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아직 초보라서 사진을 올리는법은 잘 모르거든요.
주로 다루고 있는 문서는 2011태풍 입니다. 그중에 편집할때 위성화상사진을 올리고 싶습니다.
방법좀 알려주세요! -- 이 의견을 2011년 10월 2일 (일) 10:23에 작성한 사용자는 쌍화탕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이부키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우선 해당 태풍의 위성 화상 사진이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파일은 위키공용의 태풍 관련 카테고리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2011년 태풍 같은 문서에서는 틀:태풍 정보를 사용하여 태풍의 정보와 위성 화상을 보여주고 있는데 |위성화상 = 옆에 위키공용에서 찾은 파일의 이름을 그대로 입력해주면 그림이 나옵니다. 2011년 제19호 태풍 날개의 경우에는 파일의 이름이 2011_Nalgae.jpg 입니다. 표 없이 위성 화상만을 올리고 싶으실 때는 위키백과:그림 사용하기 문서를 참조해주세요. --이부키 (토론) 2011년 10월 2일 (일) 10:46 (KST)답변
첫 번째 항목은 해 보셨겠지만, 역사란에서 '편집 취소' 버튼을 누르면 '편집 요약'에 표시되는 것입니다. 위키백과:이전 버전으로 되돌리기에서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2번째와 3번째는 위키백과:되돌리기 기능입니다. 2번째는 '되돌리기 기능' 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되돌리기' 버튼을 눌렀을 때 나오는 것입니다. 특히 3번째는 위키백과:관리자 요청/2011년 8월#Gadget 추가 요청에서 Devunt님이 요청해 주심에 따라 생긴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되돌리기' 버튼을 눌렀을 경우에는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적을 수가 없습니다만, '되돌리기 (+편집 요약)' 버튼을 누르면 가능합니다. 이 때 '...의 편집을 전부 되돌림' 뒤에 하고 싶은 말이 표시됩니다. :) --SVN—【Ta.】【Con.】2011년 10월 8일 (토) 13:09 (KST)답변
위키를 보면 세계 지도에 생산량을 표시한 지도나 이렇게 생긴 지도가 참 많은데 밑에 분류를 보니 셀프메이드더라구요 이런 지도는 어떻게 만들까요? 만드는 도구나 방법이 따로 있나요? 보다보니 궁금해서 질문해봅니다!! --Voz De Paz소통·나눔¡Jugamos!2011년 10월 9일 (일) 10:08 (KST)답변
그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히 모르겠네요. 위키백과에서도 간단한 HTML은 지원하지만, 되도록이면 위키백과의 문법을 따라 주실것을 권고드리며, 특정 링크를 새탭으로 띄우도록 문법을 이용하는 것보다는 위키백과나 사용자 웹브라우저의 기본 설정에 의해 페이지가 오픈되도록 하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관인생략토론·기여·메일2011년 10월 14일 (금) 17:50 (KST)답변
안녕하세요. 저는 도약(Djm03178)입니다. 로그인에 성공하면 차후 인증 서명을 남길 것입니다. 갤럭시 플레이어를 사용중인데, 지금 도저히 로그인이 되질 않습니다. 로그인/계정 만들기 를 누르고 아이디,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누르면, 로그인 성공 창이 뜨고, 화면의 오른쪽 위도 정상적으로 뜹니다. 그런데 거기서 다른 곳으로 페이지 이동을 하는 순간, 로그인이 풀리면서 로그아웃 상태가 됩니다. 주시문서 목록에는 접근조차 불가능합니다. 도대체 왜 이런 일이 발생한 거죠? 어제 잠시 위키백과 페이지가 이상하게 뜬 이후로 계속 이러고 있습니다... 도와주세요... --211.206.40.198 (토론) 2011년 10월 11일 (화) 07:39 (KST)답변
근데여 ,주제정하는거 어떻게하져??겁나많이해봐도안돼내요ㅠㅠㅠ어디잇지요??좀아시는분찾아주시길 바랍니다ㅠ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한진성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을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이곳 위키백과의 질문방은, '위키백과의 기능 및 문서 관련 내용', '문서에 쓰이거나 시스템 메시지의 번역' 등에 관한 질문만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질문을 목적으로 질문방에 글을 남기셨다면, 다른 웹사이트를 활용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만, 앞으로도 한국어 위키백과를 자주 방문해 주시어 발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양해 바랍니다. :) --SVN—【Ta.】【Con.】2011년 10월 15일 (토) 20:35 (KST)답변
역사 옆에 있는 별 모양의 주시 목록 추가 버튼 옆의 아래쪽으로 표시된 화살표에 이동 기능이 숨어 있습니다. 이동해야하는 이유가 확실하고 다른 사람이 보기에도 납득할 수 있을 때 해주세요. 그렇지 않으면 편집 분쟁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이강철 (토론) 2011년 10월 17일 (월) 15:47 (KST)답변
특히 일본인 이름의 한글 표기 말입니다. 외래어 표기법과 통용 표기법이 곳곳에서 충돌하고 있습니다. 언론의 기사들에서도 어떤 인물은 외래어 표기법이 우세하고, 어떤 인물은 통용 표기법이 우세합니다. 관련된 토론이 분명히 과거에 있었을 것 같은데 제가 검색실력이 부족해서 못찾겠습니다. 잘 아시는 분 계십니까? --이부키 (토론) 2011년 10월 17일 (월) 21:32 (KST)답변
개발비와 생산비 판매가와 관련된 경제법칙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제품의 판매가를 정하고 이때, x개를 판매하여 얻은 수입을 Y원 이라고 할 때 Y를 X에 관한 식으로 나타내고 그래프를 이용하여 몇개 이상 판매해야 이익이 남는지 구하시오--Qkrwnl616 (토론) 2011년 10월 18일 (화) 22:49 (KST)답변
롤백 기능을 쓰지 않고 바로 직전 편집이 아닌, 여러 편집 전의 문서로 되돌리기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죠? '중간의 다른 편집과 충돌하여 이 편집을 되돌릴 수 없습니다.' 라는 문구가 뜨는데, 롤배커 기능이 없으면 되돌리지 못하고 수동으로 다시 편집해야 하는건가요? --벰미니D·C·M2011년 10월 22일 (토) 23:06 (KST)답변
해주 최씨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동: 둘러보기, 찾기
해주 최씨(海州 崔氏) 의 시조는 최온(崔溫) 이다. 해주 최씨 2대 - 최충(崔冲) - 이 고려시대, 성씨를 하사 받을 때 그의 아버지 최온이 살아 있어 최충은 2대가 되고 최온은 시조가 되었다. 해주 최씨 중에는 세종대왕이 한글을 집제할 때 반대하던 최만리도 있다.
해주 최씨는 고려 10대 명문가 중에 하나로 많은 학자와 관리를 배출한 가문이다.
[편집] 해주 최씨 출신 후궁숙빈 최씨 숙종의 후궁이자 영조의 어머니로 증영의정 최효원의 딸이다. 해주최씨의 후손은 최예찬이다.
상기와 같이 위키백과에 기록이 있는데 "고려시대, 성씨를 하사 받을 때" 라는 기록에 대하여 이의를 제기 합니다.
고려때 누가 누구한테 성씨를 하사받았다는건지 확실한고증을 할수 있는 문헌을 올려주시길 바랍니다. 그렇지 않다면 위키백과의 현재 해주최씨에 대하여 올려진 문구를 삭제하여주실것을 요청합니다. 그리고,"세종대왕이 한글을 집제할 때 반대하던 최만리도 있다."에서 "집제"란 무슨뜻인지 밝혀주실것을 요청합니다.
해주최씨 해동보학연구회 위원및 회원일동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청백리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우선 위키백과에 관심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해주 최씨 대종회의 내용을 기준으로 볼 때 성씨를 하사받았다는 것은 사실관계에 크게 어긋나는 듯 합니다. 신라 시대의 육촌장에게 하사된 성씨에서 최씨가 시작된 점을 바탕으로 할 때, 성씨를 하사 받았다는 부분이 사실과 어긋나며, 스스로 관향을 세웠다면, 이 또한 사실 관계에 부합하지 않습니다. 해당 본관의 시조님에 대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현재 삭제 되었으며, 한글 집제는 한글 창제로 변경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위키백과는 자유 편집 백과 사전으로 누구나 편집을 할 수 있으므로, 해주 최씨 여러분이 스스로 편집할 수 있습니다. 다만, 조상님들에 대한 객관적인 사실은 수록이 가능하며, 조상님을 찬양하는 부분은 백:아님#집단에 어긋 날 수 있습니다. 또한, 해주 최씨 대종회 외에 다른 객관적인 사료(예: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등)가 있어야 출처가 분명한 기여로 인정 받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위키백과에서는 단체 계정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위키백과:다중 계정을 참조해주세요) 위원회 회원 분들이 각자 계정을 따로 만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해주최씨 대종회와 같은 이름의 계정은 허용되지 않음을 유념해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혹시 같은 장소에서 여러분이 같이 사용하게 될 경우 IP 검사에서 동일 IP로 나와 같은 사람이 여러 개의 계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오인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가 생길 수 있을 경우 미리 언질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혹시 위키백과에서 모르는 부분이라든지 도움이 필요한 부분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제 사용자 토론 페이지에 질문해주시면 도와드리겠습니다. :) --이강철 (토론) 2011년 10월 25일 (화) 20:40 (KST)답변
규소(실리콘)에 대해 나와있는 내용들 중 잘못된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규소(실리콘)에 대한 내용 중. 오른쪽에 규소에 대한 성질이 나와있고, 밑으로 내려가면 '그 밖의 성질'이라는 칸이 있습니다. 거기에 적혀있는 다른 값들은 비슷비슷한데, 영률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값이랑 차이가 너무 심하게 나네요. 영률이라고 하면 Elastic modulus 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알고 있고, 일반적으로 110~130GPa 정도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곳에는 47GPa 이라고 적혀 있네요. 혹시, 영률 값이 잘못 기재되어 있는 것은 아닌가요? 아니면, 영률에 적혀있는 값이 전단변형률(Shear modulus)값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211.208.143.175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위키백과 질문방에서는 '위키백과의 기능 및 문서 관련 내용', '문서에 쓰이거나 시스템 메시지의 번역' 등에 관한 질문을 받고 있습니다. 다만, 내용이 잘못되었을 경우에는 주저없이 고쳐주셨으면 합니다. --SVN—【Ta.】【Con.】2011년 10월 26일 (수) 20:07 (KST)답변
제가 영문판을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한글판의 사정을 잘 몰라서 드리는 말씀입니다만, Fair use가 한국에서는 불법인가요?
원래 위키백과는 미국 법인인 위키미디어 재단에서 운영하는 사이트인데, 미국법인에서 운영하는 사이트에서도 한국 법이 유효한가요?
그리고 어떤 경위로 Fair use가 한글판에서 받아들여지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Puramyun31 (토론) 2011년 10월 27일 (목) 10:15 (KST)답변
그런데 최진실 항목에 보면 영문판에 있는 비자유 저작물로의 링크가 있는데, 이 기능을 대신에 많이 이용하는 건 문제가 없는지...
Fair use가 한글판에서 왜 금지되는지 구체적인 설명이 없네요. 한국 법적으로 어떤 문제가 있는지 정확하게 설명을 해 주셨으면...
--Puramyun31 (토론) 2011년 10월 27일 (목) 10:27 (KST)답변
'호산고등학교'를 편집중인데, 호산고등학교라는 표제어 밑에 간단하게 요약한 설명이 이미 되어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 내용 중 틀린 것이 있어 수정하고 싶은데요, 그 부분은 편집 버튼도 없고, 어떻게 수정할 수 있는지 방법을 모르겠네요. 도움 좀 부탁드립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211.115.162.194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Idh0854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바로 아래에 ":"을 답변한 분이 사용한 수보다 한 개 더 쓰면 한 칸 더 들여쓰기가 되며, 이게 기본적인 위키백과의 답변 방법입니다. 사용자 분에게 직접 감사의 인사를 남기고 싶은 경우 사용자 토론을 방문하시면 됩니다. 보통 사용자 이름 옆에 (토론) 형태로 연결 되어 있습니다. 도약님은 대화하기를 대신 표시하고 계십니다. --이강철 (토론) 2011년 10월 27일 (목) 16:35 (KST)답변
편집 지침을 보면 ‘개인의 혈액형과 몸무게와 같은 사적인 정보는 특별한 사유가 있을 때가 아니면 쓰지 않습니다.’라는 문장이 있는데 특별한 사유가 어떤 것인지 자세히 적혀있지 않아서 질문 올립니다. 특별한 사유가 어떤 경우를 말하는 건가요. 직업 모델(예:이소라)처럼 키와 몸무게가 중요한 수치인 경우인가요? --이부키 (토론) 2011년 10월 27일 (목) 21:29 (KST)답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운동선수라면 키와 몸무게가 중요한 경우가 있겠고요. 또, 특정 문서를 읽을 때 혈액형이 크게 부각/중요시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혈액형은 넣을 필요가 없지요. 이소라 모델의 혈액형의 중요성은 잘 모르겠네요. --ted (토론) 2011년 10월 27일 (목) 22:54 (KST)답변
'비영리이고 무상인 경우에 한하여 2차 창작물 제작활동에 당사 캐릭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크리크루 캐릭터 정책(Crecrew Character Policy, 이하 "CCP"라고 한다)"을 준비했습니다.' 라고 되어 있는데, 영리적 목적의 배포를 허용하는 라이선스를 가진 위키백과에서는 사용이 불가능 할 것 같습니다. --SK.YD·C·M2011년 10월 30일 (일) 11:04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