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헌 (鄭文憲, 1966년 5월 4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현직 종로구청장 이다. 본관은 연일 이며, 서울특별시 종로구 출신이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에서 종로구청장 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생애
1990년 3월~1990년 6월 국립 강원대학교 강사
2002년 3월~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겸임교수
2003년 1월~2004년 2월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연구교수
2001년 6월~현재 재단법인 유암문화재단 이사장[ 1]
학력
경력
2003년 10월~2008년 5월 한나라당 강원도당 속초시·고성군·양양군 당원협의회 위원장
2004년 4월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최고위원 정책특보
2004년 4월 15일: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강원 속초시·고성군·양양군 , 한나라당 , 초선)
2004년 5월~2008년 5월 제17대 국회의원(강원 속초시·고성군·양양군 , 한나라당 , 초선)
2004년 6월~2005년 5월 한나라당 원내부대표
2004년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위원
2004년 국회 남북관계발전특별위원회 위원
2009년 1월~2011년 1월 대통령실 외교안보수석실 통일비서관
2011년 6월~2012년 2월 한나라당 강원도당 속초시·고성군·양양군 당원협의회 위원장
2012년 2월~2016년 5월 새누리당 강원도당 속초시·고성군·양양군 당원협의회 위원장
2012년 새누리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2012년 4월 11일: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강원 속초시·고성군·양양군 , 새누리당 , 재선)
2012년 5월~2016년 5월 제19대 국회의원(강원 속초시·고성군·양양군 , 새누리당 , 재선)
2012년 7월~2013년 3월 제19대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간사
2013년 3월~2014년 5월 제19대 국회 정보위원회 위원
2013년 새누리당 북핵안보전략특별위원회 위원
2013년 4월~2014년 5월 제19대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간사
2013년 6월~2014년 6월 새누리당 강원도당 위원장
2014년 5월~2014년 6월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새누리당 강원도당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
2014년 6월~2016년 5월 제19대 국회 후반기 기획재정위원회 위원
2015년 3월~2015년 9월 제19대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간사
2014년 8월 새누리당 통일위원회 위원장
2017년 3월~2018년 바른정당 강원도당 속초시·고성군·양양군 당원협의회 위원장
2017년 7월~2017년 10월 바른정당 사무총장
2018년~2019년 바른미래당 강원도당 공동위원장
2018년~2019년 바른미래당 강원도당 속초시·고성군·양양군 공동지역위원장
2018년 9월 바른미래당 손학규 당대표 특보단장
2019년 1월~2019년 12월 바른미래당 서울특별시당 종로구 지역위원회 위원장
2020년 1월~2020년 2월 새로운보수당 서울특별시당 종로구 지역위원회 위원장
2020년 2월~2020년 3월: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종로구 미래통합당 국회의원 예비후보
2021년 8월~2022년 2월 국민의힘 서울특별시당 종로구 당원협의회 위원장
2021년 11월~2022년 2월: 2022년 3월 재보궐선거 서울 종로구 국민의힘 국회의원 예비후보
2022년 6월 1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선(민선 8기, 서울특별시 종로구청장 , 국민의힘 , 초선)
2022년 7월~ 제36대 서울특별시 종로구청장 (민선 8기, 국민의힘 , 초선)
2023년 7월~2024년 6월 서울특별시구청장협의회장 겸 대한민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지역공동회장
2024년 7월~ 서울특별시구청장협의회 고문
병역
1991년 5월 6일~11월 5일(6개월간) 육군 일병(사유, 독자)[ 2]
논란
2012년 10월 8일 국회 외교통일통상위윈회 국정감사장에서 다음과 같이 주장해 큰 파문이 일었다.[ 3]
“
노 전대통령 과 김정일 위원장이 2007년 10월 3일 3시 백화원초대소에서 단독회담을 했고, 회담 녹취록은 통전부가 비밀 합의사항이라며 우리측 비선라인과 공유했다. 그 대화록은 폐기 지시에도 통일부 와 국가정보원 에 보관돼 있다. ..... 대화록에서 노 전 대통령은 김정일 에게 ‘NLL 때문에 골치 아프다. 미국이 땅따먹기 하려고 제 멋 대로 그은 선이니까. 남측은 앞으로 NLL을 주장하지 않을 것이며 공동어로 활동을 하면 NLL 문제는 자연스럽게 사라질 것이다’라며 구두 약속을 해줬다.
”
그리고 정문헌 의원은“노 전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앞으로 NLL 문제를 제기하지 않겠다’는 발언을 한 것은 사실이다. 사실이 아닐 경우 정치생명을 걸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검찰이 확보한 회의록 초본과 수정본에서 ‘NLL 포기’ 발언은 노 전 대통령이 아니라 김 위원장이 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민주당은 정치생명을 걸기로 한 약속을 지키라며 정문헌 의원의 사퇴를 요구하였다.[ 4]
이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을 유출한 혐의로 기소되어 1심에서 벌금 1000만원에 처해졌으며 항소를 포기하여 형이 확정되었다.[ 5] [ 6]
역대 선거 결과
같이 보기
각주
↑ 사이월드 정문헌 프로필 [깨진 링크 (과거 내용 찾기 )] , 2013년 6월 26일 확인
↑ 신상정보 요약-병역 [깨진 링크 (과거 내용 찾기 )] , 2013년 7월 11일 확인
↑ 정문헌, 노무현 NLL 포기 발언 주장은 허구 , 폭로닷컴, 강윤옥 기자, 2012년 10월 2일
↑ 민주 “정문헌·서상기 의원직 사퇴 약속 지켜라 2013년 11월 17일, 경향신문
↑ '대화록 유출' 정문헌 의원 벌금 1천만원 선고 2014년 12월 23일, 연합뉴스
↑ 정문헌 항소포기, 野 “잘못 인정했으면 대화록 유출 사과해라 2015년 1월 25일, 폴리뉴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