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입니다.Abcba (토론) 2010년 9월 28일 (화) 16:03 (KST)[답변]
삭제 제가 대전성룡초등학교 문서를 만들었지만, 삭제해도 무방한 것 같네요. --S7 ㅡ【Ta.】【Con.】 2010년 9월 28일 (화) 16:11 (KST)[답변]
만약 삭제되면 월곡, 신목 초교에 있는 사진도 같이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집니다.Abcba (토론) 2010년 9월 28일 (화) 16:24 (KST)[답변]
유지 귀인초등학교는 재학생이 2천여명이 넘는 큰 학교입니다. 또한, 1993년에 개교한 17개 학교중 하나에 속합니다. 역사가 오래되지 않은 것이 삭제 사유로 합당하다면 이들 학교도 모두 삭제되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또 얼마나 오래되어야 역사가 오래되었다고 보나요?--Nosu (토론) 2010년 9월 28일 (화) 22:38 (KST)[답변]
- 재학생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꼭 대한민국에 있는 모든 학교를 추가할 필요도 없지요. 그것과 관련해서는 위키백과토론:위키프로젝트 교육/학교에서 있었던 토론들을 읽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가람 (논의) 『One day, one hour』 2010년 9월 28일 (화) 22:34 (KST)[답변]
삭제 예전에 이루어진 초등학교 문서에 대한 토론들을 잘 읽었습니다. 동의합니다. --Nosu (토론) 2010년 9월 28일 (화) 22:49 (KST)[답변]
유지 삭제한다면 이런 미친 삭제토론을 삭제하는데 찬성합니다. 어이가 없네요.--Crownether (토론) 2010년 9월 29일 (수) 09:09 (KST)[답변]
- 니가 더 어이가 없네요.Abcba (토론) 2010년 9월 29일 (수) 15:19 (KST)[답변]
- Crownether님, Abcba님 발언 주의하세요. -- 츄츄츄~ 츄양 (토론) 2010년 9월 29일 (수) 16:40 (KST)[답변]
삭제 삭제 동의합니다. 음, 여기를 통해 삭제 예정 학교문서를 추가해도 괜찮을까요? -- 츄츄츄~ 츄양 (토론) 2010년 9월 29일 (수) 09:38 (KST)[답변]
가급적 집합적 토론을 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효율성을 위해서 그렇게 한다면 삭제의견을 내는 분들은 각 문서를 직접 확인하고 의견을 내주세요. 삭제토론 중에도 문서를 보강하고 있습니다. 보강된 문서를 보시고 토론을 해 주시고, 다른 문서들도 저명성 입증 및 보완 가능성을 고려해주세요. 삭제토론을 편집을 압박하는 도구로 이용하는 것은 좋은 시도가 아니라고 말씀을 드립니다. --케골 2010년 9월 29일 (수) 10:15 (KST)[답변]
- 저는 '분류:대한민국의 초등학교'를 친 다음 각 지역별 초등학교 문서를 일일히 검색하고 그 중에서 쓸데 없다고 판단한 학교만을 삭제 신청 한 것입니다.Abcba (토론) 2010년 9월 29일 (수) 15:21 (KST)[답변]
- 위키백과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관심을 갖아주셔서 감사합니다. 각 문서를 확인하라고 드린 말씀은 의견을 내시는 분들께 문서가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니 각 문서를 모두 보시라고 드리는 말씀입니다. --케골 2010년 9월 29일 (수) 16:17 (KST)[답변]
삭제 제안하신 분이 요점을 말하셔서 할 말 없습니다. 그리고 Crownether님 말이 심한 것 같네요.진실과 환상 (聞きたい) 2010년 9월 29일 (수) 15:35 (KST)[답변]
모든 문서 삭제 과연 초등학교 문서를 유지할 수 있을까요?--The Next Decade (토론) 2010년 9월 29일 (수) 17:10 (KST)[답변]
- 모든 초등학교 문서가 저명성을 갖지 못한 것은 아닙니다. 영화초등학교 (인천)와 인천박문초등학교 의 경우 긴 역사와 졸업생으로 인해서 저명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또, 서울에서 가장 먼저 생긴 초등학교는 아마도 저명성을 갖을 확률이 높지요. 모든 초등학교 문서의 존폐를 일괄적으로 판단하는 것은 사실상 가능하지 않습니다. --케골 2010년 9월 30일 (목) 10:15 (KST)[답변]
삭제 나열하신 모든 초등학교 문서를 살펴보았으나, 저명성을 갖춘 곳은 하나도 없었습니다. 바로 삭제 신청을 하셨어도 삭제되었을만한 문서들입니다. --정안영민 (토론) 2010년 10월 1일 (금) 17:58 (KST)[답변]
의견 과거에 제가 생성한 삭제 토론인 위키백과:삭제 토론/대한민국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문서에서는 긴 시간을 끌었는데 차라리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초등학교와 같은 목록으로 합치는 것은 어떨까요? --User:Bart0278 (talk · cont.) 2010년 10월 1일 (금) 22:14 (KST)[답변]
삭제 동성초등학교 (부산) 초기 생성자이지만 저명성 부족 삭제찬성합니다.--정인우 (토론) 2010년 10월 1일 (금) 22:28 (KST)[답변]
저명성 있다고 한 것 빼고 다 삭제 내친 김에 위키백과:삭제 토론/토막글 미만 고등학교 문서도 다 없애버리죠.--Saehayae (토론) 2010년 10월 5일 (화) 00:46 (KST)[답변]
더 의견도 없겠다, 삭제로 굳어가겠다, 저명성도 없으니 삭제 신청합니다.--Saehayae (토론) 2010년 10월 6일 (수) 17:41 (KST)[답변]
- 사용자:Saehayae님은 이 삭제토론에 관련이 있는 사용자이니 이 삭제토론을 종결할 수 없습니다. 토론에 참여하여 '유지' 혹은 '삭제'를 표명하면 관련 있는 사용자가 되며 그 삭제토론을 종료할 수 없습니다. Jonsoh (토론) 2010년 10월 6일 (수) 18:34 (KST)[답변]
유지해야 합니다. 저명성에도 별 무넺는 없는 듯 합니다. --(지금은) 소년시대 (토론) 2010년 10월 6일 (수) 18:35 (KST)[답변]
- 무턱대고 문제가 없다고 쓰시지만 말고 어떤 면에서 어떻게 저명성에 문제가 없는지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진실과 환상 (聞きたい) 2010년 10월 6일 (수) 19:22 (KST)[답변]
반대 위키백과:삭제 토론/대한민국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문서를 통해 이런 식의 삭제 토론을 지양할 것을 결론지었습니다. 위에서 사용자:Ryuch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집합적인 삭제 토론에 반대합니다. Jonsoh (토론) 2010년 10월 6일 (수) 18:50 (KST)[답변]
- 관인생략님은 '여기다가 더 추가하지 마시고 개별적으로 삭제토론에 회부해 주세요.'라고 했습니다.진실과 환상 (聞きたい) 2010년 10월 6일 (수) 19:22 (KST)[답변]
- 전체를 읽어 주세요. 사용자:Realidad y Illusion님은 사용자:관인생략님의 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군요. 사용자:관인생략님의 마지막 코멘트가 무엇(토론 전체)을 정리하고 있지 않습니다. 차후의 상황을 예기한 것뿐입니다. 중요한 것은 앞선 토론에서 삭제로 결론 내리지도, 유지로 결론 내지지도 못한 데에는 특정하지 못한 대상을 상대로 삭제 토론을 벌였기 때문입니다. 지금의 토론이 개별적입니까? 집합적입니까? Jonsoh (토론) 2010년 10월 6일 (수) 19:39 (KST)[답변]
- 그걸 떠나서, 저 위에 있는 것들 당장 삭제 틀 붙여도 무방합니다. 뭐 목록성에, 발전 가능성 거의 없는 것들인데요. 아무리 여럿을 묶어 토론하는 게 안 좋은 일이라지만 이렇게 자잘한 것들까지 하나하나 다 토론 열어야 하나요? 아,구운초등학교,유림초등학교,동성초등학교,월곡초등학교 추가합니다. 필요없는 동음이의 문서니까요.--Saehayae (토론) 2010년 10월 6일 (수) 20:14 (KST)[답변]
본 삭제 토론을 닫고자 합니다. 문제가 있는 문서들에 다시 삭제 신청을 하시고, 그 후 처리를 지켜보면 될 듯합니다. 본 삭제 토론을 닫지 않으면 삭제 토론에 걸린 문서들이기 때문에 삭제 신청이 기각될 수 있습니다. 본 삭제 토론을 닫는데 이의가 있으면 발언해 주십시오. Jonsoh (토론) 2010년 10월 8일 (금) 12:57 (KST)[답변]
삭제토론을 종료합니다. 본 삭제토론은 미해결로 종료하며, 삭제토론을 닫는 데 이의가 있는 사용자는 없는 것으로 봅니다. 집합적으로 삭제토론을 열지 말고, 개별적으로 삭제신청 및 삭제토론을 열 것으로 정리합니다. Jonsoh (토론) 2010년 10월 11일 (월) 17:56 (KST)[답변]
※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