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십공신회맹축 - 보사공신녹훈후
〈이십공신회맹축 - 보사공신녹훈후〉(二十功臣會盟軸 - 保社功臣錄勳後)은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기록유산이다. 이 문서는 1680년(숙종 6년) 8월 30일 열린 왕실의 의식인 회맹제會盟祭[주해 1]를 기념하기 위해 1694년(숙종 20) 녹훈도감錄勳都監에서[주해 2] 제작한 왕실 문서다. 2007년 4월 20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513호로 지정되었다가[1] 2021년 2월 18일에 대한민국의 국보 제335호로 승격되었다.[2] 개요이 문서는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으로 재집권한 서인이 1689년 (숙종 15) 기사환국에 파훈된 5명의 공신을 복훈한 것을 계기로 제작된 것이다. 1680년 경신환국 당시 열린 회맹축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 회맹축에는 왕실에서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이름인 공신功臣 중 개국공신부터 보사공신에[주해 3] 이르는 역대 20종의 공신이[주해 4] 된 인물들과 그 자손들이 참석해 국왕에게 충성을 맹세하였다.[2] 이 문서에서는 1680년 회맹제 거행 당시의 회맹문과[주해 5] 보사공신을 비롯한 역대 공신들, 그 후손들을 포함해 총 489명의 명단을 기록한 회맹록, 종묘에 올리는 축문과 제문으로 구성되었으며, 축의 말미에 제작 사유와 제작 연대를 적었다.[2] 이 회맹제에는 489명 중 412명만 참석했는데, 불참한 사람들의 명단도 서술하였다. 이 명단은 신병身病, 재상在喪, 발병廢病, 연유年幼, 변장재외邊將在外, 피적被謫 등 참여하지 못한 사유별로 명단을 수록하고 ‘康熙十九年 八月日’이라 썼다. 마지막으로 1694년 6월 20일의 '復勳時告宗廟祭祝文'에 이어 ‘康熙三十三年十月日’이라는 년기를 적고 좌편에 세필로 ‘己巳罷勳甲戌復勳’이라 쓴 후 그 위에 시명지보施命之寶라는 국새를 마지막으로 찍어 왕실 문서로서 완전한 형식을 갖추었다.[1][2] 회맹제가 거행된 시기와 이 회맹축을 조성한 시기가 15년 정도의 차이가 나는 것은 숙종 재위(1674∼1720년) 중 일어난 여러 정치적 변동 때문이었다. 당시 남인과 더불어 정치 중심세력 중 하나였던 서인은 1680년 경신환국을 계기로 집권해 공신이 되었으나,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정권을 잡으면서 공신으로서 지위가 박탈되었다. 이후 서인은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으로 다시 집권하면서 공신 지위를 회복하였고 이때 1등~3등까지 김만기, 김석주, 이입신, 남두북, 정원로, 박빈의 총 6명에게 ‘보사공신’ 칭호가 내려졌다. 이번에 국보로 지정된 회맹축은 숙종 연간 보사공신이 있기까지 공신으로 녹훈錄勳과 삭훈削勳, 복훈復勳의 역사적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실물자료이다.[2] 왕실이나 충훈부에서 목적으로 최고의 재질로 거대하게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전문에 걸쳐 한자 한자에 정성들여 쓴 글씨와 선명한 주사란, 고급 재질, 장대한 크기 등 모든 면에서 조선후기 기록문화의 정수를 보여준다. 또한 현존하는 완전한 상태의 회맹축이 희소하다는 점에서 높은 가치를 지닌다.[1] 조선 시대에는 공신회맹제가 있을 때마다 어람용 회맹축을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1910년까지 문헌을 통해 전래가 확인된 회맹축은 3건에 불과하다. 1646년(인조 24년)과 1694년(숙종 20년) 제작된 회맹축, 1728년(영조 4년) 분무공신 녹훈 때의 회맹축이 그것이다. 이 중 영조 때 만들어진 이십공신회맹축의 실물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고, 1646년에 제작된 〈이십공신회맹축 - 영국공신녹훈후〉는 국새가 날인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어람용이자 형식상‧내용상 완전한 형태로 전래된 회맹축은 이 ‘이십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가 유일하다.[2] 이 회맹축은 17세기 후반 숙종 대 경신환국, 기사환국, 갑술환국을 거치면서 서인과 남인의 정쟁으로 혼란스러웠던 정국을 수습하고 왕권을 강화하고자 당시 정치적 상황을 보여주는 사료로서도 역사‧학술 가치가 높을 뿐 아니라, 왕실유물 중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압도적인 크기로 제작되어 조선 후기 왕실 공예품의 백미(白眉)로서 예술성 또한 우수하다는 점을 인정받아 2021년 2월 국보로 지정되었다.[2] 같이 보기주해
각주참고 자료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