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지![]() ![]() ![]() 자지는 남성의 성기, 특히 음경을 표현하는 한국어의 비속어이다. 다른 비속어로는 고추, 좆이라고도 부르며, ‘고추’와 ‘고추자지’는 음경을 표현하는 유아어와 속어로 사용되지만 ‘자지’와 ‘좆’은 현대에는 비속어로 주로 사용된다.[내용 1] 각주내용주
어원고유어설서정범은 ‘좆’의 어원을 고유어로 보았다. ‘씨'를 뜻하는 조어(祖語) 형태 ‘돋’(tot)이 ‘좆’의 근원이며[1], ‘좆’은 ‘돋’이 구개음화를 겪은 것이다.[2] 만주어에서 ‘음경’을 뜻하는 ‘coco’의 어근 ‘coc’의 조어형 역시 ‘tot’이며[2], 만주어에서 ‘씨’를 뜻하는 ‘tarimbi’의 어근 ‘tar’의 조어형 ‘tat’, 일본어에서 ‘남근’을 뜻하는 ‘tsinpo’의 어근 ‘tsin’의 조어형 ‘tit’, 류구어에서 ‘남근’을 뜻하는 ‘tani’의 어근 ‘tan’의 조어형 ‘tat’과도 어원을 공유한다.[3] 한편, 윤구병은 솟아오른 자리를 뜻하는 ‘곳’, ‘곶’에서 ‘ㄱ’이 ‘ㅈ’으로 교체되어 ‘좆’이 되었고, ‘어린 것’을 뜻하는 ‘-아지’가 붙어 ‘자지’가 되었다고 본다.[4][5] 산스크리트어설최남선은 ‘대자재천’(大自在天, Maheśvara, 시바)에서 존칭을 표시하기 위하여 덧붙은 ‘대’와 ‘천’을 뺀 ‘자재’(自在)가 ‘자지’의 어원이라고 추측하였다. 가장 지지받는 설이다.[6] 시바교에서는 남근을 자재천(自在天)이라고 숭배하는데, 시바가 주요 신으로 수용된 대승 불교 승려들이 ‘자재’를 남근을 지칭하는 은어로 삼았고, 이것이 불교와 무관한 언중에게도 점차 널리 퍼졌다는 것이 그의 추론이다.[7] 또한 그는 속리산 법주사에서 ‘송이놀이’라는 이름으로 남근 숭배 의식이 행해짐을 ‘자재’가 한자 부회가 아니라는 근거로 들었다.[8] ‘송이’는 남근을 가리키는 승려들의 은어였다.[9] 민간어원‘자지’와 ‘좆’은 조선 시대 이항복과 이황의 남녀 생식기관 명칭에 관한 질문과 답변 내용에서 비롯되었다는 설이 있다. 이 설에 의하면 남성의 생식기는 앉을 때 감추어진다고 하여 ‘좌장지’(坐藏之)라 한 것인데, 말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藏’(장) 자를 빼고 ‘자지’라고 하였다고 한다. 또 남성의 생식기는 양기(陽氣)를 지녀 ‘燥’(조) 자의 발음을 따라 좆이라 한 것인데, 이것이 발음하기 편하게 변하여 ‘좆’이 되었다고 한다. 남명 조식과 이황을 주인공으로 한 비슷한 이야기가 19세기 중반에서 20세기 초 사이에 필사된 패설집인 《기이재상담》(紀伊齋常談)[10]과 1943년 11월에 필사된 패설집인 《각수록》(覺睡錄)[11]에 각각 몇 글자 다르게 실려 있다.[12] 이러한 이야기는 근엄한 성리학자들이 성에 관하여 어떤 태도를 드러낼지가 호기심을 유발하기 때문에 전승될 수 있었으며[13], 유연한 사고를 지닌 인물의 덕이 높게 설정됨으로써 그의 학문을 주류 사상으로 격상하는 기능을 한다.[14] 그러나 실제로 주류 사상 쪽의 학문이 높음을 이야기하려는 것은 아니며, 양쪽을 모두 조롱하게 된다.[15] 특히 〈보지자지〉(寶之刺之)에는 조식의 실천적인 학문관과 상대적으로 유연한 이황의 백기법 반영되었다.[16]
최남선은 이에 대해 “우리 재래의 민간어원론 상에 남녀근(男女根)의 어원을 濕, 燥이니 坐藏之, 步藏之의 약(畧)이니 하는 등은 본디부터 일자음(一字音) 유희로 볼 것이다.”[18]라고 일축하였다. 특히 이항복과 이황이 등장하는 이야기는 민담에 가까우며[19], 어형이 유사한 한자어를 의도적으로 만들어 낸 후, 그 한자어에 권위를 부여하기 위해 실존인물을 등장시켜 적당히 이야기를 꾸며낸 전형적인 한자 부회에 불과하다는 평가가 다수이다.[20] 다른 표현‘고추’는 주로 남자 어린아이의 것을 가리키며[21], 식물의 열매 고추와 외형이 유사하다는 점에서 유추된 것이다. ‘잠지’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남자아이의 성기를 완곡하게 이르는 말’로 등재되어 있다.[22] 그러나 동남 방언에서는 ‘잠지’로 여성의 음부를 지칭하며[23], 현대 한국어 언중 사이에서 ‘잠지’는 여성의 생식기를 가리키는 말로 인식된다.[24] 용법신체 외부의 전면으로 나와 있는 모습으로 붙어 있는 남성의 생식기는 남아가 일상생활에 있어 배뇨 시에 빈번하게 보는 것이며, 배뇨행위를 학습하기 위해서도 필요 불가결한 단어이기 때문에 ‘고추’라는 단어는 손이나 발 등과 같은 자신의 신체 부위 단어를 습득하는 시기에 습득한다. ‘고추’는 음경과 페니스라는 전문용어의 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자지’와 ‘좆’은 속어 또는 비어로 사용된다. 특히 ‘좆’이라는 단어에서 비롯된 비속어나 욕설이 존재하기 때문에 ‘좆’과 합성된 형태의 비속어나 욕설도 존재[25]한다. 같이 보기
각주
참고 문헌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