규정 위반 여부가 불명확한데도 이해관계가 있는 관리자에 의해 차단을 당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위키백과:차단 정책을 보면 현재 및 미래에 문제가 발생할 것이 확실할 때에만 차단 조치를 해야 합니다., 차단은 그 사유가 명확할 때 이루어지며 차단 사유가 불명확할 때는 차단하지 않는 것이 옳은 방향입니다. 차단 사유의 충족 여부가 불명확하다면 다른 관리자 기타 사용자들과 충분한 토론을 선행하여 사유의 명백성을 확보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이 경우 특히 차단 요청의 대상인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여 충분한 변론을 할 수 있도록 절차적 보장에 힘써야 합니다. 관리자는 차단된 사용자가 차단의 이유를 충분히 알 수 있도록 명확하게 이유를 제시하여야 합니다. 차단이라는 중한 문제에 있어서 차단된 사용자에게는 불복할 범위와 그 수단을 제공하여 차단을 이해시키는 효과를 제고하고, 관리자에게 신중한 차단을 행하도록 하는 절제의 기능을 도모하기 위함입니다. 차단의 이유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불분명하거나 모호한 표현은 피해야 합니다. 관리자는 통지를 생략할 충분한 이유가 있지 않은 이상, 차단된 사용자의 토론 페이지에 차단의 이유와 그 기간을 명확하게 통지하여야 합니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사용자토론:203.255.172.121님의 행적을 살펴 보면 이계덕 문서는 위키백과:삭제 토론/이계덕 (3)에서 Reiro님이 유지 결론을 내리고 관리자가 추인했는데 이것이 사실관계가 맞지 않는 관리자의 주장으로 인해 삭제된 것은 무효이므로 위키백과:삭제 토론/이계덕 (3)의 원래 결론대로 위키백과:삭제 토론/이계덕 (3)의 결론은 유지라는 것이 주장이고 실제로 당시 규정에는 관리자가 아닌 사용자가 종결을 해도 상관 없었으며
여러 관리자 분들이 삭제 토론이 종료됐다, 훼손의 우려가 있으니 보호한다고 밝혀 유지 총의가 확인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위키백과:삭제 토론/이계덕 (3)의 의견을 살펴보면 창고 문서를 이계덕으로 이동과 이계덕 유지 의견이 삭제 의견보다 훨씬 많았는데 관리자가 , 해당 토론에서 삭제 의견이 우세했다는 것이고라고 거짓말을 한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설령 위키백과:삭제 토론/이계덕 (3)을 수정한 것에 문제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렇게 생각할만한 이유가 있어서 한 행동이며 4번째 삭제 토론에서 토론을 하면 될 일이니까 차단의 필요성도 사유의 명백성도 충족되지 않습니다. 그런데 이계덕 문서의 존치에 반대하는 관리자가 차단을 하고, 논의를 막고, 차단 사유와 판단 근거에 대해 통지를 누락한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이 의견을 2017년 7월 28일 (금) 20:33에 작성한 사용자는 223.62.219.25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StarryKnight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시로 승격된 XX군을 독립 문서로 만들지 않을거면 XX의 역사 식으로 넘겨주는게 어떨까요?서산의 역사 문서가 생성된 것을 보고 생각해보니 서산군을 독립시키지 않을거면 서산의 역사로 넘겨주는게 나아 보입니다. --Gomugong (토론) 2017년 7월 28일 (금) 20:54 (KST)
위키백과의 웹마스터는 누구입니까?위키백과 외부의 일과 개발 등을 담당하는 개인 혹은 단체가 누구인지 궁금합니다.__175.213.57.131 (토론) 2017년 7월 29일 (토) 15:24 (KST)
{{최신}}의 경우 영어판에서는 (정말로 특별한 경우를 제하고는) 해당 틀을 하루 이상 쓰지 않지만 여기서는 해당 틀이 몇 달이고도 붙어있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최순실 게이트 문서에 해당 틀은 언제까지 붙어있어야 할까요? {{불확실}}은 더욱더 애매모호한데, 그냥 '현재 진행 중인 불확실한 내용'이라는 사실을 알려주는 틀이라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방영중인 모든 텔레비전 프로그램 문서에는 따라서 {{최신}}의 경우 남용을 자제하고 봇을 이용해 자동으로 제거를 하고, {{불확실}}의 경우 Template:In Use와 같은 내용으로 개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Namoroka (토론) 2017년 7월 29일 (토) 16:43 (KST) 이제 문서 40만개가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제목이 곧 내용입니다.--표리부동(프·토·기·
위키 러브 어스 2017 대한민국 대회 결과 발표안녕하세요. 위키 러브 어스 2017 대한민국 대회의 최종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축하합니다! --Motoko C. K. (토론) 2017년 8월 1일 (화) 16:24 (KST)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