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학교 문서를 편집하는 중에 있습니다. 편집지침에 맞지 않아 초반에 정리가 필요한 문서에 포함되었는데 편집지침에 맞게 수정하였고 위키프로젝트 대학에서 알찬글에 해당하는 대학들의 문서를 참고하여 편집 지침에 맞게 편집하였습니다. 정리가 필요한 문서에서 배제하려면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하는지요? 당시 편집지침에 맞지 않다고 하면서 인신공격적으로 수정을 하던 그 사용자 지금은 정지 먹었더군요..--Pioneerhj (토론) 2010년 9월 2일 (목) 01:16 (KST)답변
안녕하세요.
이번에 '김중섭'이라는 인물을 새로 등록했는데요.
편집하는 방법을 전혀 몰라서 그대로 올렸더니 삭제토론에서 수정이 필요하다고 하셔서요.
저도 수정을 하고 싶지만 길라잡이를 봐도 도무지 알 수가 없어서 이렇게 도움을 요청합니다.
혹시 대신 편집 해 주실분 안계신가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제 메일 주소는 1jin217@hanmail.net 입니다. 연락 부탁드립니다.
--1jin (토론) 2010년 9월 2일 (목) 16:33 (KST)답변
위키백과에는 틀이라는 개념이 있어서, 다른 내용을 문서에 복사하지 않고 그대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이용해서 사용자들이 편집에 편리하도록 표를 틀로 만들어 놓습니다. 여기에 내용을 넣어서, 위키백과의 기본적인 표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 알록달록한[...] 정보창을 만들 수 있습니다. --Hijin6908(말마당 ·한 일) 2010년 9월 4일 (토) 18:56 (KST)답변
제가 미디어위키를 개인 홈피에 설치해서 제가 속한 학교의 역사에 관한 위키를 만들려고 하는데요.
위키백과에 나와있는 틀 관련 도움말과 실제 사용되고 있는 틀들의 코드를 모두 참고하여 틀문서를 만들어봤는데 아무리 해도 작동이 되질 않네요.
틀 만들때의 코드만 나오고 여기 사용되는 틀처럼 표로 나타나질 않아요.
(테스트를 위해 틀에 정보를 입력해서 견본 틀을 하나 만들어봤는데 입력한 정보는 안 나타나고 틀 항목만 나오는 경우도 있어요.)
뭔가 설정이 잘못된건가요? 아니면 틀 코드를 빠트리거나 잘 못 입력한건가요? 도와주세요!--147.46.91.246 (토론) 2010년 9월 6일 (월) 15:30 (KST)답변
책만들기 기능에 문제가 있습니다
책 목록 추가하고 PDF파일 생성을 하고 다운을 받으면 색임(인덱스) 부분의 쪽수 표시가 가로로 적혀있어야 하는데 세로로 적혀있어서 숫자들이 전부 겹칩니다 그리고 분량이 많으면 색인이 중복해서 abcdef에 관한 내용울 책을 만들었으면 색인에는 abcdabcdef이렇게 중복해서 나옵니다
질문 첫째는 이러한 상황에 어떻게 대처해야지 정상적인 결과를 얻을 수있는지
둘째는 버그신고 혹은 문의는 정확히 어디서 어떠한 방법으로 해야합니까입니다--Dmc31a42 (토론) 2010년 9월 7일 (화) 04:06 (KST)답변
일반적으로 생명체에 대한 문서는 학명도 넘겨주기 하나요? 생물 쪽에는 편집을 잘 안 해봐서 잘 모르겠네요. 몇 가지 예를 찾아봤지만 학명이 넘겨주기된 예는 찾지 못했고, 그렇다고 학명은 넘겨주기 안 한다는 말은 들은 적은 없는 것 같고...; -- Min's (토론) 2010년 9월 7일 (화) 11:11 (KST)답변
WARNING: Article could not be rendered - ouputting plain text. 이런 오류가 나면서 문서가 비정상적으로 만들어집니다. 문서를 문법 오류가 없게 수정을 해야지 고쳐지겠나요?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려주세요 --Dmc31a42 (토론) 2010년 9월 8일 (수) 01:10 (KST)답변
HTML <img> 엘리먼트의 alt 속성에 해당합니다. 대상 (그림) 파일이 사용 불가능할 때, 그 파일을 대체할 수 있는 문구, 이를테면 사진의 경우, 사진의 피사체에 대한 묘사 같은 것을 입력하기 위한 속성입니다. 스위스의 국기를 예로 들면, 대충 이렇게 사용합니다.
정확한 라이선스명을 밝히지 않더라도 미니홈피에서 사진의 저작권자가 해당 사진이 1. 비영리적 뿐만 아니라 영리적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2. 자유롭게 수정과 배포가 가능하며, 3. 출판, 방송, 공연 등에서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다고 밝힌 것이라면 가능합니다. 물론 위키백과에 올리실 때는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고요. -- Min's (토론) 2010년 9월 13일 (월) 19:21 (KST)답변
아주 긴 글 때문에 스크롤을 많이 내려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습니다.익스플로워8.0인데도 어떤 긴글 문서를 보면 익스플로워가 멈추는 현상이 생깁니다..감추기 기능을 해서라도 스크롤 압박을 줄여 주었으면 좋겠습니다.어떻게 생각하십니까?--정인우 (토론) 2010년 9월 14일 (화) 11:01 (KST)답변
'본문' 같은 경우에는 '아래의 내용은 다음 문서에서 가져와 요약한 내용이니 자세한 내용은 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이고('이 부분'이라는 말은 결국 부분적인 내용이라도 있다는 말이니까요), '참고'는 '일일히 설명하기 귀찮으니 이 문서를 읽어보십시오'이니 '참고'가 맞는 것 같습니다만...뭐 결국은 편집자 재량의 안내 문구지 정해진 용법이 있지는 않겠네요. --Hijin6908(말마당 ·한 일) 2010년 9월 15일 (수) 16:06 (KST)답변
위키백과는 가입시 개인 정보를 받지 않기 때문에, 본인이 스스로 밝히지 않는 이상 사용자의 나이를 알 방법이 없습니다. (설령 나이를 밝힌다 하더라도 그것이 정확한 나이인지 검증할 방법 또한 없습니다.) 따라서, '연령'에 대해서는 딱히 제한이 없습니다. --BIGRULE (토론) 2010년 9월 15일 (수) 23:33 (KST)답변
이런 이유에서도 가능합니다. 지금의 중화민국이야 대만만 통치하니 가능합니다만, 중화민국 정부가 중국 본토에서 쫓겨나기 이전엔 중화민국이 중국과 대만 모두 다스렸기에 그런 역사적 이유에 입각해서 만들었을수도 있죠. -- 윤성현論 · 기여 · F.A.2010년 9월 18일 (토) 10:48 (KST)답변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시겠어요? 틀:서태지는 서태지에 관련된 문서들을 찾아보기 쉽게 만든 안내 틀입니다. 이러한 틀은 보통 분류가 '~ 틀' 식으로 각각의 분야에 들어가게 됩니다. 그리고 보통 이러한 안내 틀이 들어갈 정도로 관련 문서가 많은 문서는 따로 분류를 만들게 됩니다. --Hijin6908(말마당 ·한 일) 2010년 9월 17일 (금) 20:00 (KST)답변
그림을 막 올리면 그 그림 삭제하고 차단하면 됩니다. 음란하다는 이유로만 해서 지울 수는 없습니다. 그 그림을 보는 것은 오로지 독자의 몫이고 그런 그림을 보기 싫다면 애시당초 그 독자가 검색하거나 링크를 클릭하지 않으면 됩니다. -- 윤성현論 · 기여 · F.A.2010년 9월 18일 (토) 10:54 (KST)답변
대개 위키백과에서 "살아남고 있는" 사진들은 백과사전의 본래의 목적을 가진 것이 대부분이며, 사진을 "음란하다"고 판단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목적성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고 자의적으로 음란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어떠한 다른 본인의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네요. - 츄군 (토론) 2010년 9월 18일 (토) 11:01 (KST)답변
아마 대한민국 정부가 저 사진을 삭제하려면 미국에 민사소송을 내던지, 한국에서 접속하는 IP를 차단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저는 사전적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사진에 '음란하다'라는 생각을 하시는 것 자체가 좀 이상하다고 생각됩니다. --Erio-h (토론) 2010년 9월 18일 (토) 12:12 (KST)답변
사실 해당 그림들이 '음란하다'의 여부를 따지기 이전에 해당 그림들을 보고 정신적인 충격을 받는 사람 (아동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성인 중에도 그러한 사람이 있을 수 있습니다.)이 존재한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BIGRULE (토론) 2010년 9월 21일 (화) 14:00 (KST)답변
가령 사회적으로 논란이 있는 유명인이 위키백과에 와서 가입하고 활동할 경우 그 사용자에 대한 어떠한 압력이 지속적으로 있을 시 범위키백과적(?)이나 관리자 분들이 어떻게 대처해야 알지 알고 싶습니다. 가령 예를 들어 이명박씨가 위키백과에 와서 가입하고 활동하고 있는게 언론에 알려질 경우 그 사용자토론 페이지에 어떤 내용의 글들이 오갈진 대충 감이 잡히실 껍니다.
I am nominating this featured article for review because I feel it is lacking in 1b and 1c. The reception section does not cover the final season and needs to be expanded, and there are numerous unsourced claims throughout the article. The Music section is mainly dedicated to listing popular songs that have been used, even though the TV Project's MOS list it as something to avoid. The only context presented for the music is original research. The article was promoted in 2006, and has not been reviewed since
(이 글 재심사했으면 하네요, 왜냐하면 1b, 1c항을 안지킨 것 같아서요.(1b=comprehensive, 1c=well-researched) reception 섹션은 시즌6에 관한 내용이 없고 더 내용 추가해야하고 글 전반적인 내용에 걸쳐서 출처가 없다는 클레임이 있네요. Music 섹션은 비록 이것들을 TV프로젝트 월간 계획에도 이것들을 한다는 계획이 없었지만 주로 이전에 쓴적이 있는 유명곡들에만 치우쳐져있네요. 음악에 대한 유일한 문단은 초판이네요. 2006년에 리뉴얼 되었고 지금까지 한번도 업데이트 안됐습니다.(Music~끝까지의 내용의 번역은 확실치 않습니다)진실과 환상 (聞きたい) 2010년 9월 18일 (토) 18:23 (KST)답변
이거 사용은 처음이라서 어디다가 이의제기나 수정을 해야될지 모르겠어요.. 실제로 윤동주 시인의 형제는 해환(동주) 해원 광주(남동생) 일주(성균관대 교수) 이렇게 4남매가 전부로 알고있는데.. 7남매라고 되있어서 조금 놀랐어요.. 어디서 수정을 해야될까요?--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Leedonghae1106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본인을 관리자 후보로 추천하여 출마할 수 있습니다. 총 투표인의 75% 이상, 반대표 대비 찬성표 20표 이상 이어야 가능합니다. 즉, 이론적으로 본인이 추천하고 본인이 관리자가 되는 것은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전에 질문한 2가지와 지금의 질문 모두 위키백과:관리자 선거 절차에 기술되어 있습니다. 부분적인 질문의 반복을 조금은 자제 부탁합니다. Irafox (토론) 2010년 9월 19일 (일) 15:00 (KST)답변
그 쪽 인터위키는 일본어판과 중국어판 뿐이지만, 그 틀의 문서를 클릭 했을 경우에는 영어도 있습니다. 참고로, 일본어판에 없는 문서도 있어서 문제가 됩니다.. --가람 (논의) 『One day, one hour』2010년 9월 20일 (월) 00:02 (KST)답변
zh, jp위키의 내용이 다르다는 말인가요? 제 눈에는 같아보이는데... 어쨌든 他魯毎-たるみい(타루미이), 玉城-たまぐすく(타마구수쿠), 西威-せいい (세이이), 承察度-しょうさっと、うふさと (쇼우삿토, 우후사토, 두 개로 읽히나 봅니다.), 怕尼芝-하니시(ja:怕尼芝王統, 汪英紫-오오우에이시 진실과 환상 (聞きたい) 2010년 9월 20일 (월) 00:02 (KST)답변
지금 문서를 편집중인데 <.ref>와 <./ref>를 했는데 <.reference>를 안해서 오류라네요.
<.references>는 무슨 뜻이고 오류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제발 부탁드립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멍멍멍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6]안녕하십니까? 위키백과에 등재된 인물이라는 것은 문서화가 되어 있는 인물을 말하는 겁니까? 예)이승기유인나 등등, 탄생 편집부분에..(이 단락을 편집할 때는 다음을 꼭 지켜주세요. '모든 인물은 위키백과에 등재된 인물이거나,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이어야 합니다.') 이렇게 적혀 있습니다.여기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 이부분을 더 강조해야 하는게 아닌가 생각합니다.이것이 안지켜지면 모든 인물을 다 등록할 꺼 같습니다. 사용자:Kouz02 ← 이 사용자가 계속해서 기여를 하고 있어서 문의하는 겁니다..--정인우 (토론) 2010년 9월 20일 (월) 09:35 (KST)답변
아니요. 분명 "이 문서는 위키백과에 적합하지 않고 다른 자매프로젝트에 적합하므로 그 자매프로젝트로 넘겨주기 합니다"와 같은 비슷한 틀이 있었어요. 전에 사용자:Porori님인가 생성하셨던 거 같은데...거기에서 분류로 들어가 보면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고요.(넘겨주기 문서에 분류를 넣으면 회색으로 표시되는 것과 같이)--Leedors (토론) 2010년 9월 20일 (월) 23:46 (KST)답변
인터위키가 붙어있지 않은 채로 생성된 이후 꽤 시간이 지난 이후에 인터위키를 추가하게 되면 시간이 지나도 타언어판에 한국어 인터위키가 추가되지 않던데, 이러한 경우에는 수동으로 일일이 붙여야 하는지의 여부가 궁금합니다. --BIGRULE (토론) 2010년 9월 21일 (화) 13:52 (KST)답변
어떠한 경우를 말씀하시지요? 왠만해선 다 붙지만, (몇 분 안에도..) 만약 시간이 좀 오래 지나도 붙지 않는다면, (한국어판에 다른 판 인터위키를 붙였다는 가정 하에.) 다른 판에 한국어판 인터위키를 붙여놓으시면 됩니다. --가람 (논의) 『One day, one hour』2010년 9월 21일 (화) 16:26 (KST)답변
책 만들기 기능을 사용하다가 발견한 버그입니다.
'야먀노테선' 문서를 책 만들기에 포함시켜서 여러문서를 하나의 책으로 만들어서 다운로드했지만 파일에 문제가 있었습니다. 제일 앞의 목록(index)에서 야마노테선 항목 이후로의 항목이 처음부터 다시 시작합니다.
예시( [] 안은 '새로운 장 생성하기'로 만들어진 제목입니다 각 줄은 각 문서의 이름,항목입니다)
문서의 내용이 길어 숨깁니다.
Contents Articles
[Japan Railway Group]
JR 1
홋카이도 여객철도 4
서일본 여객철도 6
도카이 여객철도 10
동일본 여객철도 14
규슈 여객철도 19
[노선]
신칸센 21
도카이도 신칸센 23
산요 신칸센 25
도호쿠 신칸센 29
도카이도 본선 30
야마노테 선 33 Articles
[Japan Railway Group]
JR 1
홋카이도 여객철도 4
서일본 여객철도 6
도카이 여객철도 10
동일본 여객철도 14
규슈 여객철도 19
[노선]
신칸센 21
도카이도 신칸센 23
산요 신칸센 25
도호쿠 신칸센 29
도카이도 본선 30
야마노테 선 33
게이힌 도호쿠 선 37
주오 본선 45
주오 쾌속선 49
소부 본선 53
소부.주오 쾌속선 57
[차량]
신칸센 0계 전동차 63
신칸센 10계 전동차 68
신칸센 200계 전동차 71
신칸센 300계 전동차 75
신칸센 500계 전동차 79
신칸센 700계 전동차 81
신칸센 N700계 전동차 85
이렇게 목록에도 이상을 줄 뿐 만이 아니라 본문 내용에도 문제를 발생시킵니다.
예시
문서의 내용이 길어 숨깁니다.
야마노테 선
WARNING: Article could not be rendered - ouputting plain text.
Potential causes of the problem are: (a) a bug in the pdf-writer software (b) problematic Mediawiki markup (c) table is too wide
이렇게 나옵니다. 이외에도 이와같은 이상한내용의 본문을 포함하고있는 문서가 있어서 공통점을 조사해봤습니다. 그리고 야마노테 선 문서를 연습장에다 옮기고 테스트를 해보니 표가 일정 크기 이상을 넘어버리면 이런 오류를 발생시키는것이였습니다. 단순히 표 크기가 늘어서 그렇게 된것인지 아니면 표 작성 문법이 문제가 있어서 그런건지 정확히 모르겠습니다만. 표 전체에서 어느부분 아래로 지우면 문서가 정상적으로 나타났습니다.(표가 완전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습니다. 그리고 버그질라에 버그신고를 하면 된다고 도움말에 나와있는데 영어로 되어있고 메뉴도 너무 복잡해서 어떻게 신고를 해야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버그 신고를 하는방법을 자세히 가르쳐주셨으면 합니다.
ps1 - 목차(index)에서 페이지를 나타내는 숫자항목도 가로로 써져 있는것이 아니라 세로로 써져 있어서 숫자들이 겹쳐 보입니다. 이것도 해결방법과 버그 신고 방법을 알려주세요
해당 문서의 역사와 블로그의 생성시각을 보니 해당 블로그의 글이 먼저 생성되었네요. 해당 블로그에서는 특별히 어떠한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문구나 표시는 보이지 않고요. 원칙적으로는 해당 문서는 위키백과와 호환되는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표시가 없는 블로그에서 가져온 내용이니 한국어 위키백과의 저작권 관련 지침에 어긋난 문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일단 해당 블로그 글의 작성자에게 물어봐야할 듯합니다. -- Min's (토론) 2010년 9월 22일 (수) 23:34 (KST)답변
언제부터인지 인터위키를 자동으로 추가해주는 봇이 작동하지 않는가 봅니다. 본래 en만 달아주면 약 10분 간 자동으로 추가해주는 봇이 있었는데, 지금은 한참을 기다려도 오지를 아니합니다. 확인 부탁합니다. Irafox (토론) 2010년 9월 22일 (수) 17:12 (KST)답변
혹시 브라우저 캐시를 비우셨나요? 삭제를 요청하시려면 문관에 요청하시면 될듯 싶습니다만, 그냥 빈 문서로 비워놓으면 사용하시는 백터 스킨에 영향을 주지 않으니 그냥 비워두셔도 될 듯 싶네요:-) -- Min's (토론) 2010년 9월 23일 (목) 20:59 (KST)답변
방금 마이클 도슨 문서를 영어판에서 첫머리만 번역해봤는데 이상한 게 있습니다. 좀 이상한 거 같아서 그냥 제가 알고 있는 사실을 가져다 붙인 게 있는데요. 다음 문장이 바로 그겁니다.
시즌 1 도중 마이클에 대한 대본이 많이 바뀌었는데 권선화와 권진수와의 삼각 관계를 이루게 하려다 팬들의 반응에 따라 취소된 게 그중 하나이다.
그리고 위의 원문이 바로 아래입니다.
Much of the first season arc for Michael was rewritten; he was originally going to be part of a love triangle with Korean couple Sun (Yunjin Kim) and Jin (Daniel Dae Kim), but positive fan reaction to the couple meant this storyline was dropped. 주 : 번역 도중 담당 배우 이름은 생략하였음
굵은 표시를 보면 제가 직역해봤을땐
하지만 긍정적인 (로스트)의 팬들의 이 커플에 대한 반응은 이 스토리라인이 drop되었다는 걸 의미했다
2010년 1월 24일 (일) 13:58 Park4223 (토론 | 기여) 사용자가 한국소아당뇨인협회 문서를 삭제하였습니다. (광고/홍보: 내용: ‘{{ㅅ|광고}} 한국소아당뇨인협회(소당협) -Korean Insulin Dependent Diabetes Association- (K I D D A) 흔히 이야기 하는 소아당뇨(1형당뇨) 환자들이 설립한 자조단체이다.)
이게 광고글이라고 하셨는데 광고 글이 아니고 자조단체에 대한 설명이고 보건복지부 산하 기관이고 판매하거나 상품적인 글이 아닙니다. 복구 해 주세요.--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Yongpilcho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장난 및 불필요 문서의 경우, 발견한 사용자가 삭제 신청 틀을 달며, 작성자에게 알리는 것이 지침입니다. (반드시 알릴 의무는 없습니다.) 뭐, 일본어판에서는 삭제 토론 조차도 알리지 않긴 합니다만.. --가람 (논의) 『One day, one hour』2010년 9월 25일 (토) 20:02 (KST)답변
삭제 전문 관리자는 없습니다. 위키미디어 산하 프로젝트들의 관리자는 위키미디어 재단의 피용자 아닙니다. 관리자는 모두 동등한 조건에서 여러가지 권한만 추가로 부여받아 가지는 사용자일 뿐입니다. 결론으로 관리자에게 그러한 의무를 부과하는 것이 성립될 수는 없습니다. Irafox (토론) 2010년 9월 25일 (토) 20:07 (KST)답변
삭제 통보를 하는 것은 좋으나, 그것은 순전히 관리자 개인들의 자율에 맡겨야 합니다. 위키백과:관리자를 참고하면, "관리자는 다른 사용자보다 약간의 권한을 가지고 있는 것일 뿐, 다른 사용자보다 특별한 "권위"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관리자는 위키백과의 일반적인 사용자와 평등한 위치에 있으며, 위키백과를 대표하지 않으며 운영하지도 않습니다. 관리자는 위키미디어 재단의 피용자도 아닙니다. 위키백과 및 관련 프로젝트를 책임하에 운영하는 주체는 위키미디어 재단입니다." 고로, 공적인 '책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공인이 아니므로, 의무는 부과될 수 없으며 그렇게 되지 않습니다. Irafox (토론) 2010년 9월 25일 (토) 20:16 (KST)답변
저는 아무리 봐도 한국어판 위키백과가 이렇게 이상하게 관리되는거 제가 처음 알았습니다. 영문판 위키백과는 삭제 신청 알림을 의무화 합니다. 방금 제가 en:Mana Ogawa를 영문판 위키백과에 새로 만들었습니다. 10분 안에 곧바로 영문판 관리자가 제 영문판 내 사용자 토론에 삭제 신청된 것을 알려 주었습니다. Komitsuki (토론) 2010년 9월 25일 (토) 20:53 (KST)답변
아직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삭제 신청 알림이 정책화 된게 아닙니다. 하지만 삭제토론 같은 경우, 일단 토론이 열리면 그 기여자에게 알려주는 게 의무화 되어 있습니다.(백:삭제 토론) 이 점에서 볼 때 삭제신청 알림을 어느 정도 정책화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이 부분은 백토:삭제 정책에서 토론을 해보는 게 좋겠습니다. 근거가 적절하다면 총의로 반영할 수 있습니다.--어쏭(소통의 공간) "11 P.M Sleep, 6 A.M Wake up"2010년 9월 25일 (토) 21:02 (KST)답변
영어 위키백과에서도 삭제 신청 알림이 의무화되어있지는 않습니다. 또한, 영어판에서 Komitsuki님께 삭제 신청을 알린 사용자는 관리자가 아닙니다. 한국어판에서는 위키백과:삭제 정책에서 알림을 권장(“삭제 신청 후에 {{삭제 신청 알림}} 등을 통해 작성자에게 삭제 사실 및 그 이유에 관해 알려주시길 바랍니다.”)하고는 있지만, 이 역시 의무는 아닙니다. 의무화하기에 적절하지도 않고요. - IRTC1015 (토론) 2010년 9월 25일 (토) 21:14 (KST)답변
제 생각에는 Komitsuki님은 한국어권 분이 아니라 "고용"이라는 단어에 대해서 native 한국인이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알지 못하시는 듯 합니다. 관리인을 고용한다라기 보다는 관리자를 더 뽑는다라는 말을 쓰시길 권장해드립니다.--Leedors (토론) 2010년 9월 25일 (토) 21:10 (KST)답변
Komitsuki님께: 영어판의 Article for Deletion은 한국어판의 삭제 신청이 아니라, 삭제 토론을 의미합니다.(삭제 신청은 speedy deletion입니다) 이미 위에서 어쏭님이 말씀하신 대로, 삭제 토론은 주 편집자에게 알려주는 것이 의무로 되어 있습니다. --더위먹은민츠(발자취) 2010년 9월 25일 (토) 21:13 (KST)답변
대게는 다중 계정을 가지고 장난을 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다른 사용자인 사용자:Klutzy님이 있습니다. 그런데 알파벳 K와 유사한 그리스 문자 Κ를 사용한 사용자:Κlutzy라는 사칭 계정을 만들었을 때 원래 'Klutzy'님의 지금까지 위키백과에 공한한 것들(?)을 나쁘게 생각하게 만들려고 막 문서 훼손을 저질른다면 헷갈려서 두 사용자를 동일한 사용자로 착각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유사해도 고의적이지만 않으면 됩니다. 실제로 대한민국 성씨의 대부분을 사용하는 김, 이, 박의 경우 사용자:Kim....이나 사용자:Park... 으로 시작하는 계정이 많습니다. 실제로 위키백과에서도 사용자:Park4223, 사용자:Park6354, 사용자:Park4624님이 있었는데 Park6354님은 이름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자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저는 사용자 사칭 방지용 계정을 만드는 것을 별로 권하지 않습니다. 제 아이디에서 B를 Β나 В, A를 Α나 А로 등등 사칭 계정을 만드려는 사용자가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User:Bart0278(talk · cont.)2010년 9월 26일 (일) 16:47 (KST)답변
우연인 경우도 대게 있으나, 대부분 '고의'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로는 사용자:John S..를 들 수 있습니다. (아직까지 사칭을 하는 등의 행동을 합니다.) --가람 (논의) 『One day, one hour』2010년 9월 26일 (일) 16:50 (KST)답변
아시다시피 위키백과는 어느 언어판이든 비상업, 비영리를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어서 각 문서별 광고 등 상업적행위는 엄격히 금지되고 있지요. 만약 이 위키백과의 운영지침을 깨고 상업화하여 각 문서마다 광고를 한다든가 누리꾼으로 부터 일정한 돈을 받고 각 문서에 광고성 문서작성을 허용하면 몇가지의 어떠한 문제점들이 발생할까요?--Excelruler (토론) 2010년 9월 26일 (일) 16:21 (KST)답변
예전에 오프라인 모임에서 광고에 대해 건의하셨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광고를 통해 생기는 문제점에 앞서 한국어 위키백과에 광고를 통해 우리 프로젝트의 서버 운영 비용 등에 도움을 주자는 취지는 이해합니다만, 한국어 위키백과 사용자들끼리 모여서 광고를 넣어 수익을 만들자라고 하더라도 아직까지는 수익 관리를 누가하고 누가 광고를 담당하는지부터가 애매합니다. 모두가 위키백과 '사용자'일 뿐이거든요. 위키백과는 백과사전을 위한 공간이니만큼 광고는 광고를 위한 공간을 이용하거나 정 위키시스템을 이용하여 광고를 하고 싶다면 위키아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던가, 직접 미디어위키를 이용하여 위키 사이트를 운영하던지 해야하겠죠. 광고로 인한 실질적인 문제점에 대해서는 예전에 Excelruler 님께서 참석하신 오프라인 모임 후기 부분에 다른 사용자 분들이 의견을 준 것(후기에서 의견을 준 것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도 그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 Min's (토론) 2010년 9월 27일 (월) 01:11 (KST)답변
이것도 역시 예전에 오프라인 모임 현장과 오프라인 모임 후기에서 Excelruler 님께서 건의하시고 다른 분들과 의견을 나누셨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당시에서 논의되었던 것과 같이 각 국가의 입장에서의 POV가 문제가 되겠죠. 즉, 우선 중립적 시각에서 어긋나고, 중립적 시각과 관련하여 충돌이 없는 과학 이론 등의 문서에서는 같은 언어인데 각 나라별로 운영하는 것은 같은 언어임에도 별도로 생성해야하는 문제도 있고요. 국가별 위키백과 운영에 대해서는 과거에서도 없었고, 현재도 논의되지 않고, 미래에 할 예정도 없으니 어떻게 될지 걱정할 필요는 없을 듯 합니다. -- Min's (토론) 2010년 9월 27일 (월) 01:17 (KST)답변
인도, 벨기에, 스위스와 같은 다언어 사용 국가의 경우에는 어떤 언어로 만들 것인가가 문제가 될 수 있겠고, 에스페란토, 볼라퓌크와 같은 인공어나 라틴어와 같은 옛 언어의 경우 사용하는 국가가 없기 때문에 지식을 정리할 기회가 없어지는 문제가 생기겠군요. --더위먹은민츠(발자취) 2010년 9월 27일 (월) 22:27 (KST)답변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말하는 총의의 기준은 보통 몇명인가요? 답변 부탁합니다. 명확한 기준이라고 볼 수 없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인정할 수 있는 부분으로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어쏭(소통의 공간) "11 P.M Sleep, 6 A.M Wake up"2010년 9월 30일 (목) 01:16 (KST)답변
틀;최근 바뀜 에서 → "위키낱말사전,위키책,위키인용집,위키문헌" 이런 문서(?)는 어떻게 구현 되었나요?
'위키게임' 또는 '위키놀이' ← 틀;최근 바뀜 부분에 추가해서 게임(모든 분야)을 다루는 곳도 있으면 좋겠습니다.(독자연구및 게임공략을 자유롭게 적는 곳) 게임(놀이) 관한 문서들을 위키책으로 가는 것은 부적절해서 이런 질문을 드려봅니다.--정인우 (토론) 2010년 9월 30일 (목) 11:14 (KST)답변
위키낱말사전 같은 곳은 위키미디어 재단이 운영하는 프로젝트입니다. '구현' 된게 아니라 위키백과와 동등한 위치에 있는 프로젝트입니다. 위키낱말사전은 전 세계의 언어를 다루는 낱말사전을, 위키뉴스는 오마이뉴스 같은 곳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물론 비영리입니다만. 한국어 권에서는 아직 위키백과 말고 잘 알려진 프로젝트가 없어서 사람들은 잘 모릅니다. 따라사 위키게임이나 위키놀이 같은 프로젝트는 없으므로 추가할 수 없습니다. --User:Bart0278(talk · cont.)2010년 9월 30일 (목) 16:29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