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차세대 항공모함![]() 일본 차세대 항공모함은 이미 이즈모급 항공모함을 보유 선언한 뒤, 추가적으로 차세대 항공모함을 개발할 일본의 계획이다. 7만t 급의 항공모함을 건조하는 논의가 자민당 내에서 나왔고, 차기 프랑스 항공모함의 75,000t과 유사하다. 건조되면 종전 후 일본의 최대 항공모함이 된다. 역사배경중국은 오는 2028년까지 핵추진 항모를 포함해 3척의 항모를 보유할 계획이다. 중국 해군은 두 번째 국산항모 003호의 건조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 초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건조를 일시 중단하고 있지만, 003함은 배수량이 8만5000t 이상으로 랴오닝함, 001A함과는 달리 전자사출기식 방식을 채택했다. 함재기도 J-15A 전투기, 조기경보헬기, 대잠헬기와 수송헬기 등 60대 정도다.[1] 중국 차세대 항공모함이 일본 방공망을 무력화시킬거란 전망까지 나오자 일본은 다급해진다.[2] 항공모함 보유 선언2019년 일본은 항공모함 보유 선언을 한다.[3] 2차 세계대전 당시 세계에서 항공모함을 건조하는 능력을 가진 나라는 미국,일본,영국 세 나라 뿐였고 종전 후 군대가 금지되고 공격형 군사력인 항공모함 보유도 금지된 일본은 반세기 이상 항공모함 없이 국가를 운영했다가 항공모함을 보유하게 된 셈이다. 추가 항공모함 도입 논의일본 집권여당 자민당 내에서 기뢰 소해능력을 가진 장비를 품은 모함을 겸하며, 재난대비 병원선, 수직이착륙기 F-35B를 운용하는 능력을 가진 '다목적 방어형 항공모함' 도입 논의가 나왔다.[4] 7만t급 항공모함일본의 항공모함 논의는 7만t급으로 기운 상태다. 4만t형 중형 항공모함인 샤를 드골함 모델은 함재기가 40기에 불과하다. 2023년 항모화가 완료된 이즈모급의 함재기 운용수와 차이가 나질 않는다. 그러나 퀸 엘리자베스급같은 70,000t급 항공모함은 60기의 함재기를 운용할 수 있다.[1] 프랑스 모델일본 차세대 항공모함의 만재배수량 70,000t은 차기 프랑스 항공모함의 75,000t과 유사하다.
각주
같이 보기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