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프로젝트토론:비디오 게임/보존1
토론 시작참여 시작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북미/유럽의 게임과 게임회사에 대한 정보를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isdead 2007년 6월 29일 (금) 00:40 (KST) 프로젝트 문서의 내용에도 isdead님의 방향까지 포함하는 것은 어떨까요. 미소녀 게임이란 부분도 미소녀 게임이 아닌 게임까지 포함해서 '원작이 있는 게임, 게임을 원작으로 한 매체' 쯤으로 수정해서 게시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퍼플렉싱 2007년 6월 29일 (금) 12:41 (KST)
장르의 구분컴퓨터_게임을 봐도 느껴지지만, 장르 구분에 약간씩 혼선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프로젝트에서 앞으로 장르적 구분을 어떻게 나눌 것인지 몇몇 안건별로 정했으면 합니다.
다른 추가하실 내용이 있으시면 추가해주시기 바랍니다. --isdead 2007년 6월 30일 (토) 13:26 (KST) 다음의 원칙은 어떤지요
--퍼플렉싱 2007년 6월 30일 (토) 13:48 (KST)
1차 IRC 토론결과2007년 6월 30일에 진행한 IRC의 토론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참여자: 사용자:EpicDream86, 사용자:Isdead, 사용자:Perplexing)
--isdead 2007년 6월 30일 (토) 19:08 (KST) 컴퓨터·비디오 게임 용어변경 관련 토론크허~ 마구 수정한게 너무 죄송스럽군요. 일단, 제일 먼저 토론을 원하는 부분은 비디오 게임 부분입니다. 비디오 게임의 뜻이 기본적으로 컴퓨터게임이나 콘솔 게임등을 포함한, 영상 표시 장치를 이용한 게임을 총칭한다고 판단되기 때문입니다만.. 기존의 컴퓨터.비디오게임 카테고리는 분리 및 하위로 조정하는것이 좋을것 같아서 일단 수정을 저질러 버렸습니다. 일단 가장 상위의 카테고리로, '놀이(게임)' 아래에, 비디오 게임과 테이블게임(보드게임) 그리고 스포츠로 나누었습니다. 이 최상위에 대한 토론이 가능할까요? --Head77x 2007년 7월 3일 (화) 21:17 (KST)
비디오 게임은 콘솔/아케이드 게임만을 포함하지 않나요? 다른 언어에서도 컴퓨터-비디오 게임을 표제어로 쓰고 있습니다. -- ChongDae 2007년 7월 3일 (화) 22:21 (KST)
분류:비디오 게임기와 분류:가정용 게임기의 합병 제안제가 제안을 내놓았습니다. 제목의 두 분류는 이름으로 보자면, 역활과 의미가 같습니다. 이렇게 같은것이 한개이상 있을 이유는 없으며, 분류의 남용이 됩니다. 추가로 상위 분류에 속하는 “분류:게임기”와 “분류:컴퓨터·비디오 게임 플랫폼”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제안에 생각을 가지고 계신 분들은 의견을 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크렌베리 2007년 7월 23일 (월) 13:17 (KST)
편집 지침하위 문서로 편집 지침 문서를 만들었기 때문에 이 곳에 적은 지침 초안은 삭제했습니다. 해당 문서의 토론란을 통해 의견을 구합니다. 온라인 게임의 출시일은?온라인 게임의 정식 출시일은 무엇을 기준으로 해야 할까요?(특히 대한민국의 온라인 게임) 온라인 게임의 문서에 내용을 덧붙이며 기사거리를 추척해봐도, 대부분 오픈 베타의 날짜는 자주 볼 수 있지만, 정식 서비스의 날짜가 적힌 경우는 매우 드물더군요. 앞으로도 온라인 게임의 문서가 많이 생길것 같습니다. 그에 대비해서 어떤 기준으로 출시일을 결정하는게 좋을 것 같으니, 좋은 의문을 내주셨으면 합니다. --크렌베리 2007년 8월 22일 (수) 03:04 (KST)
분류:개발사별 게임분류:개발사별 게임의 이름을 회사별 게임으로 바꾸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발행사와 개발사 모두가 유명한 게임이라면 두 회사 게임이라는 분류를 모두 붙여주는 걸로 하구요. (en:EarthBound의 분류에 HAL 연구소와 닌텐도 모두가 붙어있는 것처럼) --퍼플렉싱 2007년 8월 24일 (금) 16:19 (KST)
반드시 있어야 하는 문서들영어판 게임 프로젝트의 문서 중요도를 바탕으로 반드시 있어야 하는 문서(Top 등급) 목록 적어봤습니다. 아래 목록을 프로젝트 문서에 보이도록 넣고 게임 프로젝트의 과제로 삼을 것을 제안합니다.
이외에 한국어 위키백과의 게임 프로젝트에서 Top 등급을 줄 수 있는 문서가 뭐가 있을까요?
분류:전략 시뮬레이션 정리게임의 장르에 맞춰 각각 실시간/턴제 전략 게임으로 옮겼습니다. 턴 방식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은 분류 넘겨주기 처리를 해놓았으니, 저 분류로 넣지 않도록 해주세요. 그리고 상위 분류에 대해서는 코만도스, 제기드 얼라이언스와 같은 전술 게임이 있기 때문에, 표제어 정하기는 신중하게 검토한 후에 생성하도록 합시다. --크렌베리 2007년 9월 16일 (일) 14:48 (KST) 토론 문서에 프로젝트 틀 붙이기각 문서의 토론 문서에 해당 프로젝트가 다루는 범위의 문서임을 붙이는 것을 제안합니다. 아직 영어백과처럼 FA다, GA다, A다, B다...하는 식으로 등급 표기까지는 안 되겠지만, 프로젝트에서 프로젝트가 다루는 문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리라 봅니다.
우선 표만 만들어봤습니다. 표의 디자인은 종합격투기 프로젝트의 것의 변형입니다. --퍼플렉싱 2007년 9월 19일 (수) 14:58 (KST)
틀이 생성되었고, 그간 만들어진 관련 문서들에 부착되었습니다. 틀:CVG 프로젝트을 부착하면 문서는 자동으로 분류:컴퓨터·비디오 게임 프로젝트 문서로 분류됩니다. --퍼플렉싱 2007년 10월 1일 (월) 14:08 (KST)
스타크래프트스타크래프트를 시범 혹은 첫 추천 글 후보로 지정해봤습니다. 이왕이면 첫 후보 문서가 추천 글이 될 수 있도록, 이 곳 프로젝트 여러분께서 적극적으로 도와주셨으면 합니다. :) --정안영민 2007년 10월 7일 (일) 01:43 (KST) 이 프로젝트 활동이 활발한가요?축구 게임과 관련해 연합할 것을 제안하려 왔는데 프로젝트 활동량이 그리 많지 않은 듯 보이네요. BongGon 2008년 1월 2일 (수) 20:57 (KST)
저도 열심히 눈팅만 하고있습니다. 원래는 새해서부터 본격적으로 참여하려고했는데 바빠서 참여가 늦어지고 있네요. 가포임상옥 2008년 1월 3일 (목) 00:46 (KST) 이스포츠관련 프로젝트 참여합니다원래 따로 이스포츠 관련 프로젝트를 만들려고 했으나, 이스포츠도 컴퓨터게임에 속하기 때문에 여기에 속하겠습니다. 저는 온게임넷과 엠비시게임 리그와 각종 서브 프로그램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조사하겠습니다. 앞으로 감사드립니다. 박승현 2008년 1월 8일 (화) 00:41 (KST) E스포츠 관련 프로그램, 프로게이머, 해설자, 사건 등을 올리는 프로젝트를 시작하겠습니다. 박승현 2008년 1월 10일 (목) 00:56 (KST) 편집 지침의 내용 변경다음과 같은 사항을 변경하고 추가했습니다.
--퍼플렉싱 2008년 3월 23일 (일) 17:46 (KST) 틀:게임 평점을 만들었습니다.
게임 리뷰 점수들을 표시하는 틀이 따로 없는 것 같아 틀:게임 평점을 만들었습니다. 게임 정보 틀 밑에 리뷰 점수를 모아서 표시할 용도로 사용하면 괜찮을 것 같아서요. 별 표시하는거 끙끙대면서 만들고나서 보니 {{틀:평가-10}} 같은 게 이미 있더군요;; 0.5 단위로 끊을 필요 없는거 하나로 위안중. -_-; --loper 2008년 5월 10일 (토) 00:22 (KST)
도움이 필요합니다.위키프로젝트 보이즈 러브의 게임 분야나 위키프로젝트 MSX에 도움을 주실 분을 구하고 있습니다. 도움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휘뚜루마뚜루 (토론) 2008년 6월 24일 (화) 22:45 (KST) 그라디우스 포털 오픈편집지침 내용 손질편집지침의 내용을 손질했습니다. 믿을만한 지침을 만들기 위해, 여러분들의 참여와 손질을 부탁드립니다. 제가 손질한 내용은 여기서 볼 수 있습니다. --퍼플렉싱 (토론) 2008년 10월 29일 (수) 20:46 (KST) 프로젝트 참가자 분들께 요청합니다.삼성전자 칸의 감독인 '김가을' 문서의 보강을 요청드립니다. 충분히 더 채워질 수 있는 문서인 듯 싶은데, 제가 이 부분에 대한 정보가 것이 없어 더 이상 손을 못 대겠더군요. 이 인물에 대해서 잘 아시는 분들의 보강을 요청드립니다. 201KEI (토론) 2008년 11월 5일 (수) 16:37 (KST) 분류에 관해분류:플랫폼별 게임에서 보면 ~ 소프트웨어, ~ 게임 으로 하위 분류가 나뉘어져 있는데, 하나의 명칭으로 통일해야 할듯합니다. 개인적으론 게임이란 명칭보다 소프트웨어란 명칭이 맞다 생각하는데, ~용 소프트웨어로 할지, ~용 게임으로 할지 고민되는 군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지요? --ResukiNote 2008년 12월 25일 (목) 19:50 (KST)
분류:서비스가 종료된 온라인 게임'분류:취소된 컴퓨터·비디오 게임'과 비슷하게 온라인 게임 중에 서비스가 끝난 게임만을 분류하는건 어떨까요? 무슨 온라인 게임이 서비스가 종료되었나를 확인하려고 문서의 내용을 일일이 보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고 봅니다. --크렌베리 (토론) 2009년 3월 7일 (토) 02:29 (KST) 하나 부탁포켓몬스터 관련 문서에서
편집지침 내용손질 (09.03.17)편집지침의 내용을 손질했습니다. '문서의 생성'과 관련된 지침을 추가하고 지침별 설명을 보완했으며, 글을 전반적으로 다듬었습니다. 믿고 따를 수 있는 지침을 만들기 위해 여러분의 참여와 손질을 부탁드립니다. 제가 손질한 내용은 여기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퍼플렉싱 (토론) 2009년 3월 17일 (화) 21:25 (KST) FPS 게임 문서내의 무기 목록의 문제FPS 게임 문서에 대한 ip사용자의 편집이 많은 문단이 무기 목록입니다. 괜히 링크까지 영어로 바꾼다던가 개인의 평가를 삽입하는 잘못된 편집이 계속 생기더군요. 부탁드립니다. 부디 보이시는대로 해당 문단을 삭제해주세요. 제가 시작한 탓입니다. -┏... --크렌베리 (토론) 2009년 3월 19일 (목) 20:28 (KST) Help with korean infoFirst of all, sorry for not speak korean. I'm here to ask some help. How do you guys write Bio Hazard Outbreak File 2? In japanese I know that is バイオハザード アウトブレイク FILE2. And I'd like to know how do you guys write in korean Samurai Warrios/Dynasty Warriors Xtreme Legends. I wanna know these things so I can search some information korean sites. Mizunoryu (토론) 2009년 3월 26일 (목) 23:01 (KST) 틀:게임 평점 좀 고쳐주세요.알파벳 랭크를 쓰는 사이트의 경우는 뜨지도 않고, 웹 인용을 쓰면 오류가 나버리고, 영어판의 리뷰 틀보다 못하다는 느낌입니다. 이미 있는데 따로 만들 수도 없는 노릇이니 다른 분이 좀 고쳐주셨으면 하네요. --닭살튀김 (토론) 2009년 3월 29일 (일) 15:12 (KST)
틀을 붙였는데도 참가자로 분류가 안 됩니다제가 뭔가 잘못 한 걸까요? 함께 하기를 원하는 사용자는 틀:위키프로젝트 컴퓨터·비디오 게임를 각자의 사용자 문서에 붙여 참여의사를 밝혀주시면, 자동적으로 분류:프로젝트 컴퓨터·비디오 게임 참가자에 참가자로서 분류됩니다. 라고 해서 그대로 했는데도 참가자로 분류가 안 되더군요. 저보다 늦게 신청한 사람도 참가자로 분류되던데 뭔가 문제가 있었던 걸까요?--Jinjinnim (토론) 2009년 7월 25일 (토) 14:19 (KST)
지침이 잘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이러한 제안이 잘 지켜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죠. 가령 던전 앤 파이터나 에어라이더, 카트라이더 문서만 해도 데이터를 나열하는 목록형 표현이 너무 지나칩니다.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은 사람들도 보는 문서임에도 개괄적인 설명이 없다시피 하지요. 위키백과는 게임 가이드북이 아닙니다. 총의를 모아서 현재 문서와 모순되는 지침을 다시 수정하든지, 아니면 지침을 따르지 않는 문서를 알맞게 편집하든지 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닭살튀김 (토론) 2009년 8월 17일 (월) 06:55 (KST) 바이오쇼크 번역을 마쳤습니다.최근 1~2주간 바이오쇼크 번역에만 매진해서 겨우 끝냈습니다만, 역시 고1이라는 한계답계 의역과 오역이 아주 넘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영어 잘하시는 분들이 글을 좀 같이 다듬어주셨으면 합니다 --necc 【討論】 2009년 11월 13일 (금) 20:03 (KST) 성인용 게임의 지나친 세분화 문서 생성일본에서 발매된 성인용 게임인 셔플! 과 관련해 토론이 있었습니다. 위키백과:삭제 토론/틀:셔플!의 등장인물 참조 바랍니다. 나는 성인용 게임에 대해 너무 세분화 시켜 설명하자고 하는 의견에는 반대합니다. 백과사전인 만큼 선정적이거나 폭력적인 내용의 작품에 대해서는 적절한 제재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Q0v9z8 (토론) 2009년 12월 14일 (월) 08:20 (KST)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와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의 스토리가 너무 자세한거 같습니다. 위키백과도 어디까지나 '백과'인데 백과사전에 미션마다 나눠서 상세하게 스토리를 넣을 필요가 있나요? 그냥 지우기엔 분량이 너무 많아서 토론에 올립니다. --Urty5656 (토론) 2010년 1월 7일 (목) 14:44 (KST) 드래곤 닌자 다듬기드래곤 닌자문서를 다듬어야 한다고 하지만, 아무도 다듬고 있지 않으니 조속히 다듬어드리기 바랍니다. S96s097 (토론) 2010년 1월 14일 (목) 23:27 (KST)
모든 게임문서에 해당하는 점대체 미션 하나하나 분석한 자료와 무기정보가 왜 필요한가요? 위키가 공략집도 아니고 말입니다. 근데 이거 분량이 너무 많아서 혼자 지우기도 뭐하고--WhiteDecember (토론/기여) 2010년 1월 23일 (토) 15:11 (KST)
유비소프트 게임 그림공용에서 유비소프트에 직접 문의하여 최종 확인을 받았습니다. 관련 그림들은 사용할 수 없으므로 삭제하였습니다. 또한 편집지침에서도 해당 내용은 삭제하였습니다.--아들해 (토론) 2010년 3월 2일 (화) 14:06 (KST)
소닉 더 헤지호그 시리즈의 캐릭터 틀소닉 더 헤지호그 시리즈의 캐릭터 틀을 제작하려고 하는 데, 영문판처럼 '주 캐릭터'만 문서화하고, 나머지는 리스트에 올리는 방식으로 할까요? 아님 모든 캐릭터의 문서를 만드는 방식으로 할까요? 의견 제시 부탁드립니다.--BreadToast Eggs Cooker Fried Eggs 2010년 3월 9일 (화) 17:40 (KST) 편집 지침에 캐릭터, 등장인물, 지리 정보 등에 대한 지침 추가 필요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문서를 보다가 의견 남깁니다. 이 프로젝트의 편집 지침을 보았는데, 캐릭터, NPC 등 기타 등장인물, 지리 정보(맵과 지역 설명), 게임 내 아이템, 캐릭터가 쓰는 기술 등을 적을 때 어느 정도 수준으로 제한해야 할지에 대한 이야기가 없어서 아쉬웠습니다. 지금 전반적으로 게임 문서들이 공략집 형태를 띠거나 팬사이트에 실린 게임 정보집처럼 보이는 것들이 많은데, 그런 것들을 별도 문서로 만들어 분리하거나 웹사이트 링크와 연결하는 것으로 대체하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그리고 게임 제작에 쓰인 기술과 게임 엔진, 제작사에 대한 설명 등은 잘 다뤄지지 않더군요. 그 분야를 잘 아는 분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해 계시면 보강을 해주십사 하고 부탁드립니다. --〔아에이오우〕 (토론) 2010년 5월 26일 (수) 16:15 (KST) 컴퓨터·비디오 게임 목록컴퓨터·비디오 게임 목록 이문서의 정리+편집 지침이 필요합니다. -- 土屋光 : "츠치야 히카루" (Talk·Mail·Contribs) 2010년 8월 5일 (목) 12:01 (KST) 개별 게임 문서의 서술 범위와 지침 개정 필요성현재 개별 게임 문서들에 너무 지엽적인 내용이 들어가있습니다. 예를들면 마비노기 문서만 보더라도 마비노기의 패치내역 이라든지의 것들이 백과사전에 등재될만한 것들인지 의문이 듭니다. 지금 상태에서 가장 참고할만한 지침인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컴퓨터·비디오 게임/편집 지침을 읽어보면
등으로 너무 추상적인 표현 일색이라서 오히려 문서편집 하는데 혼란만 줍니다. 속히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컴퓨터·비디오 게임/편집 지침을 구체적으로 이것은 된다, 이것은 안된다는 식으로 바꾸고 그에 따라 각 개별 문서들을 재정리 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Muel07 (토론) 2010년 8월 23일 (월) 00:24 (KST)
공략집식 서술에 대해공략집식 같은 서술 (파이트 오브 캐릭터즈 문서 참조)식 목록성 문서들에 대해서도 지침이 필요하지 않을까요.--Leedors (토론) 2010년 8월 25일 (수) 00:23 (KST)
이런식으로 만들면 어떨까요
--Muel07 (토론) 2010년 8월 25일 (수) 20:12 (KST)
영어판에서도 기타 히어로, 락밴드 같은 음악 게임뿐만 아니라 웬만한 게임 사운드트랙 목록 문서 등재는 허용하고 있습니다.(en:Category:Rock Band soundtracks) 파이널 판타지 같은, 스토리도 유명하지만 음악도 좋은 게임들은 빠짐없이 등재되어 있고, 한국어판에서 알찬 글로 선정된 바이오쇼크의 사운드트랙 목록 문서도 있네요. (en:BioShock (soundtrack)) --iTurtle (토론) 2010년 8월 26일 (목) 13:07 (KST)
현재까지의 토론 내용을 지침에 반영하였습니다. 바뀐점은 여기서[1] 확인하시면 됩니다. 그 외 필요한 내용이나 불필요한 내용, 수정할 부분이 있으면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Muel07 (토론) 2010년 8월 26일 (목) 17:32 (KST) 엥? 여기 한국어판에서 게임 문서내에 사운드트랙의 등재를 거부한적이 없습니다만? 오히려 넣고 싶을때도 있지만, 목록조차 웹사이트나 게임내에 기재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이 아닐까요? 그리고 리듬게임은 너무 광범위하고 공식 사이트쪽의 웹페이지를 보는게 더 낫겠죠. 보아하니 뮤엘07님이 예제로 연결하신 문서는...빠져야 할 내용을 삭제하면, 개별문서로 유지하기에는 적은 분량이 되니까, 유명한 유즈맵 끼리 묶어서 설명하는 문서에 옮기는게 낫겠습니다. --크렌베리 (토론) 2010년 9월 18일 (토) 08:48 (KST) 질문
포털(게임) 문서 질문여기 적는게 맞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인터넷에서 보면 대부분 포탈이라고 쓰는데 문서이름을 포탈로 바꾸면 안되나요? --KSH1015 (토론) 2010년 9월 16일 (목) 21:36 (KST)
이런 부분도 게임 공략에 해당되나요?신영웅문 성치 계정등록에 관하여 제1장 나만의 캐릭터를 만들어보자! 캐릭터 만들기 제2장 생산 캐릭터 육성방법을 알아보자! 장인 캐릭터 만들기 제3장 무사 캐릭터 육성방법을 알아보자! 초기 무공을 잘 선택하자 내 몸에 맞는 몹을 잡자 제4장 상업활동에 대해 알아보자! 장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제5장 신영웅문 기행기 신영웅문 초보 입문하다! 제6장 신영웅문의 커뮤니티! 사제관계와 혈연관계에 대해 알아보자 제7장 중요 노하우 포인트 이것만 알아도 신영웅문의 달인 신영웅문에 등장하는 던전 맵 공개
생성이 필요없는 (다른 문서에 합병 가능한) 등장인물 문서들이 생성되어 있습니다. 일부를 정리해야 하지 않을까요. 또 일부 문서들에 대해서도 대대적인 정리가 필요하겠고요.--Leedors (토론) 2010년 10월 17일 (일) 01:36 (KST) 프로젝트 활성화가 절실한 것 같습니다.저도 요즘 기여를 잘 안 하고 있는 처지라서 남말하기가 좀 그렇지만, 기여량이 적고 활성화가 잘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반면 엔하위키라는 곳은 게임 쪽으로 많은 문서들이 생성되고 있고 사람들도 그쪽으로 더 관심을 가지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엔하위키같이 덕후가 운영하는 사이비 사이트가 활성화되는 꼴은 솔직히 마음에 안 듭니다. 진짜 백과사전이라 할 만한 이곳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각종 규제도 완화된다면 더욱 활성화가 많이 될 것입니다. 사실 한국어 위키백과는 매우 경직되어 있다는 느낌이 없지 않거든요. --Jinjinnim (토론) 2010년 10월 27일 (수) 15:58 (KST)
분류를 만들었습니다. 이스포츠 대회나 주요 행사 문서를 해당 분류에 추가해 주세요. 그리고 이스포츠 관련 틀에 오류가 보입니다. 살펴보시고 [2]처럼 수정 부탁드립니다. -- ChongDae (토론) 2010년 12월 24일 (금) 11:43 (KST) 포털의 소속4월달에 나오는 포털2를 알고 계시나요? 밸브사에서 이번에 나오는 포탈2는 하프라이프에 끼워넣는 게임이 아닌 독립된 게임으로 출시할거라 합니다. 그러면 현재 포털과 포털2는 소속을 하프라이프에서 포털이라는 독립된 포털이란 시리즈로 분류를 해야하지 않을까요? --Qwerasdf (토론) 2011년 1월 18일 (화) 20:01 (KST) 스타크래프트 관련 문서 대량 정리 필요편집 지침에 맞지 않게 공략집식 서술이 많고 또 따로 떨어트릴 필요가 문서나 분류가 수도 없이 많습니다. 대거 정리가 필요할 듯 합니다.--Alto (토론) 2011년 1월 25일 (화) 16:12 (KST) CVG 편집 지침{{지침}} 을 붙여두는 게 어떨까요. 좀 있어 보이게 하기 위해서요.--Alto (토론) 2011년 2월 1일 (화) 16:57 (KST)
게임 프로젝트 관련 문서의 기준을 정하는 토론이 될 듯 싶네요. 다른 분들의 참여 부탁드립니다. -- ChongDae (토론) 2011년 2월 7일 (월) 22:18 (KST) 동방 프로젝트 관련 공식 작품이 대한민국에서 정식 발매됩니다.디앤씨미디어에서 L 노벨 주축으로, SL COMIC이라는 이름의 만화 레이블도 창간해서 공식 소설 및 만화인 동방맹월초 등을 정식 번역 발매합니다[3]. 그 말인즉, 번역본 표기가 생깁니다. 이것을 참고해서 수정·확정할 수 있는 것이 많겠습니다. --Hijin6908(말마당 · 한 일) 2011년 2월 9일 (수) 23:15 (KST) 프로젝트명, 분류명 정리현재 주 문서는 비디오 게임으로 옮겨가 있으나, 이 프로젝트 이름을 비롯, 관련 분류는 "컴퓨터·비디오 게임"과 "게임"이 혼재되어 있습니다. (예: 분류:컴퓨터·비디오 게임, 분류:연도별 게임.) "분류:비디오 게임"과 "분류:연도별 비디오 게임" 등으로 정리해야 하지 않을까요? -- ChongDae (토론) 2011년 2월 16일 (수) 14:23 (KST) 컴퓨터·비디오 게임 목록을 정비해야 할 것 같습니다.컴퓨터·비디오 게임 목록 임에도 불구하고 컴퓨터 게임이 대부분이고 비디오 게임은 많이 보이지 않습니다. 특히 Wii게임들은 제가 최근에 다른 곳에 호소하기 이전에는 단 한 개도 없었습니다. 정비가 필요합니다. --도약(대화) 2011년 8월 28일 (일) 23:52 (KST) 바람의 크로노아 시리즈 문서 표기방식 통일에 대하여사용자토론:Djm03178#바람의 크로노아 문서 부제목에서 어떤 분과 토의를 했지만,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우선 바람의 크로노아 door to phantomile 같은 경우에는 한국닌텐도에서 결정한 이름에 따라 :나 ~ 등을 넣지 말아야 할 것 같은데, 나머지 게임들의 경우, 일본판에서는 모두 바람의 크로노아 2 ~세계가 갈망한 분실물~과 같이 앞뒤에 ~를 삽입하고 있으나, 영어판에서는 en:Klonoa 2: Lunatea's Veil 등과 같이 :를 삽입하고 있습니다. 과연 하나의 표기 방식으로 통합하는 것이 좋을까요? 통합해야 한다면 어떻게 표기해야 할까요? --도약 (대화하기) '하늘 높이 도약하라' 2011년 10월 8일 (토) 11:52 (KST)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