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프로젝트토론:교통/보존2
토론 보존과거의 토론을 보존했습니다. 토론이 종결되지 않았는데 보존 문서에 들어가있는 경우 꺼내오시면 됩니다. - 츄군 (토론) 2010년 7월 25일 (일) 06:58 (KST) 정말로 관리가 안되고 있는데몇 가지 남겨놓습니다.
더 하고 싶은 이야기가 많지만 일단 여기까지만 씁니다. 문제가 너무나도 많은데, 정리는 안되고 있습니다. 이후에 저는 고속도로 문서를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여태까지의 몇몇 잘못된 편집이 쌓이면서 지침에 맞지 않는 부분이 너무나도 많기 때문입니다. - 츄군 (토론) 2010년 7월 25일 (일) 06:50 (KST) 통영대전과 중부선은 각각 다른 고속도로인가요? 아니면 같게 나와있나요실제로는 대통령령에만 괜히 별개일 뿐, 국해부의 자료에선 같게 나와있습니다. 또한, 중앙선과 동일한 이유로 연결되어 있고, 노선번호가 같고, 인삼랜드 휴게소 다음 휴게소가 신탄진 휴게소이니 문서를 합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네비, 안내방송 등에서도 하나로 나와 있으며, 기점은 동통영, 종점은 하남이니 문서합병이 좋겠습니다. 중앙선도 같은 이유입니다.--甛蜜蜜 (토론) 2010년 8월 17일 (화) 11:55 (KST) 한국의 포탈 사이트 Naver의 지도에서도 동일하게 표현은 하고 있습니다 만, 다슬기 님의 주장을 관철시키기 위하여서는 더 명료한 근거가 요구되어집니다. 참고해 주십시오. Irafox (토론) 2010년 8월 17일 (화) 11:58 (KST)
다슬기 사용자는 더 설득력있는 근거를 제시하지 아니하면 문서를 합치기는 불가합니다. Irafox (토론) 2010년 8월 17일 (화) 12:09 (KST) 별개입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주홍글씨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나들목과 분기점 문서판교 나들목, 판교 분기점 등에 일단 개선안을 적용해봤습니다.
덧붙여서 거리표는 국토해양부의 거리표를 참조했습니다. 이 거리표엔 휴게소가 나오지 않기 때문에 전 시설물간의 표기는 나들목/분기점만으로 한정했습니다(덧붙여서 휴게소 개별 문서는 없기도 하고요). - 츄군 (토론) 2010년 9월 9일 (목) 20:27 (KST) 고속도로 노선 지정령, 국토해양부의 고속도로 구간 거리표 모두 강일 나들목을 시점으로 하고 있습니다. "시점 표지판"보다는 더 확실한 출처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정식되는 노선이 먼저입니다. 본문에 실제 시점 표지판은 강일 나들목이 있지 않고 다른 곳에 있다고 표기해주면 될 뿐입니다. 이의가 없으면 1주일 뒤쯤에 바꾸도록 하겠습니다. - 츄군 (토론) 2010년 9월 18일 (토) 17:30 (KST)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의 노선 일람을 표로 바꾸는 동시에 내용을 고쳤습니다. 이의가 있으신 분께서는 이 곳에 제기하시면 됩니다. - 츄군 (토론) 2010년 9월 23일 (목) 18:47 (KST) 여러 가지
인천지역 국도 42호 + 46호선몇년 전만 해도 42호선과 46호선은 6+42+46호선 종점에서 간석5거리까지 같이 가다가 간석5거리에서 분기해서 46호선은 경인로를 따라가고 42호선은 간석사거리 - 하이웨이 사거리로 해서 쭈우욱 해서 현재 노선에 접속되는 것으로 알고 있고, 간석오거리에서부터의 길이 수인산업도로 인것으로 알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몇년 사이에 42호선이 별도의 선으로 바뀌었네요.(아니, 지금 네이버지도에는 아직까지 제가 알고 있는 42호선 그대로 기제되어 있습니다) 언제 어떻게 된 것인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Ellif (토론) 2010년 9월 26일 (일) 01:59 (KST) 틀:광주광역시의 교통안녕하세요? 저는 제1순환로 (광주) 문서를 만든 사람입니다. 틀:광주광역시의 교통에서는 제1순환로를 구성하는 4개 도로인 필문로, 서암로, 죽봉로, 대남로가 모두 따로 떨어져 있고, 이 4개 도로가 제1순환로라는 설명은 안 나와있습니다. 그럼 저의 수정판을 보시죠.
이렇게 고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換骨奪胎(환골탈태) (토론) 2010년 10월 10일 (일) 08:38 (KST) 미래에 대한 부분교통 분야에서 유난히 심한 증상 중의 하나인데, 미래에 대한 내용을 너무도 당연하게 적어놓고 계십니다. 그것이 출처가 있던 없던간에, 미래의 일은 신중하게 기입하는게 좋습니다. 바뀔 가능성도 있고요. 이번 기회에 어느 부분까지 적으면 좋을지도 논의해보면 괜찮을 듯 합니다. 일단은 저는,
대강 이 정도로 잡아두고 있습니다. 의견을 내주세요. - 츄군 (토론) 2010년 10월 13일 (수) 18:15 (KST) 고속도로의 시종점은 시종점 표지판을 우선으로 판단해야 하는가? 아니면 공식 문서를 우선으로 판단해야 하는가?그동안 한국어 위키백과는 고속도로의 시종점을 판단할 때 시종점 표지판을 우선적인 기준으로 하여 판단한 것으로 압니다. 그런데 츄군이란 사람이 공식 문서를 우선으로 해야 한다면서 서울양양고속도로 문서의 내용을 갈아치웠습니다. 공식 문서를 우선으로 해야 한다면 모라 나들목을 중앙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쳐야 하고 신월 나들목을 경인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쳐야 하는 비정상적인 일이 발생하게 됩니다. 교통 프로젝트 참가자들의 의견을 구합니다. --211.179.112.19 (토론) 2010년 10월 30일 (토) 13:31 (KST)
고속도로 나들목,분기점 관련문서를 삭제해야하는가?삭제 토론에 이 내용을 적었는데, 삭제 해야 할까말까 고민중 이더라고요.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Teego 2010년 11월 26일 (금) 18:39 (KST)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vs 도로명주소법 시행령도로명주소법 시행령에 따라 행정안전부 고시 제2010-84호(2010. 12. 28)로 고속도로의 도로명을 결정, 고시하였습니다. 그런데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과 상이한 점이 나타났습니다. 현재까지 위키백과에서는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에 따라 고속도로 문서가 작성되어 있습니다. 몇가지 차이점을 나열합니다.
Sawol (토론) 2011년 3월 4일 (금) 23:56 (KST)
어떻게 하죠?이 문서에 보면 2008년부터 부산 방향 진출로와 진입로는 폐쇄되었다고 써있고 출처도 있습니다. 그런데 네이버 위성지도로 보면 폐쇄된 램프는 각각 부산방향 진입로와 서울방향 진출로입니다. 뉴스 기사와 위성지도 중 어떤 것을 따라야 합니까?--煥骨奪太HWANGOL TALTAE(討論) 2011년 3월 6일 (일) 12:58 (KST) 부산방향으로 들어오는 진입로와 부산방향에서 나가는 진출로를 얘기하시는 것 같은데... 그렇다면 다를 게 없군요. -118.216.17.168 (토론) 2011년 3월 12일 (토) 09:57 (KST)
부산 방향의 진출입로: 부산 방향으로의 진입로 + 부산 방향에서의 진출로. 진출입로 기준은 항상 고속도로가 우선됩니다. - 츄군 (토론) 2011년 3월 19일 (토) 17:23 (KST)
도로 정보 틀 수정에 따른 안내도로 정보 틀 수정에 따라 도로 정보가 있는 문서에 대하여 수정을 하게 되었습니다. 도로 정보 틀 수정을 하게된 목적은 대한민국 이외의 고속도로 문서(예:메이신 고속도로) 작성 후 틀에서 나오는 화면의 문제(틀에서 문서 편집화면에서만 나오는 특수문자가 나오는 문제) 등으로 수정을 하게 되었습니다. 새롭게 수정된 도로 정보 틀은 일본어판 도로 정보 틀(ja:Template:Infobox road, ja:Template:Infobox road/doc)을 참고하여 수정한 것으로 도로 정보 틀에 대한 자세한 안내는 틀:도로 정보/설명문서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새롭게 수정된 도로 정보 틀에 따라 도로 정보 문서가 있는 문서에 대해서 대부분 수정을 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P.Ctnt (토론) 2011년 3월 14일 (월) 04:28 (KST) 국도의 교차도로 목록국도 제3호선과 국도 제5호선은 평강군에서 만나고, 국도 제5호선과 국도 제7호선은 원산에서 만납니다. 남한에서 교차하지 않아 교차도로 목록에는 빠져있는데 넣어야 하지 않을까요? --NEARMISS (토론) 2011년 6월 15일 (수) 12:34 (KST) 남해고속도로의 영암 ~ 순천 (또는 목포 ~ 광양) 구간의 포함관련현재 공사가 진행중인 남해고속도로의 영암 ~ 순천 (또는 목포 ~ 광양)구간이 남해고속도로에 포함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일부 언론 보도나 한국도로공사에서는 해당 구간을 영암순천고속도로 또는 목포광양고속도로 (대부분은 목포광양고속도로로 많이 보도 되고있음)로 알리고 있는데 정확한 명칭이 무엇인지 대통령령을 찾아보아도 찾기가 힘드네요. 현재 이 구간은 올 연말 또는 내년 초에 완공이 될 예정인데 해당 구간을 포함시켜야 하는지 아니면 따로 분리 해야하는지 어떻게 해야할지 질문을 드립니다. 노선 번호는 같지만 고속도로 명칭이 다른 타 노선 (예시: 12호선 무안광주고속도로와 88올림픽고속도로, 25호선 호남고속도로와 논산천안고속도로, 35호선 중부고속도로와 통영대전고속도로 등) 처럼 분리해야 하는지도 질문을 드립니다. 일단 제가 2가지 제안으로 어떻게 해야할지도 의견을 주시길 바랍니다.
많은 의견 부탁드리겠습니다. - smrt45678 (토론) 2011년 7월 18일 (월) 23:18 (KST)
시군구별 교통분류:대한민국의 시군구별 교통 분류를 모두 생성했습니다. 철도역이나 교차로, 도로 관련 문서를 수정할 때, 해당 분류도 넣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ChongDae (토론) 2011년 7월 22일 (금) 11:36 (KST) 나들목 문서 삭제위키백과:삭제 토론/고속화도로 나들목의 토론을 이유로 서초 나들목과 같은 구 경부고속도로 구간의 나들목 문서도 함께 삭제되었습니다. 구 경부고속도로 구간은 관리 주체의 차이가 있을 뿐, 실제로 양재 나들목과 큰 차이가 있는 것도 아닙니다. 토론에서도 이런 구 고속도로 구간에 대해 따로 토론이 있던 것 같지도 않고요. 제가 놓친 토론이 있나요? -- ChongDae (토론) 2011년 7월 26일 (화) 00:01 (KST)
도로법 전면 개정도로법을 전면 개정하고, 고속국도법 등의 별도 법률도 통합한다는군요[1]. -- ChongDae (토론) 2011년 7월 26일 (화) 00:21 (KST)
현재 공사가 진행중인 고속도로 나들목 문서들의 생성과 관련된 내용제가 몆일 전 부터 현재 공사가 진행중인 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음성 ~ 제천), 평택시흥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동해 ~ 삼척, 양양 ~ 속초) 남해고속도로 (영암 ~ 순천), 서울양양고속도로 (홍천 ~ 양양)등의 노선들의 나들목 문서의 내용들을 보강하거나 공사관련 자료를 한국도로공사의 고속도로 건설공사 페이지 (해당 페이지)를 참고하여 문서를 작성하였습니다. 또한 현재 공사중인 평택시흥고속도로의 경우에는 이 고속도로의 관리회사인 제2서해안고속도로 (기업)의 사이트 (제2서해안고속도로)를 참고로 작성했습니다. 현재 공사중인 고속도로의 나들목 문서에 대해서 평가를 해주시고 혹시 문제점이 없는지 의견을 부탁드리겠습니다. -Knight rider (구.smrt45678) (토론) 2011년 9월 7일 (수) 15:37 (KST) 대한민국의 일반국도와 국가지원지방도 내용 관련 의견 요청제가 요 몆일 동안 그동안 생성되지 않았던 국가지원지방도 노선들을 전부 작성하여 완성하였습니다. 참고로 노선의 문서를 작성 할때 국회법률지식정보시스템 홈페이지의 국가지원지방도 노선 지정령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국회법률지식정보시스템 국가지원지방도 노선 지정령) 또한 최초로 노선들이 지정된 이후에 폐지된 노선들도 국가지원지방도에 같이 병기하였습니다. 제가 일반국도와 국가지원지방도의 노선 지정령과 관련된 첨부 파일들을 읽어보니 내용 중에는 비고란에 해당 도로의 중첩되는 노선의 구간들도 상세히 적혀져 있었습니다. 그래서 중첩되는 구간의 노선들의 내용을 개별 일반국도 노선 문서 (에: 국도 제00호선)와 개별 국가지원지방도 문서 (예: 국가지원지방도 제00호선)에 포함하면 어떨지 의견을 부탁드리며 현재 일반국도와 국가지원지방도의 문서 내용을 어떻게 보강하면 좋을지에 대한 의견도 같이 부탁드리겠습니다. -Knight rider (구.smrt45678) (토론) 2011년 9월 18일 (일) 14:40 (KST) 교통과 관련한 사건 사고에 대한 등재 기준 마련위키백과:사랑방/2012년 제19주#자동차 사고 문서와 관련한 토론에서 사건사고에 관한 편집지침에 대해 토론이 필요하다고 문제제기를 한 바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관련 프로젝트인 위키프로젝트:교통에서 다시 문제제기를 하여, 본격적으로 이에 대한 등재 기준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먼저, 아래의 관련 문서들을 참고하여 주세요.
수많은 사건 사고들이 있지만, 어떠한 기준에 의해서 삭제가 되고, 어떠한 기준에서 문서가 존재하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삭제된 경우는 대부분 저명성 지침에 따라 삭제된 경우가 많은데, 저명성 지침으로 삭제를 진행할 경우 여러가지 주관적이라는 논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편집 지침을 총의를 통해 새로 형성하고자 합니다. 먼저 제시하건데, 다음과 같은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많은 분들의 의견을 요청합니다. --Sotiale (토론) 2012년 5월 21일 (월) 21:46 (KST) 일회적 사건, 사고는 비록 신뢰할 수 있는 2차 출처에 의해 언급되었다고 하더라도 위키백과에 등재될 가능성이 거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추석 날 교통사고로 일가족이 사망했다는 뉴스 기사만으로는 등재 가능성이 없습니다. 하지만 성수대교 붕괴 사고처럼 다양한 언론 매체에 의해 중요하게 취급되고 비평과 분석 등이 함께 제시된 뉴스 기사의 경우에는 등재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제가 영어판 위키백과의 등재 가능성 지침을 번역했는데요. 해당 부분을 인용해 드립니다. -- 아사달 (토론) 2012년 5월 21일 (월) 23:31 (KST)
-- 아사달 (토론) 2012년 5월 21일 (월) 23:31 (KST)
구 경부고속도로 나들목 복구(다중 계정의 발언 제) --용걸음 2012년 9월 13일 (목) 15:18 (KST)
거 참, 왜 구 경부고속도로 나들목은 생성하면 삭제되는데 목포 나들목같은 건 왜 삭제가 안 되나 몰라요. :( -주행거리계 (토론) 2012년 9월 15일 (토) 15:56 (KST) 깨달았습니다. 왜 삭제되었는지. 다중 계정이 문서를 만들었기 때문이군요. -주행거리계(ㅌ·ㄱ) 2012년 11월 8일 (목) 06:44 (KST) 남아있는 고속화도로 나들목 문서에 대한 토론위쪽 다중 계정의 짓거리 때문에 고속화도로 나들목에 대해 다시 토론해야 할 때가 온 것 같습니다. 현재 고속화도로 나들목 문서는 (구)구마고속도로, 신천대로에 성서 나들목, 국도 2호선에 목포 나들목((구)서해안고속도로), 남악 나들목, 청호 나들목, 석포 나들목,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에 천천 나들목, 호매실 나들목이 (더 있나요?) 있습니다. 백:삭제 토론/고속화도로 나들목에 따르면, 천천과 호매실은 건설 중인 수원문산고속도로 때문에 배제하더라도 나머지들은 삭제해야 하지 않나요. -주행거리계(ㅌ·ㄱ) 2012년 10월 12일 (금) 14:52 (KST) 의견 요청을 위해 문단 분리합니다. -주행거리계(ㅌ·ㄱ) 2012년 11월 8일 (목) 06:43 (KST)
사고 문서에서 사회적 영향을 어디까지 볼 것인가위키백과:삭제 토론/대한민국의 사건 및 사고 관련 문서들의 연장입니다. 어디까지 사회적 영향을 따질 것인가에 대해서 논의를 진행해 보았으면 좋겠습니다. 논의를 위한 아래의 문서는 임시로 이 토론란의 하부 문서로 옮긴 것입니다. 토론이 끝나면 삭제나 유지토록 하겠습니다. --Sotiale (토론) 2013년 2월 5일 (화) 00:19 (KST) 요금소/휴게소 문서 생성?폐쇄형 요금소는 연결되는 나들목 문서에서 서술하면 되지만, 서울 요금소와 같은 개방형 요금소는 서술할 길이 없습니다. 또한, 휴게소는 현재 인삼랜드 휴게소 문서가 생성되어 있고요. 요금소/휴게소 문서를 생성하는 것이 될까요? -半月 (ㅌ·ㅁ) 2013년 5월 31일 (금) 22:53 (KST)
P.Cps1120a (토론) 2013년 6월 7일 (금) 13:48 (KST)
고속도로 구간거리표를 따랐을 때 생기는 문제현재 도로거리표가 통영대전고속도로와 중부고속도로가 통합해서 나와 있고, 둘을 나누는 경계는 대전광역시 - 충청북도 청원군계인 ‘금강1교’입니다. 하지만 신탄진 나들목이나 청원 나들목에서 금강1교까지의 거리를 거리표 상에서 알아낼 수는 없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半月 (ㅌ·ㅁ) 2013년 6월 17일 (월) 22:30 (KST) 고속도로 구간거리표를 토대로 하자니 문제가 생기는 부분이 많습니다.
4번 같은 경우는 노선 지정령에서 서해안고속도로의 기점이 변경되었다는 말이 없으므로 서해안고속도로의 기점을 전처럼 목포 나들목으로 보고 편집해도 무방하겠습니다만... (즉 2번 국도와 서해안고속도로 중첩 구간이 있단 말이겠죠) -半月 (ㅌ·ㅁ) 2013년 7월 5일 (금) 12:06 (KST)
고속도로 노선도 오래된 정보고속도로 관련문서에 첨부되있는 노선도가 너무 오래된 정보네요. 최신정보로 바뀌어야 될 것 같네요. 남해고속도로(영암-순천), 평택제천고속도로(음성-충주), 평택시흥고속도로 구간의 노선이 반영이 안되있습니다. mhg (토론) 2013년 8월 13일 (화) 12:42 (KST) 4대강 정비 사업 관련새롭게 건설된 보 들을 강별 다리 틀에 추가해주시기 바랍니다. --황제펭귄 (기여) 2013년 11월 19일 (화) 15:11 (KST) 이 이름은 누가 정한 거죠? 네이버에서 검색해도 위키백과밖에 안 나옵니다. 목동동로랑 목동서로로 분리해야하지 않을까요? --안우석 (토론) 2013년 12월 29일 (일) 04:39 (KST)
특별시도나 광역시도, 시도, 군도, 구도는 어떻게 알 수 있죠?주소 체계가 도로명주소로 바뀌면서 도로에 대한 문서의 중요도가 올라갔는데요, 기존의 도로 문서들을 수정, 보완하면서 느낀건데, 서울특별시도나 지방 광역시도, 시도, 군도, 구도는 어떻게 알 수 있죠? 도로 정보 틀을 사용하면서 제한적인 사용에 답답함을 느낍니다.. --Robin6224 (토론) 2014년 3월 22일 (토) 18:40 (KST)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