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의 목록은 임진왜란의 해전 목록이다. 정렬 순서는 시간순이다.
날짜
|
전장
|
조선군
|
일본군
|
비고
|
장교
|
병력
|
피해
|
장교
|
병력
|
피해
|
옥포 해전 1592년 음력 5월 4일(양력 6월 13일)
|
거제시 옥포
|
이순신, 원균, 권준,배흥립 ,정운, 이순신, 어영담, 이영남
|
전선 28척, 협선 17척, 포작선 46척
|
1명 부상
|
도도 다카토라, 호리노우치 우지요시
|
군함 50척
|
군함 26척 격침, 4,080명 전사
|
조선군 및 조선 수군의 첫 승리
|
합포 해전 1592년 음력 5월 7일(양력 6월 16일)
|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
|
없음
|
불명
|
|
군함 5척
|
전멸
|
적진포 해전 1592년 음력 5월 8일(양력 6월 17일)
|
통영시 광도면
|
없음
|
|
군함 13척
|
군함 11척 격침,2척 도주, 2,840명 전사
|
|
사천 해전 1592년 음력 5월 29일(양력 7월 9일)
|
사천시 용현면 선진리
|
이순신, 원균, 권준, 배흥립,정운, 이순신, 어영담, 송희립, 이영남, 김완
|
전선 26척, 거북선 2척
|
3명 부상(이순신, 나대용 포함)
|
도도 다카토라, 구루시마 미치유키, 가메이 고레노리
|
군함 13척
|
전멸, 2,600명 전사
|
거북선의 첫 사용
|
당포 해전 1592년 음력 6월 2일(양력 7월 10일)
|
통영시 산양읍
|
이순신, 원균, 권준
|
전라좌수영 전선 23척, 전라우수영 전선 25척, 경상우수영 전선 3척
|
불명
|
가메이 고레노리, 구루시마 미치유키 †,
|
군함 21척
|
전멸
|
|
당항포 해전 1592년 음력 6월 2일(양력 7월 10일)
|
경상도 고성 당항포
|
모리 무라하루 †
|
군함 26척
|
전멸
|
|
율포 해전 1592년 음력 6월 7일(양력 7월 15일)
|
거제 장목면
|
|
대선 5척, 소선 2척
|
전멸
|
|
한산도 대첩 1592년 음력 7월 8일(양력 8월 14일)
|
통영시 한산도
|
이순신, 원균, 이억기, 권준, 배흥립,정운, 어영담, 김완, 이영남, 송희립, 황세득
|
전선 56척
|
3명 사망, 10명 부상
|
와키자카 야스하루, 와키자카 사헤에 †, 와타나베 사치에몬 †, 마나베 사마노조 ‡
|
군함 73척
|
47척 침몰, 12척 나포
|
|
안골포 해전 1592년 음력 7월 10일(양력 8월 16일)
|
경상도 진해 안골포
|
도도 다카토라, 구키 요시타카, 가토 요시아키
|
군함 42척
|
전멸
|
|
장림포 해전 1592년 음력 8월 29일(양력 10월 4일)
|
부산 사하구 장림동
|
이순신, 이억기, 원균
|
전선 74척, 협선 92척
|
없음
|
|
전선 6척
|
전멸
|
|
화준구미 해전 1592년 음력 9월 1일(양력 10월 5일)
|
부산시 사하구 몰운대 인근
|
이순신, 원균, 이억기, 정운 †
|
전선 74척, 협선 92척
|
없음
|
|
군함 5척
|
전멸
|
|
다대포 해전 1592년 음력 9월 1일(양력 10월 5일)
|
부산시 사하구 다대동
|
없음
|
|
군함 8척
|
전멸
|
|
서평포 해전 1592년 음력 9월 1일(양력 10월 5일)
|
부산시 사하구 구평동
|
없음
|
|
군함 9척
|
전멸
|
|
절영도 해전 1592년 음력 9월 1일(양력 10월 5일)
|
부산시 영도구
|
없음
|
|
군함 2척
|
전멸
|
|
초량목 해전 1592년 음력 9월 1일(양력 10월 5일)
|
부산시 동구 초량동
|
없음
|
|
군함 4척
|
전멸
|
|
부산포 해전 1592년 음력 9월 1일(양력 10월 5일)
|
부산시 사하구 구평동
|
사망 6명, 부상 25명
|
구키 요시타카, 도도 다카토라, 와키자카 야스하루, 가토 요시아키
|
군함 470척, 병력 7만 명
|
100척 격침, 사망 2천 명
|
|
웅포 해전 1593년 음력 2월 1일(양력 3월 3일)
|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
|
이순신, 이억기, 원균
|
전선 89척
|
불명
|
구와다 치카카즈 †, 고소카베 치카우치 †, 하타 노부토키
|
군함 40척
|
불명, 기록부실
|
|
제2차 당항포 해전 1594년 음력 3월 4일(양력 4월 23일)
|
경남 고성군 회화면 당항포리
|
이순신, 이억기, 원균
|
전선 124척
|
없음
|
나가오카 다다오키
|
군함 31척
|
전멸
|
|
장문포 해전 1594년 음력 10월 4일(양력 11월 15일)
|
경남 거제시 장목면 장목리
|
윤두수, 이순신, 곽재우, 김덕령
|
전선 50척
|
거의 없음
|
시마즈 요시히로, 후쿠시마 마사노리
|
|
소선 2척 격침. 인명피해는 거의 없음
|
무승부
|
칠천량 해전 1597년 음력 7월 16일(양력 8월 28일)
|
거제도와 칠천도 사이 칠천량해협
|
원균 MIA, 이억기 †, 최호 †, 배설 ↘, 김완 WP
|
전선 134척, 거북선 3척
|
전선 122척 침몰, 12척 도주, 사망자 수천
|
구키 요시타카, 도도 다카토라, 와키자카 야스하루, 시마즈 다다유타, 가토 요시아키, 고니시 유키나가
|
세키부네 60척
|
불명
|
전투에 실제 참여한 일본 장교는 도도, 병력은 60척 뿐임
|
어란포 해전 1597년 음력 8월 27일(양력 10월 7일)
|
전라도 해남 어란포
|
이순신, 김억추
|
전선 12척
|
일본군이 전장 이탈.
|
|
전선 8척
|
없음
|
일본군이 전장 이탈.
|
벽파진 해전 1597년 음력 9월 7일(양력 10월 16일)
|
전남 진도 벽파진
|
이순신, 김억추
|
전선 12척
|
일본군이 전장 이탈.
|
|
전선 13척
|
없음
|
일본군이 전장 이탈.
|
명량 해전 1597년 음력 9월 16일(양력 10월 25일)
|
전라도 해남과 진도 사이 명량해협
|
이순신, 배설 ↘, 배흥립, 민정붕, 소계남, 송여종, 김응함, 조계종, 우수, 안위, 정응두, 김억추, 이응표, 류형
|
전선 13척, 초탐선 32척, 어선 100척
|
사상자 수 명, 정확한 규모 불명
|
도도 다카토라, 구루시마 미치후사 †, 가토 요시아키, 구키 요시타카, 하타 노부토키 †, 와키자카 야스하루, 간 미치나가, 간 마사카게 †, 모리 다카마사
|
군함 133 ~ 300척
|
31척 격침
|
|
절이도 해전 1598년 음력 7월 19일(양력 8월 20일)
|
전라도 고흥 고라금해수욕장
|
이순신
|
전선 60척
|
불명
|
도도 다카토라, 가토 요시아키
|
군함 100여 척
|
50여 척 격침
|
난중일기에는 기록이 없고 선조실록에만 기록이 있다.
|
왜교성 전투 1598년 음력 10월 2일 ~ 음력 10월 4일(양력 10월 31일 ~ 양력 11월 2일)
|
전라도 순천 장도
|
이순신, 진린, 황세득 †, 등자룡
|
육군 36,000여 명, 수군 15,000여 명, 총병력 약 51,000명
|
조선군 1,200여 명, 명군 2,300여 명 사상
|
고니시 유키나가, 오야노 다네모토 †
|
1만4천여 명
|
3천여 명 사상
|
무승부.
|
노량 해전 1598년 음력 11월 19일(양력 12월 16일)
|
경상도 남해와 하동 사이 노량해협(오늘날 남해대교 자리)
|
이순신 †, 진린, 등자룡 †, 이순신, 김완, 이영남 †, 송희립, 배흥립,우치적, 나대용
|
조선 전선 83척, 명 호선 61척
|
조선군 사상자 300여명, 명군 사상자 500여명
|
시마즈 요시히로, 고니시 유키나가, 소 요시토시, 다치바나 무네시게, 데라자와 히로타카, 다치바나 나오쓰구
|
군함 500여 척
|
200여 척 침몰, 100여 척 나포, 사망자 1만 명 내외
|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