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국립국어원이 시안으로 만든 튀르키예어 표기법으로, 아직 공식적으로 확정되지는 않았습니다
|
자모 |
한글 |
보기
|
모음 앞 |
자음 앞 · 어말
|
자음
|
b |
ㅂ |
브, (ㅂ)* |
Bodrum 보드룸, Trabzon 트라브존, murabba 무랍바
|
c |
ㅈ |
즈, (ㅅ) |
Cep 젭, Necdet 네즈데트, seccade 셋자데
|
ç[2] |
ㅊ |
츠, (ㅅ) |
Çorum 초룸, Koç 코츠, pabuççu 파붓추
|
d |
ㄷ |
드, (ㅅ) |
Denizli 데니즐리, Adnan 아드난, madde 맛데
|
f |
ㅍ |
프, (ㅂ) |
fotoğraf 포토으라프, köfte 쾨프테, Afyon 아프욘, teneffüs 테넵퓌스
|
g |
ㄱ |
그 |
Gelibolu 겔리볼루, Bingöl 빈괼, grafik 그라피크
|
ğ[3] |
– |
으 |
Esenboğa 에센보아, Ağrı 아으르, Elazığ 엘라즈으
|
h |
ㅎ |
흐 |
Haran 하란, teehhür 테에휘르, sahra 사흐라, Kütahya 퀴타흐야, sabah 사바흐
|
j |
ㅈ |
즈 |
Japon 자폰, müjde 뮈즈데, garaj 가라즈
|
k |
ㅋ |
크, (ㄱ) |
Kore 코레, Antakya 안타크야, Türk 튀르크, Aksaray 악사라이, Çanakkale 차낙칼레
|
l |
ㄹ, ㄹㄹ |
ㄹ |
Lira 리라, gerilla 게릴라, sandalye 산달예, Camal 자말
|
m |
ㅁ |
ㅁ |
Marmara 마르마라, emmek 엠메크, yemyeşil 옘예실, Erzurum 에르주룸
|
n |
ㄴ |
ㄴ |
Nazilli 나질리, Tefennni 테펜니, Konya 콘야, Nisan 니산
|
p |
ㅍ |
프, (ㅂ) |
Pendik 펜디크, Uzunköprü 우준쾨프뤼, yepyeni 예프예니, Sinop 시노프, İpsala 입살라, züppe 쥡페
|
r |
ㄹ |
르 |
Rumeli 루멜리, Türk 튀르크, Sakarya 사카르야, Burdur 부르두르, zürriyet 쥐리예트
|
s |
ㅅ |
스, (ㅅ) |
Sivas 시와스, İstanbul 이스탄불, Amasya 아마스야, Kars 카르스, mufassal 무팟살
|
ş[4] |
시** |
쉬 |
Şura 슈라, şişman 시쉬만, taşyağı 타쉬야으, Muş 무쉬, Karşıyaka 카르시으야카
|
t |
ㅌ |
트, (ㅅ) |
Tarsus 타르수스, Trabzon 트라브존, Malatya 말라트야, Ecevit 에제위트, mutfak 뭇파크, Necmettin 네즈멧틴
|
v |
우**, ㅂ |
브, (ㅂ) |
Van 완, Siverek 시웨레크, Artvin 아르트빈, Evren 에브렌, Simav 시마브, kuvve 쿱베
|
z |
ㅈ |
즈, (ㅅ) |
Zonguldak 존굴다크, tazyik 타즈이크, Banaz 바나즈, lezzet 렛제트
|
반모음
|
y |
이** |
Asya 아스야, Yozgat 요즈가트, Afyon 아프욘, Konya 콘야, Yılmaz 이을마즈
|
모음
|
a |
아 |
Adana 아다나, bozcaada 보즈자아다
|
e |
에 |
Ecevit 에제위트, teehhür 테에휘르
|
ı |
으 |
Irak 으라크[5], Çankırı 찬크르, Işıklı 으시으클르, Yılmaz 이을마즈
|
i |
이 |
İstanbul 이스탄불, Denizli 데니즐리, Siirt 시이르트
|
o |
오 |
Osman 오스만, Toperi 토페리
|
ö |
외 |
Ören 외렌, Bingöl 빈괼
|
u |
우 |
Urfa 우르파, Ordu 오르두
|
ü |
위 |
Üsküdar 위스퀴다르, Üzümlü 위쥠뤼
|
* ( )는 표기 세칙 제1항을 따라 적는다.
** ş, v, y의 '시, 우, 이'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음절로 적는다.
표 21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 제1항: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 첫 자음은 앞 음절의 받침으로 적는다. 다만, hh, ll, rr는 겹치지 않는 경우와 같이 적는다.
<보기> |
Çanakkale 차낙칼레 |
hüccet 휫제트
|
lezzet 렛제트 |
Necmettin 네즈멧틴
|
cerrah 제라흐 |
Çiller 칠레르
|
- 어말과 유성 자음 앞, 반모음 앞에서는 '으'를 붙여 적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받침으로 적는다.
<보기> |
Gaziantep 가지안테프 |
Pamuk 파무크
|
Patnos 파트노스 |
Uzunköprü 우준쾨프뤼
|
Akyazı 아크야즈 |
Malatya 말라트야
|
Topkapı 톱카프 |
Datça 닷차
|
- 1) 모음 앞에서는 '우'로 적되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와, 웨, 위' 등으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이 ı이면 합쳐 적지 아니한다. 다만, 앞에 자음이 있을 때에는 'ㅂ'으로 적는다.
<보기> |
Siverek 시웨레크 |
Ecevit 에제위트
|
Van 완 |
vıcık 우으즈크
|
Tatvan 타트반 |
Ağva 아으바
|
- 2) 어말과 자음 앞, 반모음 앞에서는 '브'로 적되, -vv-의 경우는 표기 세칙 제1항을 따른다.
<보기> |
Simav 시마브 |
Nevşehir 네브셰히르
|
havyar 하브야르 |
tasavvyr 타삽부르
|
- 어말과 자음 앞, 반모음 앞에서는 받침 'ㄹ'로 적고, 어중에서 모음 앞에 올 때는 'ㄹㄹ'로 적는다. 다만, 비음 뒤의 l은 모음 앞에서 'ㄹ'로 적는다.
<보기> |
Demirel 데미렐 |
Dolmabahçe 돌마바흐체
|
Antalya 안탈야 |
Öcalan 외잘란[7]
|
Bitlis 비틀리스 |
Erdemli 에르뎀리
|
- şı는 '시으'로 적고, yı는 '이으'로 적는다.
<보기> |
Işıklı 으시으클르 |
Kıyıköy 크이으쾨이
|
각주
- ↑ '개정판 바른 말글 사전'(한겨레출판, 2007, ISBN 9788984312388), 829~830쪽
- ↑ 원본(책)에는 c로 잘못 나와 있음.
- ↑ 원본에는 g로 잘못 나와 있음.
- ↑ 원본에는 s로 잘못 나와 있음.
- ↑ 원본에는 '아르크'로 잘못 나와 있음.
- ↑ 같은 책, 856~857쪽
- ↑ 원본에는 '와잘란'으로 잘못 나와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