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제자를 제외한 분들의 의견이 유지이므로, 존치합니다. --ginaan(˵⚈ε⚈˵)★ 2024년 9월 9일 (월) 14:16 (KST)[답변]
내용이 같은 문서라 한번에 회부합니다. 한국어에서 국명+도시명은 해당 도시를 가리킬때 쓰여 미국 뉴욕은 미국의 뉴욕시, 우크라이나 뉴욕은 우크라이나의 Niu-York를 나타냅니다. 국명의 식별자로 쓰려면 킨샤사 콩고, 브라자빌 콩고, 콩고 (브라자빌) 등을 사용해야 하는데, 대상이 잘못된 것으도 보입니다.
--2001:2D8:EE62:30E9:0:0:DE:B45 (토론) 2024년 8월 28일 (수) 14:59 (KST)[답변]
삭제 잘못 생성된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Jeebeen (토론) 2024년 8월 28일 (수) 20:58 (KST)[답변]
유지 삭제 의견 취하 --Jeebeen (토론) 2024년 8월 29일 (목) 10:52 (KST)[답변]
유지 Congo-Brazzaville과 Congo-Kinshasa이라는 단어가 존재하므로 이를 직역한 표현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Aspere (토론) 2024년 8월 28일 (수) 23:31 (KST)[답변]
- 덧붙여 말씀하신 것처럼 도시와의 구분이 필요하다면 {{다른 뜻 넘어옴}}을 써서 "도시에 대해서는 브라자빌 문서를 참고하라" 라는 문구를 본 문서에 넣어주면 된다는 의견입니다. --Aspere (토론) 2024년 8월 28일 (수) 23:34 (KST)[답변]
- @Aspere: 제가 의견을 바꾸기 전에 여쭙고 싶은 것이 하나 있는데요, 그런 이유라면 아마 로망스어권은 수식어가 뒤에 온다는 점에서 그렇게 적은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NATO도 후치수식에 따라 OTAN으로 적기도 하니 오탄의 다른 뜻 넘겨주기로 NATO를 지정해야 한다는 의견에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만약 그것이 합당하다면 콩고 브라자빌도 괜찮다고 생각하겠습니다. 가리키는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중화 타이베이 토론에서만 사용되고 한국어 화자들에게 실질적으로 사용되는지에 관해서는 의문점이 있습니다. 만약 이것이 허용된다면 후치수식으로 생성된 불어권 합성어도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허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Jeebeen (토론) 2024년 8월 29일 (목) 06:25 (KST)[답변]
- 솔직한 감상을 말씀드리면 이 문제는 말씀하신 것처럼 "실질적으로 사용하는지"가 중요한 것이지, "어느 언어의 표시 방법에 있으니까 (일괄적으로) 허용해야 한다"라고 해석하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에 유지 의견을 남겼던 것은 제가 "콩고 브라자빌"이라는 단어가 익숙해서 찾아본 결과 단어 전체가 고유명사처럼 사용되고 있고, 한국어로도 "콩고 브라자빌"이라고 검색했을 때 도시를 가리키는 결과와 나라를 가리키는 결과가 혼재되어 나왔기 때문에 충분히 유지할 만한 넘겨주기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다만 말씀하신 예시 "오탄"은 검색해 보면 NATO를 가리키는 의미보다는 다른 의미로 훨씬 많이 쓰이고 있어 단순히 넘겨주기로 지정하기에는 무리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Aspere (토론) 2024년 8월 29일 (목) 07:22 (KST)[답변]
- 또한 큰 관련은 없는 얘기이지만, 넘겨주기 문서라는 것은 "검색"의 편의성을 위해서 존재하는 면도 있는 만큼 가리키는 문서의 수가 적다고 무조건 사용하지 않는 것이라고 단정짓기에는 약간의 무리가 있을 것 같습니다. --Aspere (토론) 2024년 8월 29일 (목) 07:22 (KST)[답변]
- 의견은 유지로 바꾸나, 한 가지 지적하고 싶은 점은 콩고 브라자빌로 검색을 한다고 하여도 제가 알기론 브라자빌 콩고와 검색 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지는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말씀에서 해당 부분에 대해선 짚고 넘어 갈 필요가 있어 말씀드렸으나, 여타 말씀들에 납득 못할 얘기가 있는 건 아닙니다. 그 외 말씀들을 읽어 봤을 땐 Aspere님 의견이 더 설득력 있다고 느껴집니다. 따라서 기존의 삭제 입장에서 유지로 의견을 바꿉니다. 검색의 편의성도 생각할 수 있다면 그것은 넘겨주기 정책에 부합하는 것이니까요. --Jeebeen (토론) 2024년 8월 29일 (목) 10:59 (KST)[답변]
의견 발제자입니다. 영어등 외국어에서 하이픈이 없는 띄어쓰기 형태가 국명을 지칭하는 등, 같은 표현으로 사용되는지 의문입니다. 콩고 브라자빌은 삭제 혹은 브라자빌로 넘겨주기, 콩고 킨샤사도 같은 방법으로 처리, 콩고-브라자빌, 콩고-킨샤사는 국명으로 넘겨주기 허용을 하는게 논리적으로 맞지 않나요? 2001:2D8:EE68:328E:0:0:33F:CB45 (토론) 2024년 8월 29일 (목) 08:51 (KST)[답변]
유지 국제우편에서 Seoul Korea, Pyeongyang Korea를 쓰는 것과 비슷하게 두 지역을 가르기 위해 사용하는 명칭입니다. 념겨주기가 언제나 다다익선은 아니지만, 다다익선인 경우는 충분히 많습니다.--trainholic (T, C) 2024년 8월 29일 (목) 11:09 (KST)[답변]
Trainholic 답변 한국어 문법적으로 콩고 브라자빌은 브라자빌을 뜻하며, 콩고-브라자빌을 국가 넘겨주기로 존치하면 콩고 공화국을 찾을 사람은 자동완성으로 찾을 수 있고 국가를 의도하고 콩고 브라자빌로 도시 문서에 들어온 사람도 서두의 내용을 보고 국가로 바로 링크해서 넘어갈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넘겨주기 문서의 일대일 대응 원칙에 위배되는 상태입니다. 2001:2D8:E662:76BF:0:0:2A4:B45 (토론) 2024년 8월 29일 (목) 22:18 (KST)[답변]
- 대상 문서와 일대일 대응이 되는 경우는 넘겨주기 문서를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명백하게 일대일로 대응한다고 보기 어려운 넘겨주기 문서는 만들지 않습니다. 여기에는 장난 또는 악의적인 넘겨주기도 포함됩니다. 이러한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는 이유는 이들이 혼돈을 야기하기 때문입니다. 2001:2D8:E662:76BF:0:0:2A4:B45 (토론) 2024년 8월 29일 (목) 22:18 (KST)[답변]
- 두 콩고에 대해 국명 수도명은 수도로 넘겨주기, 국명-수도명, 수도명 국명, 국명 (수도명)은 국가로 넘겨주기를 제안합니다. 2001:2D8:E662:76BF:0:0:2A4:B45 (토론) 2024년 8월 29일 (목) 22:21 (KST)[답변]
유지. 다만 가리키는 대상에 대해서는 의견을 내지 않습니다. 慈居 (토론) 2024년 8월 30일 (금) 17:08 (KST)[답변]
유지 [1], [2] [3] 등 언론 보도에서도 두 콩고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습니다. -- ChongDae (토론) 2024년 8월 31일 (토) 11:32 (KST)[답변]
ChomgDae 답변 1번 한국일보 기사엔 '킨샤사-콩고', '브라자빌-콩고', 2번 조선일보 기사엔 콩고-킨샤사, 콩고-브라자빌만 사용되어, 띄어쓰기 형태가 사용된 것은 3번 하나 뿐입니다. 1번 기사와 2번 기사는 근거로 유효하지 않습니다. '콩고 킨샤사'는 킨샤사를 의미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2001:2D8:E666:7B71:0:0:BB:4B45 (토론) 2024년 8월 31일 (토) 12:05 (KST)[답변]
유지 그냥 영어식 표기를 한국어로 옮긴 것 뿐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 Yelena Belova (토론) 2024년 9월 4일 (수) 17:28 (KST)[답변]
※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