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역학과 그래프 이론에서 이합체 모형(二合體模型, 영어: dimer model)은 어떤 그래프 위의 완벽 부합들의 공간 위에 정의되는 통계역학 모형이다.
정의
이합체 모형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유한 그래프

- 실수 값 함수
. 이를 각 변의 에너지라고 한다.
그렇다면,
의 완벽 부합들의 집합을

로 표기하자. 통계 역학에서, 완벽 부합은 보통 이합체 배치(二合體配置, 영어: dimer configuration)라고 하며, 그래프의 변은 이합체라고 한다. 즉, 흔히 사용되는 수학 용어 및 대응되는 물리학 용어는 다음과 같다.
수학 |
물리학
|
변 |
이합체(영어: dimer)
|
꼭짓점 |
단량체(영어: monomer)
|
완벽 부합 |
이합체 배치
|
변의 무게(영어: weight) |
이합체의 에너지
|
꼭짓점의 무게(영어: weight) |
단량체의 에너지
|
이제, 다음과 같은 통계 역학 모형을 정의할 수 있다.
- 위상 공간은 완벽 부합의 집합
이다.
- 임의의 완벽 부합
의 에너지는 부합에 속하는 변들의 에너지들의 합
이다.
- 온도
에서, 위상 공간 위의 측도는 이 에너지 함수
로 정의되는 기브스 측도이다.


여기서 값
는 분배 함수이다. 이 통계 역학 모형을 이합체 모형이라고 한다.
단량체-이합체 모형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유한 그래프

- 실수 값 함수
. 이를 이합체 에너지(二合體energy, 영어: dimer energy)라고 한다.
- 실수 값 함수
. 이를 단량체 에너지(單量體energy, 영어: monomer energy)라고 한다.
그렇다면,
의 부합들의 집합을

로 표기하자.
이제, 다음과 같은 통계 역학 모형을 정의할 수 있다.
- 위상 공간은 부합의 집합
이다.
- 임의의 부합
의 에너지는 부합에 속하는 변들의 이합체 에너지들과, 부합에 인접하지 않는 꼭짓점들의 단량체 에너지들의 합이다.

- 온도
에서, 위상 공간 위의 측도는 이 에너지 함수
로 정의되는 기브스 측도이다.


여기서 값
는 분배 함수이다. 이 통계 역학 모형을 단량체-이합체 모형(영어: monomer–dimer model)이라고 한다.
성질
단량체-이합체 모형과 이합체 모형의 관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벽 부합을 갖는 유한 그래프 위에서, 만약 단량체 에너지를 무한대로 취할 경우,

단량체-이합체 모형은 이합체 모형으로 수렴한다.
상관 함수
유한 그래프
위의 이합체 모형이 주어졌다고 하자. 각 변
에 대하여, 관측 가능량
을 지시 함수

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의의 변 집합

에 대하여, 상관 함수
![{\displaystyle \left\langle \prod _{e\in S}\sigma (e)\right\rangle =\sum _{S\subseteq M\in \operatorname {PerfMatch} (\Gamma )}\Pr(M)\in [0,1]}](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8800665765c723bb1b23c145c6f945ba1264594b)
를 정의할 수 있다. 만약
가 서로 닿는 두 변을 포함한다면,

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유한 그래프
위의 단량체-이합체 모형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각 변
및 각 꼭짓점
에 대하여 지시 함수 관측 가능량


을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의의 변 집합

및 꼭짓점 집합

에 대하여, 상관 함수
![{\displaystyle \left\langle \prod _{e\in S}\sigma (e)\right\rangle =\sum _{\scriptstyle S_{2}\subseteq M\in \operatorname {Match} (\Gamma ) \atop \scriptstyle S_{1}\subseteq \operatorname {V} (\Gamma \setminus M)}\Pr(M)\in [0,1]}](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91c33cf29c2e73b1d1df57945e234cfdeaeb450d)
를 정의할 수 있다. 만약
가 서로 닿는 두 변을 포함하거나, 만약
의 원소가
의 원소와 인접한다면,

이다.
예
피셔 격자
2차원 이징 모형은 피셔 격자(영어: Fisher lattice)라는 어떤 특별한 평면 삼차 그래프 위의 이합체 모형과 동치이다.[1]:§1 피셔 격자는 정12각형과 정삼각형으로 구성된 평면 테셀레이션의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평면의 정사각 격자 그래프에서, 각 꼭짓점
- ╳
을 나비 모양의 삼차 그래프
─┬┐ ┌┬─
│├─┤│
─┴┘ └┴─
로 치환하여 얻는다. 즉, (45도 회전하여 그린) 사각형 격자의 부분
╳
╳ ╳
╳
은 피셔 격자의 부분
─┬┐ ┌┬─
│├─┤│
─┬┐ ┌┬─┴┘ └┴─┬┐ ┌┬─
│├─┤│ │├─┤│
─┴┘ └┴─┬┐ ┌┬─┴┘ └┴─
│├─┤│
─┴┘ └┴─
에 대응한다.
이 경우, 각 꼭짓점에서 완벽 부합은 다음과 같은 8개의 가능한 꼴을 가진다.
피셔 격자의 완벽 부합
|
평면 이징 모형의 스핀 배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굵게 표현된 변이 완벽 부합에 속하는 변이다.)
즉, 이는 2차원 이징 모형의 임의의 상태에서, 각 스핀 사이의 변을
- 서로 다른 스핀 사이의 변은 굵게,
- 서로 같은 스핀 사이의 변은 가늘게
칠한 뒤, 각 꼭짓점을 위와 같은 8개의 나비 그래프 가운데 하나로 치환하면, 이징 모형의 각 상태와 피셔 격자의 완벽 부합 사이의 2대 1 대응을 얻는다. (2대 1인 것은 이징 모형의 상태에서 모든 스핀을 뒤집어도 같은 완벽 부합에 대응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45도 기울여서 그린) 평면 이징 모형의 상태의 일부분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와 같은 꼴이라면, 이는 다음과 같은 피셔 격자 완벽 부합에 대응한다.
─┰┐ ┌┰─
┃┝━┥┃
━┭┐ ┌┰─┸┘ └┸─┮┓ ┏┭─
│┝━┥┃ │┞─┦│
━┵┘ └┸─┮┓ ┌┮━┵┘ └┶━
│┞─┧│
━┵┘ ┗┵─
같이 보기
각주
독서 자료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