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머지 문서는 유지하기로 하고 삭제토론을 닫겠습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 2013년 3월 30일 (토) 09:12 (KST)[답변]
전부 특필할 가치가 없는 과문서화 시킨 문서들입니다. 관련 문서들로 전부 병합 시킬 수 있습니다.--Leedors (토론) 2012년 11월 27일 (화) 02:38 (KST)[답변]
-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역대 기여도 순위(삭제)를 빼고는 모두
유지. 개별 경기 결과를 본 문서에 넣을 경우, 가독성이 떨어집니다. -- ChongDae (토론) 2012년 11월 27일 (화) 11:55 (KST)[답변]
- 개별 경기 결과 목록들도 전부 삭제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백과사전적인 내용이 아니며 백:아님#책에 해당되는 부분입니다.--Leedors (토론) 2012년 11월 27일 (화) 17:08 (KST)[답변]
- 아니면 경기 결과 목록 문서만 따로 만들어서 서술할 수도 있겠고요.--Leedors (토론) 2012년 11월 27일 (화) 17:15 (KST)[답변]
- 200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UEFA 유로 2008 예선 A조 등의 문서와 다를게 없어보입니다. -- ChongDae (토론) 2012년 11월 28일 (수) 18:16 (KST)[답변]
-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라운드 처럼 경기 결과들을 표로 간단하게 처리하면 될 것을 과도하게 늘여 쓴 부분이나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 1 결승전 처럼 아무런 서술 없이 딸랑 경기 결과만 적힌 문서들은 정리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 월드컵이나 유로 축구 같은 경우 워낙 국제적이기에 각각 개별 문서에 단순한 목록 외에 뭔가 서술할 내용이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생각하고 있는 프로리그의 규모에 따르면 그다지 필요 없을 듯 한데요.--Leedors (토론) 2012년 11월 29일 (목) 00:48 (KST)[답변]
 예선전, 결승전, 포스트 시즌, Round별 문서를 연도별 리그 문서에 병합 독자연구성 내용이 있다면 병합하지 않고 바로 넘겨주기하면 될 것 같습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 2013년 2월 11일 (월) 23:39 (KST)[답변]
상위 3개의 문서 삭제 '역대'라는 개념 하에 결과만을 따로 빼서 정리하는 것이 무의미하다고 판단됩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 2013년 3월 11일 (월) 20:37 (KST)[답변]
유지 포스트시즌은 정규시즌과 별개로 독립된 문서로 놓는게 일반적입니다. 이렇게 많은 내용을 합쳐 놓는 것은 보기 정말 안좋고, 로드하는데 시간도 걸리고 여러모로 불편하겠네요.--NuvieK 2013년 3월 11일 (월) 10:19 (KST)[답변]
- 라운드는 완전히 유지해야 합니다. 보통 스포츠가 1년에 한 시즌을 마치는 것과 달리 프로리그는 라운드 당 한 시즌으로 치는 겁니다. 마치 EPL 2000년대 시즌을 한 문서에 합치는 것과 똑같습니다. 별개의 시즌을 하나로 합치는 것은 안됩니다.--NuvieK 2013년 3월 11일 (월) 10:21 (KST)[답변]
- 라운드 별 포스트시즌으로 문서를 오히려 나눠야할 것 같습니다. 서로 다른 시즌들의 포스트시즌을 연도별로 모아두는 것은 전례도 없을 뿐더러 서로 합쳐질만한 대상이 아닙니다.--NuvieK 2013년 3월 11일 (월) 10:22 (KST)[답변]
- '특별히 서술할 가치'로 비교하셔야 합니다. 2012년 한국 프로 야구 포스트 시즌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는 내용과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포스트시즌 문서들에 들어갈 걸으로 예상되는 내용을 생각해 비교해보세요. 아무런 백과사전 적인 서술 없이 딸랑 경기 결과만 딸랑 적어놓는다면 백과사전 적인 가치가 없다고 보고 전부 쳐내야 합니다.--Leedors (토론) 2013년 3월 11일 (월) 10:32 (KST)[답변]
- 그렇게 치자면 1924년 동계 올림픽 컬링 같은 문서도 존속할 가치가 없습니다. 어차피 '서술'이어 봤자 수치로는 나타내지 못하는 경기 내용이나 경기 결과를 재탕하여 써주는 것 뿐이 안됩니다. 경기 결과 전달도 충분히 의미있는 거에요. 중요한 것은 이것이 다른 문서와 합쳐지기엔 뚜렷한 독립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죠.--NuvieK 2013년 3월 11일 (월) 10:37 (KST)[답변]
- '서술'이여도 경기 결과를 재탕하는 것만 적을 수 밖에 없다면 그것도 삭제 되어야 합니다. en:Cycling at the 2008 Summer Olympics – Men's road race 영어판의 알찬 글이긴 하나 백과사전이라면 이 정도로 서술하거나 서술 가능해야 합니다.--Leedors (토론) 2013년 3월 11일 (월) 10:42 (KST)[답변]
- 경기 결과 자체도 그걸로 중요합니다. "목록" 문서도 많이 존재하죠. 서술이 많은 것이 좋은 글이 될수 있을지언정, 서술이 없다고 좋은 정보를 삭제하는 것은 위키백과에 큰 손해입니다.--NuvieK 2013년 3월 11일 (월) 10:45 (KST)[답변]
- 덧붙이자면 "특별히 서술할 가치"가 없는게 아니라 서술이 그냥 없는겁니다. --NuvieK 2013년 3월 11일 (월) 10:46 (KST)[답변]
- '저명성'을 생각하자면 저 문서들은 존치될 수 있겠습니다만, 위키백과:저명성 지침의 영어판인 'notability'를 생각하면 특별히 서술할 것 뿐만이 아니라 서술 자체가 없으면 삭제가 맞는 것으로 보이는데요.--Leedors (토론) 2013년 3월 11일 (월) 10:54 (KST)[답변]
- 문서를 다시 한번 살펴보니 일부 더블헤드 풀리그 방식 리그의 경우 포스트시즌 문서는 남겨둬야 할 독립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네요. 제가 회부한 문서가 한 둘이 아니라 어느 어느 문서는 남겨둬야 한다 정리는 못하겠습니다만 아무튼 독립성을 고려해 남겨둬야 할 문서는 남기도록 하겠습니다.--Leedors (토론) 2013년 3월 11일 (월) 11:07 (KST)[답변]
- "XX 리그는 XX년 XX월 XX일부터 OO년 OO월 OO일까지 진행된 XX다" 정도의 도입 서술만 있어도 충분하고, 이는 추가가 굉장히 쉽습니다. 이런 서술이 없다고 이런 좋은 자료들을 다 삭제해야 하는 건 굉장한 손해라고 생각됩니다. 저명성에 위배되지도 않는데도요.--NuvieK 2013년 3월 11일 (월) 11:19 (KST)[답변]
- 좋은 자료라고 해서 다 넣을 수 있는 건 아닙니다. (백:오해) 중요한 건 'notability' '독립성'입니다. (notability의 번역어를 '독립성'으로 두는 것도 좋겠네요.)--Leedors (토론) 2013년 3월 11일 (월) 11:26 (KST)[답변]
- 경기 결과는 과도하게 지엽적이지도 않고 명백하게 중요한 자료들입니다. 백:아님에 해당되려면 해당 경기의 마우스 클릭수, 죽은 유닛 수 등 같은 수치를 말합니다. 또한 Notability에 어긋나는 내용도 없구요.--NuvieK 2013년 3월 11일 (월) 12:17 (KST)[답변]
의견을 내기 이전에 토론 대상을 명확해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지금 토론하고 있는 것이
- Round별 문서
- 더블헤더 풀리그의 포스트시즌을 제외한 나머지 포스트시즌, 결승전 문서
이 정도인게 맞나요?--Leedors (토론) 2013년 3월 11일 (월) 12:38 (KST)[답변]
- 저는 전부 다 유지해야한다는 입장입니다.--NuvieK 2013년 3월 11일 (월) 12:41 (KST)[답변]
Nuviek님은 지금 EPL과 비교를 해서 이 문서들을 남겨두어야 한다고 하셨는데 EPL과 비교를 할 게 아니라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만의 특수성, 특필/독립성을 증명하셔야 합니다. 다른 분야를 가지고 공평성을 주장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 논리라는 건 Nuviek님도 잘 아시지 않나요?--Leedors (토론) 2013년 3월 11일 (월) 12:43 (KST)[답변]
경기 결과는 일단 중요하긴 합니다만, 짧다면 가능한 한 문서에서 서술하는 것이 좋습니다.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 1 결승전 문서를 봐주세요. 이렇게 짧막하게 따로 나눌 바에야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에 한꺼번에 설명해 독자들이 이것 저것 눌러보지 않고 보게 해주어 불편함을 덜게 할 수 있습니다.--Leedors (토론) 2013년 3월 11일 (월) 12:46 (KST)[답변]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역대 순위는 이미 각 프로리그 문서에 서술되어 있습니다. 따로 중복시켜 서술해 놓을 필요가 없습니다. 역대 프로리그 결승전, 역대 프로리그 포스트시즌도 마찬가지 입니다. 제가 지금 역대 스타리그 목록을 작성하고 있는데 마찬가지로 역대 프로리그 목록 문서에 병합해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올림픽, 월드컵의 경기 목록의 경우 그 경기 하나하나가 우승으로 가는 과정에서 주요하기 때문에 따로 문서를 두서 서술 할 수 있습니다. 토너먼즈 제의 경우 32강, 16강, 8강 등 하위 라운도도 역시 한 경기마다 주목할 가치가 있기에 그럴수가 있습니다. 포스트시즌이나, 결승전도 우승에 가깝고 한 경기의 승패에 따라 희비가 갈릴 수 있는 중요하고, 주요하고, 독립성이 있고 특별히 서술할 가치가 있으나 그 밑의 하위 라운드의 경우 그렇지가 않습니다.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의 경우 하위 라운드만 총 경기가 35 ~ 60경기 이고 프로 야구는 제가 알기론 120 경기입니다. 이 경기들 모두 한 경기 한 경기씩만 봤을 때 주목할 필요가 없는 경기들입니다. 따라서 경기 결과들도 일일히 적어줄 필요가 없습니다. 라운드가 끝나고 정리되는 순위는 중요할 수 있겠습니다.--Leedors (토론) 2013년 3월 11일 (월) 13:01 (KST)[답변]
- en:2011 San Francisco Giants season를 봐주세요. 야구에서 한 경기씩 숨김처리로나마 적어주었습니다. 대부분 스포츠 시즌 문서가 그러하니 독립할 가치가 있는 것은 반론할 여지가 없구요. 저는 여기서 프로리그의 특수성을 전혀 모르겠네요. 그걸 증명해주셔야 하는 분은 삭제를 주장하시는 분 아닐까요?--NuvieK 2013년 3월 11일 (월) 14:59 (KST)[답변]
- 또한 결승전은 영어판에서 Final로 끝나는 문서만 찾아도 수두룩 합니다.--NuvieK 2013년 3월 11일 (월) 15:00 (KST)[답변]
- 경기 결과를 남겨놓는 것에 대해서는 더 이상 반박할 말은 없지만 경기 결과의 세부 내용은 자르고 본래 시즌 문서에 넣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en:2011 San Francisco Giants season를 예로 드셨으니 이대로 하
자는 게 어떤가 합니다.
- 결승전 문서는 이미 현재의 문서가 짧막하다는 이유로 (그리고 독립성이 없다는 말도 덧붙이겠습니다) 본래 시즌 문서에 넣어두는 것이 좋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쓸 내용이 있다면 유지 의견으로 선회한다는 의미입니다.--Leedors (토론) 2013년 3월 12일 (화) 00:40 (KST)[답변]
상위 3개 문서 삭제 상위 3개 문서 삭제 후 '포스트시즌'과 '결승전' 결과는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문서로 옮겨 놓는 게 나을 것 같고, 프로리그 역대 순위 문서는 각 프로리그 문서에 기록 되어 있으므로 완전히 삭제하는 게 더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Wnldhelaos (토론) 2013년 3월 11일 (월) 22:10 (KST)[답변]
- 토론 결과에 따라 상위 3개 문서는 삭제하였습니다. 나머지에 대해서는 의견을 좀 더 청취한 뒤에, 큰 이견이 없으면
개정으로 마무리 하겠습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 2013년 3월 15일 (금) 17:35 (KST)[답변]
사용자토론:NuvieK#프로리그에 토론이 이어지고 있으니 참조해주세요.--Leedors (토론) 2013년 3월 16일 (토) 11:02 (KST)[답변]
※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