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씨 가묘
임씨 가묘(林氏 家廟)는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 59-1번지에 있는, 전서공 임난수의 절의를 기리는 부조묘이다. 2003년 2월 14일 연기군의 향토유적 제42호로 지정되었다가, 2014년 9월 30일 세종특별자치시의 향토문화유산 제42호로 재지정되었다.[1] 개요임씨가묘는 고려 말 무신이었던 임난수(林蘭秀, 1342~1407)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사당이다. 임난수는 고려 말 최영(崔瑩, 1316~1388)장군과 함께 1374년 탐라(耽羅)에서 일어난 목호의 난(牧胡-亂)을 평정한 장군으로 고려가 멸망하자 충청남도 공주목 삼기촌(현재 세종특별자치시 세종동)에 내려와 여생을 보냈다. 벼슬을 주며 회유하는 조선의 태조 이성계(太祖 李成桂, 1335~1408)의 청을 수차례 거절하며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켰다고 한다. 당시 임난수가 심은 나무가 ‘연기 세종리 은행나무(기념물 제8호)’이며, 그의 둘째 아들 임목(林穆, 1371~1448)이 불사이군(不事二君)의 뜻을 기리기 위해 지은 ‘나성 독락정(羅城 獨樂亭, 문화재자료 제8호)’이 있다. 1407년(태종 7년) 임난수가 죽은 후 1419년(세종 1)에 임난수의 위패를 불천지위(不遷之位)로 모시게 하고 신장(申檣, 1382~1433)에게 지시하여 ‘林氏家廟(임씨가묘)’라 쓴 현판과 토지를 내렸으며, 1430년(세종 12) 현재 숭모각(崇慕閣, 향토문화유산 제35호)이 있는 위치에 임씨가묘를 지었다. 현재의 임씨가묘는 독락정에서 북쪽으로 약 70m 떨어진 곳에는 위치한다. 이곳은 1710년(숙종 36)에 지역의 유림들과 임난수의 후손들이 임난수와 임목의 제사를 지내기 위해 기호서사(岐湖書舍)라는 사당을 만들었던 자리이다. 기호서사가 임씨가묘로 바뀐 것은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1898)이 내린 서원철폐령(書院撤廢令)을 피하기 위해 불천지위인 임난수의 위패를 임씨가묘에서 기호서사로 옮기면서 부터이다. 그 후 임씨가묘와 기호서사가 모두 없어졌다가 일제강점기인 1923년 임씨가묘(현재 숭모각) 자리에 ‘林氏家廟遺址(임씨가묘유지)’라는 비석이 세워진 후 1964년 본래 임씨가묘가 있던 자리에는 숭모각이 지어졌으며, 1988년 기호사서가 있던 자리에는 임씨가묘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임씨가묘는 정면 3칸, 측면 3칸의 규모로 겹처마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으며, 정면에는 신장이 쓴 ‘林氏家廟(임씨가묘)’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현지 안내문
각주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