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프 (대한민국의 잡지)
《이프》는 대한민국의 잡지이다. 성인지적 관점을 적극적으로 담아내기 위해 등장한 언론이다. 1990년대에 '여성학'을 보다 대중친화적으로 풀어내면서 주목을 받았다. 개요1997년 창간된 이프는 대한민국에서 성인지적 관점을 적극적으로 담아내기 위해 등장한 언론이다. 이프는 성 차별을 바로잡는 일에 참여하였고, 대한민국 최초의 여신학 박사 학위 취득자인 김신명숙은 《이프》의 편집인으로서 활동한 바 있다.[1][2][3][4] 역사이프는 학자, 저널리스트, 영화평론가, 여성운동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여성들이 의기를 투합해 1997년 5월에 창간했다. 이프(IF)는 Infinite Feminist, I'm a Feminist의 약어이다. 2006년 오프라인 《이프》가 완간호를 내면서 종간된 후 2007년 웹진 《이프》가 탄생했다.[5] 2006년 6월 9일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사단법인 《문화미래 이프》를 설립하였다. 2015년 10월 2일 웹사이트를 새롭게 단장하면서 과거 발행되었던 1997년 창간호부터 2006년 36호 완간호까지 PDF 형태로 선보였고 독자들이 무료로 자료를 읽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함께 이프 창립자 유숙열 공동대표, 초대 편집장 박미라 심신통합치유학 박사, 변상욱 CBS 대기자, 조박선영 작가(이프 전 온라인팀장) 등이 고정으로 참여해 《이프》 창간 관련 이야기와 최근의 이슈를 다양하게 다루는 팟캐스트 《웃자!뒤집자!놀자!》를 시작하여 외연 확대를 꾀하였다.[6][7][8] 특징이프의 기본 개념을 '여성의 욕망을 아는 잡지'로 잡았고 여성의 진정한 욕망을 알기 위한 방법으로 '웃자! 뒤집자! 놀자!'라는 세 가지 스피릿을 창안했다. 편집 방향
관련 기사
같이 보기각주
외부 링크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