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옹주 (태종)

정신옹주
貞愼翁主
조선 태종의 옹주
신상정보
출생일 미상
사망일 1452년 10월 17일 (양력)
부친 태종
모친 신빈 신씨
배우자 영평군 윤계동(鈴平君 尹季童)
자녀 1남 1녀
윤삼원(尹三元), 이파(李波)의 처

정신옹주(貞愼翁主, ? ~ 1452년 10월 17일(음력 9월 26일[1]))는 조선의 옹주로, 태종의 6녀이자 서차녀이며, 어머니는 신빈 신씨(信嬪 辛氏)이다.

생애

태종은 정신옹주의 신랑감을 찾기 위해 점쟁이 지화(池和)를 보내 강원도 지춘천군사(知春川郡事)를 지낸 바 있는 이속(李續)을 찾아가 그 아들의 사주를 묻게 했는데 이속은 궁인에게서 태어난 옹주와는 혼인시킬 의사가 없다고 퇴짜를 놓았다.[2] 한낱 전직 관리가 자신의 딸을 퇴짜놓은 것에 분노한 태종은 "이속의 가문(家門)이 본래 바르지 못하다. 나도 연혼(連婚)하고 싶지 않다. 그러나 이속의 말이 심히 불공하다"며 이속을 잡아가두고 매질한 뒤 폐서인으로 강등시켰다.[2] 조말생, 김효손 등이 이속의 죄는 대역죄로 삼족을 멸해야 한다고 간하였으나[2] 태종은 이속의 재산을 몰수하고 그를 지방의 관노비로 만들었다.[3] 이속의 아들 또한 평생 장가를 들지 못하게 한 사실이 이익의 성호사설에 기록되어 있다.[3] 태종은 명문 사대부가 출신으로 당시 유배를 가 있던 윤향(尹向)을 불러들여 그에게 형조판서의 직책과 땅을 내리고 정신옹주를 그 아들 윤계동에게 시집보냈다.[3] 또한 이 일이 있고 난 뒤 태종은 왕실 자녀를 위한 간택령 제도를 만들어 양반가의 자녀들과는 다른 절차를 밟아 혼인하도록 했다.[3] 정신옹주는 윤계동과의 사이에서 1남 1녀를 두었다.

1452년 (단종 즉위년) 졸하였으며, 단종은 쌀·콩 아울러 1백 석과 종이 1백 50권, 베[布] 40필을 사부(賜賻)하였다.

가족 관계

시가 파평 윤씨(坡平 尹氏)

  • 시아버지 : 호조판서 소도공 윤향(戶曹判書 昭度公 尹向, 1374 ~ 1418)
  • 시어머니 : 남양군 문경공 홍길민(南陽君 文景公 洪吉旼, 1353 ~ 1407)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
    • 부마 : 영평군 의간공 윤계동(鈴平君 懿簡公 尹季童, ? ~ 1454)
      • 장남 : 윤삼원(尹三元)
      • 며느리 : 원주 변씨 - 감찰(監察) 변상동(邊尙同)의 딸
        • 손자 : 윤준(尹峻)
        • 손자 : 윤순(尹峋)
        • 손자 : 윤완(尹岏)
        • 손자 : 무송 윤씨 현감(縣監) 윤지(尹漬)의 처
        • 손자 : 고령 신씨 호군(護軍) 신필(申泌)의 처
      • 장녀 : 한산 이씨 찬성(贊成) 이파(李波, 1434 ~ 1486)의 처
        • 손자 : 이덕윤(李德潤)

각주

  1. 조선왕조실록, 《단종실록》 3권, 즉위년(1452 임신 / 명 경태(景泰) 3년) 9월 26일(을묘) 1번째기사.
  2. 《태종실록》 17년(1417) 9월 2일 4번째 기사
  3. 최향미, 《조선 공주의 사생활》, 북성재, 2011, ISBN 978-89-92162-35-7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