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명성이 부족하다고 판단하기에 이렇게 삭제 토론을 열려고 합니다. 해당 내용과 관련해 많은 의견 주시기 바랍니다. --밥먹어쏭(우리 함께해요!) "First in my diary" 2010년 6월 12일 (토) 16:43 (KST)[답변]
삭제 사용자:A5196872의 편집 자체가 처음부터 애니파티를 위한 편집인 것으로 보임. 홍보 목적? --Phenomenart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6:48 (KST)[답변]
정보 사용자토론:Tsuchiya Hikaru#그럼 마지막질문입니다.에 사용자:A5196872님이 해당 문서와 관련되어서 남긴 의견이 있습니다. 이 내용도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밥먹어쏭(우리 함께해요!) "First in my diary" 2010년 6월 12일 (토) 16:49 (KST)[답변]
정보 참고로 전 '저명성이 입증됬다'고 한게 아니라, 애니존이라는 문서도 존재하고, 웹사이트에 대한 정확한 저명성이 없어 일단 삭제 신청 틀을 뗀것입니다. 일단 저 분의 말을 들어보니 무조건 삭제 신청보다는 삭토에 올리는것이 좋다고 저도 생각했었거든요. :) -- 土屋光 : "츠치야 히카루" (토론·기여) 2010년 6월 12일 (토) 16:55 (KST)[답변]
유지 애니파티의 홍보를 위해서 편집한것이 아닙니다 순수 위키백과의 목적으로서 등록한것입니다. 그리고 사실대로 말하자면 저명성의 기준을 아직까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저정도로도 안된다는..말씀이신가요 --A5196872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6:54 (KST)[답변]
- (편집 충돌 × 2)사용자토론:Awesong#이미 저명성을 입증 받았는데..말이죠.에 해당 문서에 대한 저의 구체적인 의견을 제시하였습니다.--밥먹어쏭(우리 함께해요!) "First in my diary" 2010년 6월 12일 (토) 17:00 (KST)[답변]
삭제 홍보성이 농후하군요. 백:아님#PR -Jack9009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6:58 (KST)[답변]
삭제 솔직히 제가 생각해도 저명성이 없어 보입니다. -- 土屋光 : "츠치야 히카루" (토론·기여) 2010년 6월 12일 (토) 16:59 (KST)[답변]
유지 의견 다양한 것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어야 백과사전아닌가요, 애니 사이트 1, 2위를 다투는 저명한 커뮤니티가 저명하지 않다고 배척되는것 같은데요 이런 메이저 장르만 취급하면서 백과사전인가요 그리고 비영리 커뮤니티나 웹사이트 같은 경우엔 신문기사에 나오는것이 어렵다고 생각합니다.--A5196872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7:09 (KST)[답변]
- 일인 일표이므로 앞머리의 {{유지}}를 지웁니다. Jjw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7:16 (KST)[답변]
- 신문기사가 어렵다면 뉴타입 (잡지)같은 애니메이션 전문잡지의 출처를 제시해 주셔도 됩니다. 그정도만 제시하신다면 저는 유지쪽으로 의견을 바꾸겠습니다.--밥먹어쏭(우리 함께해요!) "First in my diary" 2010년 6월 12일 (토) 17:15 (KST)[답변]
삭제 저명성이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Jjw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7:16 (KST)[답변]
의견뉴타입 (잡지)과 같은 곳에 나오지도 않으면 애니메이션 웹사이트로 인정을 못받는건가요--A5196872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7:21 (KST)[답변]
- 웹사이트 인정을 받는 게 아니고 위키백과에 올라 갈 수 있는 기준에 맞을 수 없습니다. 위키백과는 저명성에 기초를 두고 있습니다. 이 원칙이 지켜지지 않는다면 외부에서 판단하는 위키백과의 신뢰도는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런 측면도 고려해 주시기 바랍니다. --밥먹어쏭(우리 함께해요!) "First in my diary" 2010년 6월 12일 (토) 17:23 (KST)[답변]
의견저명성의 대한 기준이 신문기사 출처나 뉴타입 (잡지) 과 같은곳에 올라와야만 인정이 되는건가요 그외에는 방법이 없는건가요. 이렇게 되면 왠만한 웹사이트들은 불가능한것 아닌가요 뉴타입 (잡지)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담지 않는걸로 알고있습니다. --A5196872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7:25 (KST)[답변]
- 밑의 내용을 한 번 보세요.
어떠한 글이 ‘신뢰할 수 있고 해당 대상(주제)에 독립된’ 출처가 충분히 제시되었다면 저명성이 있다고 여겨지게 됩니다
- 님께서 작성하시는 내용은 해당 대상에 독립되어 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이 경우 저명성 입증은 어렵게 됩니다. 저명성이 적은 문서를 남겨 놓는 그러한 상태는 위키백과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제 의견으로는 언론사 사이트를 제외한 다른 웹사이트들도 이러한 원칙을 지켜야 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집니다.--밥먹어쏭(우리 함께해요!) "First in my diary" 2010년 6월 12일 (토) 17:33 (KST)[답변]
- (편집 충돌) 오해하시는 것 같은데, 신문기사나 잡지 등에 단지 "언급"되었다고 저명성이 인정되지는 않습니다. --Phenomenart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7:35 (KST)[답변]
- (편집 충돌 × 3) 그리고 굳이 뉴타입이라고 하나의 잡지를 굳이 지칭한 이유는 님이 올리신 웹사이트가 애니메이션 관련이기 때문입니다. 뉴타입에 마치 그게 나와 있다 확실하게 이야기 한 거는 아닙니다. 만약 다른 잡지, 인터넷 언론에 해당 내용이 충분하게 나와 있다면 제 의견으로는 저명성이 어느정도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밥먹어쏭(우리 함께해요!) "First in my diary" 2010년 6월 12일 (토) 17:39 (KST)[답변]
삭제 저명성도 저명성이지만, 너무 홍보성 색깔이 농후하네요. --Endy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7:38 (KST)[답변]
의견홍보성이 있다고 생각하시면 그 홍보성의 관한 내용을 삭제 하시면 되는것 아닌가요 저명성과는 상관없어 보이는데요 --A5196872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7:42 (KST)[답변]
의견이렇게 되면 모든 웹사이트들은 저명성이 없다는것 아닌가요 해당대상에 독립되어있다는 점을 어떻게 이점을 저명성으로 인정 한다는것 자체가 무리가 있어보이는데요--A5196872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7:37 (KST)[답변]
- 백:아님#광고, 백:저명성을 먼저 인지하시기 바랍니다. --Phenomenart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7:42 (KST)[답변]
의견오락적 사이트 (지오 시티즈, 개인 블로그 등)에서 콘텐츠가 소개된 경우.이라고 나와있는데요 애니파티에 관한 네이버 블로그나 이글루스 블로그의 내용이면 상당히 많습니다 여기 적혀있는것에 따르면 조건에 해당되는거 아닌가요 --A5196872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7:44 (KST)[답변]
- 그렇다면 저명성은? 글의 주제는 저명한, 또는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는’ 내용이어야 합니다. ‘저명성’을 결정함에 있어 반드시 ‘유명함’이나 ‘중요성’ 또는 ‘인기도’에 의존하는 것은 아닙니다.--Phenomenart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7:46 (KST)[답변]
의견개인블로그도 저명성이 인정 된다고 잘 나와있는데요 인정 안하시는건가요 제가 홍보목적으로 등록한것도 아니고 다시 말씀드리다 싶이 순수 백과사전으로 등록한것입니다. --A5196872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7:49 (KST)[답변]
- 개인블로그 자체가 저명성이 없습니다. 이 사이트는 정보사이트인데, 네이버 카페가 존재하는군요. 단독사이트라면 네이버카페 존재하지 않습니다. Park4624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7:52 (KST)[답변]
의견단독사이트이고 네이버는 분점일뿐입니다 그리고 저명성에 개인블로그라고 써있는데도 불구하고 전혀 인정을 안하시네여--A5196872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7:56 (KST)[답변]
- (편집 충돌 × 4) 개인블로그가 저명성의 기준이 된다는 내용이 어디 나와있는지 구체적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처음 듣는 내용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밥먹어쏭(우리 함께해요!) "First in my diary" 2010년 6월 12일 (토) 17:58 (KST)[답변]
- 위키백과에서는 개인블로그를 저명성으로 인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개인블로그는 아무래도 홍보하는 경향이 많기 때문이죠.. Park4624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7:58 (KST)[답변]
- 저도 Park4624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블로그는 거의다 저명성에 위반되죠.. --S7 ㅡ【ㅌㄹ】【ㄱㅇ】 2010년 6월 12일 (토) 17:59 (KST)[답변]
의견위키백과:저명성_(웹사이트) 에 아주 상세히 나와있습니가 기준에 보시면웹 콘텐츠가 작성자와 무관계인 매체를 통해 소개된 경우. 넷 뉴스. 온라인 매거진, 온라인 출판, 온라인 방송 등. 단 이하의 경우 기준에 충족지 못한 것으로 본다. 오락적 사이트 (지오 시티즈, 개인 블로그 등)에서 콘텐츠가 소개된 경우. 라고 나와있네요 그것도 개인블로그--A5196872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8:02 (KST)[답변]
- 죄송하지만 그건 지침이 아닙니다. 그 문서 꼭대기를 읽어보셨을지 모르지만, 이 문서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정책이나 지침이 아니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ㅎㅎ --Phenomenart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8:06 (KST)[답변]
의견 ^^ 그럼 그쪽에서도 저명성에 관해서 반박하실 이유가 없으시겠네요 웹사이트에 대해서 따로 저명성의 기준이 있는것도 아니잖아요 어디서도 나와있지 않은 기준으로 제게 반박한다는건 그쪽에서 잘못된것 같은데요^^--A5196872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8:07 (KST)[답변]
- (편집 충돌 × 3) 이거 말씀하시는 건가요?
웹 콘텐츠가 작성자와 무관계인 매체를 통해 소개된 경우. 넷 뉴스. 온라인 매거진, 온라인 출판, 온라인 방송 등. 단 이하의 경우 기준에 충족지 못한 것으로 본다.
- 오락적 사이트 (지오 시티즈, 개인 블로그 등)에서 콘텐츠가 소개된 경우.
- 그런데 이하의 경우 기준에 충족지 못한 것으로 본다 여기를 못 보셨나 보네요.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다는 말은 저명성이 부족하다는 의미와 동일하다고 봅니다. 이 의미는 블로그가 출처가 될 수 없다는 점을 나타냅니다. 근거를 잘 못 대신 듯 하네요.--밥먹어쏭(우리 함께해요!) "First in my diary" 2010년 6월 12일 (토) 18:09 (KST)[답변]
- 현재 적용되고 있고 있지 않고를 떠나 해당 내용을 따져 보아도 저명성에는 부족한 게 명백합니다. --밥먹어쏭(우리 함께해요!) "First in my diary" 2010년 6월 12일 (토) 18:10 (KST)[답변]
의견그럼 모든 웹사이트 중에서 저명성에 해당이 되는건 어떻게 하실껀가요 ~? 상당할텐데요 --A5196872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8:11 (KST)[답변]
- 제가 의견을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밥먹어쏭(우리 함께해요!) "First in my diary" 2010년 6월 12일 (토) 18:13 (KST)[답변]
- 주장이 도무지 납득이 되지 않습니다. 부디 한국인이 알아들을 수 있는 말로, --Phenomenart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8:13 (KST)[답변]
의견애니파티와 애니존이 아닌 다른 웹사이트들의 저명성을 확실하게 인정하셨단거 아닌가요 그 저명성은 대체 어떻게 인정이되었다는건지이해가 안되서요 한번 인정한 사례를 보여주실수 없나요? 저도 여러분들의 말이 전혀 납득이 안되거든요 제 주장은 이정도까지 됬는데도굳이 저명성이 필요 한가에 대해서 입니다 (네이버 디렉토리 > 엔터테인먼트 > 만화, 애니메이션 > 애니메이션 > 커뮤니티) 그리고 "모에적성검사"라는 키워드는 네이버에도 나오는 키워드에도 나오는대 말이죠 제가하고싶은말은 굳이 여러분들이 말씀하시는것만 저명성에 해당되는가입니다. --A5196872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8:16 (KST)[답변]
- 제발 들여쓰기 정리좀 해주세요. 저명성이 어떻고 자시고 갑론을박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실제로 해당 문서는 저명성이 보장되지 못하거든요. 백:저명성에서도 말하고 있듯, 위키백과는 일과성의 뉴스나 충분히 주목받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내용의 구성 이상의 것을 싣습니다. --Phenomenart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8:19 (KST)[답변]
의견더이상 할말도 없고 저명성같은게 위키백과를 망치는것 같군요 좋은곳인줄 알았는데 영 아니군요 나중에 저명성에 해당되는 자료를 가져와서라도 다시 올리던가 해야겟네요 이곳이 상당히 보수적인곳이군요 모든 분들이 전부다그렇군요 웹사이트 저명성에 대해 정확한것이 나와있지도 않으면서 이건 헌법에도 나와있지 않은데 규제하는것과 같군요^^ --A5196872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8:23 (KST)[답변]
- (편집 충돌 × 2) 오해입니다. 저명성은 위키백과 지침인 위키백과:저명성에 이미 나와 있습니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닙니다. 만일 님께서 저명성 있는 출처를 가지고 오신다면 해당 내용은 삭제할 이유가 없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그리고 로마에서는 로마법을 따르라는 말이 있습니다. 위키백과의 저명성 지침과 헌법은 전혀 관련이 없다는 점을 말하겠습니다.--밥먹어쏭(우리 함께해요!) "First in my diary" 2010년 6월 12일 (토) 18:29 (KST)[답변]
- 그리고 웹사이트 저명성과 관련해서도 제가 이미 그 증거를 백:저명성 (웹사이트)와 비교해서 자세히 알려드렸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님께서는 님의 의견을 굽히지 않으시는군요. 제가 님을 이해시키지 못했나 하는 아쉬움이 듭니다.--밥먹어쏭(우리 함께해요!) "First in my diary" 2010년 6월 12일 (토) 18:31 (KST)[답변]
- 저명성 요구가 합당한 것이 아니었나요? 저명성이 없는 것들이 (주로 홍보 목적에서)난립해야 좋은곳 위키백과가 되는 건가요? 헌법, 보수적 등의 궤변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Phenomenart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8:25 (KST)[답변]
- 덧붙여, 헌법이야기가 나와서 그런데 대한민국에서는 대한민국 헌법을 따르고, 로마에서는 로마법을 따르고, 위키백과에 와서는 당연히 위키백과의 합의된 규약을 따르는 것이 상례입니다. 그러나 님께서는 그것을 망각 혹은 부인하고 계십니다. 보수적이라느니 저명성에 대한 제재가 위키백과를 망친다느니 막말을 일삼고 계십니다. --Phenomenart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8:28 (KST)[답변]
의견그 저명성이 위키백과 망치는거 아닐까요 아무튼 드린말 잘 생각하시길요 위키백과가 이정도밖에 안되는곳이였군요 ~--A5196872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8:32 (KST)[답변]
- (편집 충돌) 자신의 의견이 인정받지 않았다고 위키백과 전체를 비난하시는 행위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저명성 정책과 관련해서 불만이 있으시다면 여기보다는 백:사랑방에서 이야기 해주세요. --밥먹어쏭(우리 함께해요!) "First in my diary" 2010년 6월 12일 (토) 18:39 (KST)[답변]
- (편집 충돌) 헌법 좋아하시는 분께, 자신의 의견이 관철되지 않으면 전체를 비난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원칙에도 어긋나지 않습니까? 사용자토론:A5196872 참고하십시오. --Phenomenart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8:42 (KST)[답변]
의견 그런데 사실 위키백과:저명성 (웹사이트)의 내용이 '초보 사용자'들이 이해하기 어렵게 쓰여진 것은 사실입니다. 제 생각으로는 '기준' 부분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명시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BIGRULE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8:37 (KST)[답변]
- 일정 부분 동의하기는 하나 여기서 이야기할 내용은 아니라고 봅니다. 해당 내용은 위키백과토론:저명성 (웹사이트)에서 이야기 해보는 게 어떨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밥먹어쏭(우리 함께해요!) "First in my diary" 2010년 6월 12일 (토) 18:41 (KST)[답변]
- 예. 그것이 더 적절할 것 같군요. --BIGRULE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8:41 (KST)[답변]
- 위키백과토론:저명성 (웹사이트)에 해당 내용을 올렸습니다. --BIGRULE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18:45 (KST)[답변]
삭제 --람다람쥐 (토론) 2010년 6월 14일 (월) 16:29 (KST)[답변]
의견 애니파티의 경우, 다른건 몰라도 '모에적성검사' 같은 건 사이트 외적으로도 많이 알려지지 않은 거 아닌가요? 애니존의 최고모에토너먼트 처럼 말이죠. 게다가 사용자:A5196872님의 경우 가입 기간은 5개월가량 되었으나 편집횟수가 극히 적으신 신입 사용자 분인데, 이 분에게는 왜인지 처음 가입 후 1회 이상 편집을 실행 한 경우에 반드시 달아야 하는 환영 틀을 달아주신 분이 없었네요. 여러모로 새로운 사용자분에 대한 안내가 부족한 것이 컸던 것이 아쉽습니다. 오해가 오해를 부르니, 결국 난데없이 불필요한 언쟁만 생겼네요. --이로하(토론·기여) 2010년 6월 14일 (월) 21:07 (KST)[답변]
- 환영틀에 대해서는 제가 할말이 없습니다. 무엇보다도 1월달이면 제가 {{환영}} 다는 법을 알지 못했기 때문에 그렇게 되었습니다. 일단 당시 모에토너먼트가 삭제된 이유는 출처가 없었고, 저명성 자체가 부족했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위키백과라면 저명성을 입증받기 위해서 출처가 필요합니다. 단순히 애니메이션 매니아 층이 아닌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더욱 필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만일 애니메이션을 위한 특정 관심사를 목적으로 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상관없지만, 여기는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입니다. 애니메이션에 대해 모르는 사람들에 대해서도 납득 갈 수 있도록 해야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최고모에토너먼트도 삭제될 확률이 높은게, 지금 애니존이 저명성 부족으로 삭제 위기에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밥먹어쏭(우리 함께해요!) "First in my diary" 2010년 6월 14일 (월) 21:48 (KST)[답변]
- 저명성 문제는 그렇다 할 지라도 적어도 기본적인 편집 안내 사항 정도는 필요했었습니다. 첫 기여는 1월에 있었긴 했지만 문제가 되는 것은 지금 이 삭제토론과 연관되는 6월 12일 이후의 모습입니다. 적어도 사용자 기록과 토론 내용으로 비추어보았을때, 1월과 이번 삭제 토론과 연관된 문서에 대한 기여 사이에는 어떠한 편집도 없었습니다. 때문에 삭제 토론으로 인한 의견 대립 시점부터 뒤늦게라도 환영 틀을 달아줬어야 했었습니다. 이것이 꼭 어쏭님 문제라고 단정할 수 없는 이유입니다. 지금 이 상황은 새로운 사용자에 대한 위키백과에 대한 안내가 부족하여 발생한 오해이고, 오해 때문에 불필요한 오해가 또 발생한 것입니다. --이로하(토론·기여) 2010년 6월 15일 (화) 00:59 (KST)[답변]
A5196872님에게 헌법 좋아하시는 분 운운함은 지나치군요. 사용자토론란에까지 가서 헌법 좋아하시는 분이라고 또 언급함은 이는 새로운 손님을 쫓아내는 행동입니다. --hun99 (토론) 2010년 6월 15일 (화) 01:15 (KST)[답변]
- 동감합니다.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 위키백과 편집에 아직 익숙하지 않은 분께 이러한 발언은 너무 지나쳤다고 봅니다. --이로하(토론·기여) 2010년 6월 15일 (화) 01:20 (KST)[답변]
삭제 저명성을 이유로. -- 노승희 (토론) 2010년 6월 16일 (수) 01:29 (KST)[답변]
삭제 유지할 근거가 전혀 없음 -- 소심자 (토론) 2010년 6월 25일 (금) 04:40 (KST)[답변]
삭제 에라 --돌피넬(talk) 2010년 6월 26일 (토) 18:35 (KST)[답변]
유지 애니파티 자체에 저명성이 부족한 것은 아니므로 문서 자체를 삭제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애니파티 사이트는 애니 좀 본 사람이면 많이들 알고 있으니까요. 그렇게 따지면 케이온! 같은 문서들도 삭제 대상이 될 겁니다. 문서는 유지하고 위키화 및 보완 작업을 시도하는 것이 합당합니다. --Shhan0614 (토론) 2010년 7월 10일 (토) 23:48 (KST)[답변]
질문 케이온!문서와 해당 문서와의 공통점이 무엇인지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밥먹어쏭(우리 함께해요!) "First in my diary" 2010년 7월 10일 (토) 23:50 (KST)[답변]
- 그냥 누구누구나 알고 있다라고만 하시지 말고 제3자가 객관적으로 봤을 때 제3자를 유명하다고 생각하게 할 만큼 객관적 근거 및 자료를 제시해주세요. 저도 재패니메이션 많이 보는 편입니다만, 이거는 처음 들어보네요, 애니타운 카페라면 모를까.--Leedors (토론) 2010년 7월 14일 (수) 00:03 (KST)[답변]
삭제 저명성 없음. 이 토론 닫아도 될까요.--Leedors (토론) 2010년 7월 18일 (일) 18:17 (KST)[답변]
삭제 이제 닫아도 될 것 같네요.진실과 환상 (聞きたい) (Contribuciones) 2010년 7월 20일 (화) 22:06 (KST)[답변]
의견토론내용을 보면 저명성의 문제로 토론이 끝날것 같네요 저명성의 문제를 확실히 알았으니 나중에 저명성이 입증이 되면
다시 등록 하겠습니다.--A5196872 (토론) 2010년 7월 20일 (화) 23:33 (KST)[답변]
[1] 별 의미는 없지만 곧 삭제될 문서에 묵념하며 한번 던져나 봅니다. --Hijin6908(말마당 · 한 일) 2010년 7월 24일 (토) 19:23 (KST)[답변]
삭제했습니다. --klutzy (토론) 2010년 7월 24일 (토) 19:40 (KST)[답변]
※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