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연구 틀을 삭제 신청합니다. 타인의 의견을 원천봉쇄하는 원동력을 위키백과에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는 건 아니죠? 토론과 독자연구는 정반대의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이 의견을 내도 B가 독자연구라고 매도하면 그걸로 끝입니다. 토론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요. 61.82.160.44 (토론) 2010년 10월 11일 (월) 06:25 (KST)[답변]
- 덧붙이자면 이미 틀:출처만으로도 충분히 해당 틀의 기능이 이루어지는데 궂이 기능이 중복되면서 틀:출처보다 훨씬 부정적인 의미의 틀이 필요한지 의문입니다. 더군다나 틀:독자연구는 너무 심하게 남발되고 있습니다. 해당틀을 사용하는 사람들 중에 그 틀에 대한 유의사항을 지키는 유저가 거의 없습니다. 명백하게 이 틀을 붙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토론 페이지에 이유를 설명해야 합니다.라는 주의사항이 있는데 틀을 붙이기만 했지 그 틀을 왜 붙였는지는 아무도 설명을 안해줍니다. 이렇게 사용되는 틀이라면 차라리 없는 게 훨씬 위키백과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입니다.61.82.160.44 (토론) 2010년 10월 11일 (월) 06:36 (KST)[답변]
의견 일단 뒷부분 ('이 틀을 붙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토론 페이지에 이유를 설명해야 합니다' 부분)에 관련해서는 공감하는 바이며, 최근 이러한 원칙을 준수하려는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틀:독자연구와 틀:출처는 성격이 조금 다른 틀이기 때문에, 삭제보다는 관련 토론에서 '원칙의 준수와 원칙을 준수하지 않을 때에 대한 규제'에 대한 토론을 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BIGRULE (토론) 2010년 10월 11일 (월) 08:00 (KST)[답변]
의견 그리고 '독자연구'라고 주장하는 사용자 입장에서도 '그것이 왜 독자연구인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며, 이를 준수하지 않았다면 당연히 문제가 되겠지요. 혹시, 그러한 예시가 있다면 링크를 제시해 주시면 토론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BIGRULE (토론) 2010년 10월 11일 (월) 08:23 (KST)[답변]
- 삭제토론보다는 사랑방에 어울리는 글이 아닐까 싶네요. 독자연구 금지는 지침에 있는 것이며, 이 틀은 다른 언어판에도 있습니다. 문제가 되는 부분은 아마도 틀의 남용이겠지요. 부당하게 생각되는 점이 있다면, BIGRULE님 말씀대로, 틀을 붙인 사람에게 적절한 이유를 제시할 것을 요구하여야 합니다. --김정정민(JM) (토론) 2010년 10월 11일 (월) 10:44 (KST)[답변]
질문 현재 위키백과:삭제 토론의 정책상 '삭제 토론 신청 시 해당 문서의 생성자 또는 주요 기여자에게 삭제 토론 회부 사실을 사용자토론 페이지를 통해 알려주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라는 규정이 있는데, 현재 삭제 토론과 같은 경우에는 누구에게 알려주어야 하는지요? --BIGRULE (토론) 2010년 10월 11일 (월) 11:36 (KST)[답변]
유지 타 언어판에도 모두 존재함. 문제 없는(정책의) 틀. Irafox (토론) 2010년 10월 11일 (월) 17:00 (KST)[답변]
삭제 동의합니다. 독자 연구의 뜻을 잘 모르시는데 이상하게 사용하시는 분들도 보았고, 타 언어판에도 존재한다고 유지해야 한다는 이유가 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User:Bart0278 (talk · cont.) 2010년 10월 12일 (화) 17:00 (KST)[답변]
- 덧붓여 설명하자면 좋은 취지를 가지고 있는 백:독자와는 달리, 그 의미와 사용이 오용되었고, {{출처 필요}}와 별반 다른 의미가 없는 것 같습니다. --User:Bart0278 (talk · cont.) 2010년 10월 12일 (화) 17:05 (KST)[답변]
유지 틀의 의미가 강하지 않게 서술되어 있으나, 문제는 틀을 사용하는 측이나 받아들이는 측의 잘못된 오해 때문은 아닐까요.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10년 10월 12일 (화) 18:53 (KST)[답변]
의견 물론 Bart0278님이나 61.82.160.44님의 의견처럼 '독자연구 틀'이 남용 내지는 오용되는 경우가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다만, 위에서도 언급하였지만, '출처 필요' 틀이 '독자연구 틀'의 기능을 전부 대체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일례로, 위키백과:독자연구 금지에서는 '공개 발표된 자료를 근거로 새로운 결론을 이끌어 내는 것'은 출처의 유무와 상관없이 독자연구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제 의견은 틀:독자연구에 명시되어 있는 '이 틀을 붙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토론 페이지에 이유를 설명해야 합니다.'를 모든 사용자가 반드시 준수하게끔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제재를 가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합니다. --BIGRULE (토론) 2010년 10월 12일 (화) 20:50 (KST)[답변]
유지 좀 요상하게 쓰이기도 하지만 필요한건 한 겁니다. 만약에 틀:삭제 가 오용되면 그걸 없애야 하나요?--Saehayae (토론) 2010년 10월 13일 (수) 00:16 (KST)[답변]
의견 저는 61.82.160.44님의 주장에 동의할 수 없는 부분이 많습니다. 모든 사용자들이 독자 연구 틀을 부착한다고 토론을 거부한다는 것도 아니며, 타인의 말이 듣기 싫어 귀를 닫는 행위도 아닙니다 [1] 최근 어쏭님과 같은 정직한 사용자분들이 틀의 오용을 막기 위해 노력하고 계시기도 하구요. 차츰 좋아질 것이라고 믿습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10년 10월 13일 (수) 01:08 (KST)[답변]
유지 남용을 경계하는 설명을 보충할 수는 있겠지만, 위키백과의 주요 지침인 위키백과:독자연구 금지와 관련된 틀이어서 삭제는 고려하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jtm71 (토론) 2010년 10월 13일 (수) 19:10 (KST)[답변]
유지 백:독자연구를 토론하는게 훨씬 효과적입니다.--NuvieK (토론) 2010년 10월 16일 (토) 11:46 (KST)[답변]
의견 단순한 틀이 아닙니다. 분류:삭제 신청과 연동하는 {{삭제 신청}}처럼 {{독자연구}}는 분류:독자연구 의심 문서과 연동합니다. 이런 근본적인 연동 시스템에 대해서도 확인이 없으며, 삭제 토론 발의자의 발언에도 ‘삭제해야 하는 타당한 근거’는 보이지 않아 삭제에는 동의할 수 없습니다. Irafox (토론) 2010년 10월 16일 (토) 21:15 (KST)[답변]
의견 자동차가 사고 위험이 있다고 해도 그걸 전부 없애버릴 수 없다고 봅니다.--Altostratus (토론) 2010년 10월 23일 (토) 17:47 (KST)[답변]
의견 그렇다 하더라도 자기 마음에 안든다고 아무 설명없이 틀을 남발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틀 자체는 유지하되 가입된지 1개월 이상 된 사용자들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시스플라티나 (토론) 2010년 11월 9일 (화) 21:11 (KST)[답변]
유지합니다. 잘못 쓰이긴 하나 필요하다는 의견이 우세하고, 더 진행되지도 않는군요. 의견을 내긴 했다만 과감하게 닫습니다.--Saehayae (토론) 2010년 11월 24일 (수) 18:30 (KST)[답변]
※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