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기하학에서 유한형 사상(有限型寫像, 영어: morphism of finite type, 프랑스어: morphisme de type fini)은 대략 유한 개의 변수에 대한 다항 함수에 대응하는 스킴 사이의 사상이다.
정의
유한형 환 준동형
두 가환환 사이의 환 준동형
가 주어졌을 때,
는
를 통해
-가환 결합 대수를 이룬다. 만약
가
-유한 생성 가환 결합 대수라면 (즉, 만약 어떤 충분히 큰 자연수
에 대하여
가
의
-몫대수와
-가환 결합 대수로서 동형이라면),
를 유한형 준동형(有限型準同型, 영어: finite-type homomorphism)이라고 한다.
유한형 사상
이 개념은 스킴에 대하여 쉽게 일반화할 수 있다.
스킴 사상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스킴 사상을 국소 유한형 사상(局所有限型寫像, 영어: morphism locally of finite type)이라고 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아핀 열린 근방
및
가 존재한다.
- 환 준동형
은 유한형 준동형이다.
-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의 아핀 열린 덮개
및 각
에 대하여
의 아핀 열린 덮개
가 존재한다.
- 각
및
에 대하여, 환 준동형
는 유한형 준동형이다.
준콤팩트 함수인 국소 유한형 사상을 유한형 사상(有限型寫像, 영어: morphism of finite type)이라고 한다.[1]:84[2]:87, Definition 3.2.1
유한 생성 가군이 되는 것은 유한 생성 대수가 되는 것보다 매우 강한 조건이며, 따라서 유한 사상은 유한형 사상보다 매우 더 강한 조건이다.
유한 표시 사상
두 가환환 사이의 환 준동형
가 주어졌을 때,
는
를 통해
-가환 결합 대수를 이룬다. 만약 다음 조건이 성립한다면,
를 유한 표시 준동형(有限表示準同型, 영어: finitely presented homomorphism)이라고 한다.
- 만약 어떤 충분히 큰 자연수
에 대하여,
가
의
-몫대수
와
-가환 결합 대수로서 동형이며,
는 유한 생성 아이디얼로 잡을 수 있다.
이 개념은 스킴에 대하여 쉽게 일반화할 수 있다. 스킴 사상
가 주어졌다고 하자.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아핀 열린 근방
및
가 존재한다면,
를 국소 유한 표시 사상(局所有限表示寫像, 영어: morphism locally of finite presentation)이라고 한다.
- 환 준동형
은 유한 표시 준동형이다.
준콤팩트 함수이자 준분리 사상인 국소 유한 표시 사상을 유한 표시 사상(有限表示寫像, 영어: morphism of finite presentation)이라고 한다.
성질
함의 관계
다음과 같은 함의 관계가 성립한다.
공역이 국소 뇌터 스킴인 스킴 사상의 경우,
- 국소 유한형 사상 = 국소 유한 표시 사상
- 유한형 사상 = 유한 표시 사상
이 성립한다.
닫힘
가 유한형 사상 · 국소 유한형 사상 · 유한 표시 사상 · 국소 유한 표시 사상 · 유한 사상 조건 가운데 하나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 (합성에 대한 닫힘)
에 대하여, 만약
와
가
-사상이라면
역시
-사상이다.
- (밑 변환에 대하여 안정)
에 대하여, 만약
가
-사상이라면 밑 변환
역시
-사상이다.
- (fpqc 위상에서의 내림)
에 대하여, 만약 밑 변환
가
-사상이며,
가 fpqc 사상이라면
역시
-사상이다.
여기서 fpqc 사상은 평탄 사상이며, 전사 함수이며, 공역 속의 임의의 콤팩트 열린집합에 대하여 이를 상으로 하는 정의역의 콤팩트 열린집합이 존재하는 스킴 사상이다.
예
체
에 대하여, 아핀 공간
은 자연스러운 사상

을 갖는다. 이는 유한형 사상이지만,
이라면 유한 사상이 아니다.
환 준동형
![{\displaystyle K[x]\to K[x,y]/(y^{2}-x^{3}-x)}](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19f57778a2d0e51399372a1177efe8a1930552bf)
으로 유도되는 아핀 스킴 사상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K[x,y]/(y^{2}-x^{3}-x)\to \mathbb {A} _{K}^{1}}](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7aca637831296e093beaefcf872c418ecabb05f1)
는 유한 사상이며 따라서 유한형 사상이다.
각주
외부 링크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