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삼일절 100주년을 기념하여 1900년대 당시 한국(조선=대한제국)의 독립을 위해 활약했던 독립 운동가를 기념하고, 독립 운동 관련 사적 문서를 살찌우며, 독립 운동 관련 사건을 되살리는 에디터톤을 기획하려 합니다. 온라인 에디터톤은 한국 시간으로 3.1 운동이 본격적으로 지역 곳곳에서 일어났던 3월 11일 0시 0분부터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 기념일인 4월 11일 23시 59분까지 1개월 간 진행되며, 에디터톤에 대한 동료평가와 오프라인 편집은 4월 7일 일요일에 있을 예정입니다.
규칙
요약:한국(조선)의 일제 강점기 독립 운동(이하 독립운동)과 관련된 새 문서를 만들거나 기존 문서를 2019년 3월 11일 0시부터 2019년 4월 11일 23시 59분(KST)까지 보완합니다.
오프라인 에디터톤도 시행됩니다. 4월 이전까지 명단이 확정되어 고지될 예정입니다.
새 문서는 2019년 3월 11일 0시부터 2019년 4월 11일 23시 59분(KST)까지 참가자 본인이 문서를 생성해야 합니다.
새 문서는 3,000 바이트 이상을 만드는 것으로 합니다.
기존 문서를 살찌우는 것도 환영합니다. 단 독립 운동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인물 및 문서는 2,000 바이트 이상, 독립운동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문서는 1,000 바이트 이상의 독립된 한 문단을 만들어야 합니다.
타인의 저작권을 침해하여 문서를 편집한 경우 에디터톤의 참가 자격을 직권으로 박탈합니다.
에디터톤 인정 기준은 공인된 역사서에서 다루어졌거나, 국가보훈처의 인증을 받은 경우로 제한합니다. 단 신뢰할 수 있는 매체에서 다룬 새로운 사건이나 인물의 경우 같이 인정합니다.
문서에서는 출처를 제시해야 합니다. 신뢰할 수 없는 매체의 출처는 인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IP 사용자(로그인하지 않은 사용자)는 에디터톤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여기에서 계정을 만들고 참여하세요.
4월 7일 오후 3시, 3.1 운동의 만세가 처음 울렸던 탑골공원 인근의 토즈 종로점에서 오프라인 모임을 진행합니다. 숙련자의 참여를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비숙련자가 오셔도 친절하게 설명해드립니다. 누구나 환영합니다.
상황에 따라 오프라인 모임 직전에 간단히 서울 도심의 독립운동 사적지를 돌아보는 투어 역시 신청자가 있으면 실행할 예정입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본 행사는 위키미디어 재단의 프렌들리 스페이스 정책을 따릅니다. 위키미디어 커뮤니티는 젠더, 성적 지향, 성 정체성, 장애, 외모, 인종, 종교, 선호하는 자유 라이선스와 관계 없이 모두가 환영받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헌신합니다. 커뮤니티는 참가자에 대한 어떠한 괴롭힘도 용납하지 않습니다. 행사 주최자는 재량에 따라 이 규칙을 어긴 참가자에게 퇴장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참가를 원하신다면 부담없이 서명(물결표 세 개, ~~~)을 기입해주세요. 반드시 계정을 만든 상태에서 참가해주세요.
서명 오른쪽에는 슬래시(/)를 붙이신 후, 편집하신 문서를 알려주세요. 편집하신 문서의 오른쪽에는 운영진이 편집 총 Byte 수와 점수를 매길 예정입니다. (직접 매기셔도 무방합니다) 등재 및 보충한 문서를 슬래시 우측에 기입하지 않으신 경우 제대로 집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