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덕 (鄭鍾德, 1943년 ~ 2016년 2월 16일 )은 대한민국 의 전 축구 감독이며, 감독으로서 카리스마 넘치는 지도력을 바탕으로 발전 가능성이 있는 선수들을 발굴하는 안목과 선수들을 조련해 성장시키는 능력에 능했던 것으로 평가되었다.[ 1] [ 2] 또한 건국대학교 감독 재임 시절 황선홍 , 유상철 , 이영표 등 여러 스타 선수들을 지도했으며, 특히 스트라이커였던 유상철을 수비형 미드필더 , 공격형 미드필더 , 센터백 으로 기용해 '멀티 플레이어'로 만들었고, 공격형 미드필더였던 이영표를 왼쪽 윙백 으로 포지션 변경시킨 것으로 유명하다.[ 3] [ 4] [ 5]
축구인 경력
일제강점기 당시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출신으로[ 6] 경신고등학교 에서 축구 선수로 활동하던 중 부상으로 인해 조기에 선수 생활을 마감했으며, 은퇴 후 경희대학교 에 진학한 뒤 체육 교사로 활동하다 1968년 경신중학교 의 코치로 임명되었다.[ 7] 이후 1969년 경성고등학교 축구부가 창단하자 원년 코치로 합류했으며,[ 8] 1970년 한국중고교축구연맹 의 이사를 거쳐 총무를 역임하였다.[ 9] [ 10] 그 뒤 1971년 안양공업고등학교 의 코치로 선임되었으며,[ 11] [ 12] 그 해 열린 '전국지역 대항 청소년 축구대회'에서 '중부선수단' 감독을 맡았다.[ 13] 이후 1972년 대한축구협회 의 요청으로 말레이시아 에서 열린 국제축구연맹 주관 '아시아 지역 코칭스쿨'에 파견되었으며,[ 14] [ 15] 1973년 대한축구협회의 기술위원으로 부임하였다.[ 16] 그 뒤 1974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코치단'의 일원으로 참가해 '고교 B팀'을 담당했으며,[ 17] [ 18] 얼마 뒤 '고교상비군'의 코치로 활동하였다.[ 19] 또한 같은 해 윤한교 감독을 보좌하며 팀의 전국고교축구대회 우승을 견인한 뒤 지도자상을 수상했으며,[ 20] [ 21] 이러한 공로로 1974년 개최된 대한축구협회 '축구인의 밤' 행사에서 지도상을 받았다.[ 22]
이후 1975년 팀의 전국고교축구대회 2연패를 이끌어 지도자상을 수상했으며,[ 23] 그 해 전국우수고교축구대회 에서 팀의 공동 우승에 기여하며 감독상을 수상하였다.[ 24] 또한 1974년에 1975년 아시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에 출전할 대한민국 U-20 국가대표팀 선수들의 훈련 코치로 선임되었으며,[ 25] 1975년에는 U-20 국가대표팀의 정식 코치로 임명되어 유현철 감독과 함께 1976년 아시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해 대회 3위에 기여하였다.[ 26] [ 27] 그리고 같은 해 계성고등학교 의 코치로 합류했으며,[ 28] 얼마 뒤 개최된 전국고교축구대회 우승에 공헌하며 지도자상을 수상하였고,[ 29] 직후 열린 전국중고교축구대회 에서도 팀에 우승을 안기며 지도자상을 수상하였다.[ 30]
그 뒤 1980년 건국대학교 의 코치로 임명되었으며,[ 31] 1981년 마닐라 에서 열린 국제축구연맹 주관 '국제 축구 코치 아카데미'에 파견되었다.[ 32] 또한 1982년 열린 제10회 한일 정기전 의 대학 선발팀 코치에 선임되었으며,[ 33] 1988년 전국대학축구연맹전 춘계 대회에서 감독으로 팀의 우승을 이끌며 지도자 감독상을 수상하였다.[ 34] 그리고 그 해 대한민국 국가대표 B팀 의 감독으로 임명되어 인도네시아 에서 치러진 1988년 AFC 아시안컵 예선 을 지휘했으며,[ 35] 바레인 에 이어 조 2위로 1988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권을 획득하였다.[ 36]
이후 1990년 한국대학축구연맹 의 기술이사를 맡은 뒤 1992년 전무가 되었으며,[ 37] [ 38] 그 해 전국대학축구연맹전 춘계 대회에서 다시 한 번 팀의 우승을 견인하며 지도자 감독상을 수상하였다.[ 39] 또한 1993년 대한축구협회의 연맹 파견이사로 선임되었으며,[ 40] 같은 해 대한민국 유니버시아드 국가대표팀 의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41] 유니버시아드 본선에서는 체코 와의 결승전에서 패해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42] [ 43] 대회 이후 대표팀 선수들과 함께 체육훈장 기린장을 수여받았다.[ 44] 그리고 1999년 부산 대우 로얄스 의 감독 후보로 물망이 올랐으나 정종덕 본인이 고사함에 따라 최종적으로는 김호곤 이 선임되었으며,[ 45] 2000년 건국대학교 감독직을 사퇴한 뒤 명예감독으로 위촉되었다가 2002년 FIFA 월드컵 이후 물러나면서 지도자 생활을 정리하였다.[ 46]
그 뒤 2000년 SBS 에서 축구 해설가로 데뷔했으며,[ 47] [ 48] 2002년 다른 축구계 인사들과 함께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 에 몰두하던 정몽준 의 대한축구협회 회장직 사퇴를 요구하기도 했다.[ 49] 이후 2002년부터 2003년까지 대구 FC 와 대전 시티즌 , 부천 SK 의 감독 후보에 차례로 물망이 올랐으나 최종적으로 모두 결렬되었으며,[ 50] [ 51] [ 52] 2004년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의 수석 코치 후보 중 한 명으로 검토되었으나 최종적으로는 이춘석 이 낙점되었다.[ 53] [ 54] 그리고 대전방송 에서 축구 해설가로 활동했으며, 2005년 포항 스틸러스 의 기술고문으로 임명되었다.[ 55]
또한 같은 해 대한축구협회로부터 자문위원으로 위촉되었으며,[ 56] [ 57] 그 뒤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충주 험멜 FC 에서 기술고문을 맡았고,[ 58] [ 59] 2012년 춘천기계공업고등학교 의 감독이 되어 지도자로 잠시 복귀하였다.[ 60]
사망
지병으로 당뇨 를 앓고 있던 도중 2016년 2월 16일 자택에서 심근 경색 으로 세상을 떠났으며,[ 61] 이후 건국대학교 선수들은 2월 17일 있었던 중앙대학교 과의 전국대학축구연맹전 춘계 대회 경기에서 검은 완장을 차고 나오며 조의를 표했다.
기타
동생인 정종관 또한 축구인이다.[ 62]
1976년 문화방송 에서 방영한 사회 교양 프로그램 '여기 젊음이'에 출연하였다.[ 63]
지도자 기록
수상 경력
감독
개인
각주
↑ “유상철' 한국 최고의 멀티 플레이어” . 대한축구협회. 2009년 8월 13일.
↑ “이상윤' 불운한 월드컵의 주인공” . 대한축구협회. 2010년 7월 5일.
↑ “89 유망주 (8) 축구대표 黃善洪(황선홍)” . 동아일보. 1989년 1월 14일.
↑ “물오른 유상철 득점왕 독주채비” . 중앙일보. 1998년 9월 9일.
↑ “이영표, 무명서 주전공격수로” . 중앙일보. 1999년 6월 17일.
↑ “가평. 북면 축구 5개클럽 ‘ 축구인의밤 ’ 개최” . 가평타임즈. 2008년 12월 25일. [깨진 링크 (과거 내용 찾기 )]
↑ “정종덕 건국대축구 명예감독” . 한국일보. 2003년 3월 13일.
↑ “頂上(정상) 을향한 21強豪(강호)의 격돌 대통령 金盃(김배)는 어디로 (上(상))” . 경향신문. 1970년 5월 21일.
↑ “새會長(회장)에장봉식씨 中高蹴聯(중고축련)임원改選(개선)” . 동아일보. 1970년 1월 8일.
↑ “中高(중고)축구새집행부” . 경향신문. 1970년 4월 4일.
↑ “頂上(정상)을 겨눈 20強豪(강호)의 격돌 대통령金盃(김배)는 어디로 (上(상)) 參加(참가)팀選手(선수)명단” . 경향신문. 1971년 6월 10일.
↑ “安養工高(안양공고)” . 경향신문. 1972년 6월 30일.
↑ “제4회 全国地域(전국지역)대항 青少年蹴球(청소년축구) 參加(참가)팀 프로필 (下(하)) 湖南(호남)·嶺南(영남)·中部(중부)팀” . 동아일보. 1971년 11월 11일.
↑ “海外(해외)파견 5건承認(승인) 3蹴球(축구)코치는 否決(부결)” . 경향신문. 1972년 1월 10일.
↑ “변칙 승인 전례…야구 코치 해외 파견” . 중앙일보. 1972년 1월 12일.
↑ “축구협 첫 이사회 5개 분과위 구성” . 중앙일보. 1973년 3월 1일.
↑ “蹴球(축구)코치團(단) 構成(구성)” . 동아일보. 1974년 2월 1일.
↑ “청소년 축구 평가전 4개팀·코치를 선정” . 중앙일보. 1974년 2월 6일.
↑ “축구高校(고교) 常備軍(상비군)편성” . 동아일보. 1974년 7월 24일.
↑ “安養工(안양공)패권 全国高校蹴球(전국고교축구)폐막” . 매일경제. 1974년 5월 27일.
↑ “安養工(안양공) 서울打倒(타도) 기수 戰法(전법)도 뛰어나” . 경향신문. 1974년 6월 14일.
↑ “41명·5개티임표창 蹴協(축협),축구인의밤에” . 동아일보. 1974년 12월 26일.
↑ “초청高校(고교)축구 安養工(안양공) 2連覇(연패) 延長(연장)서奮戰(분전) 2㸃(점)” . 동아일보. 1975년 5월 1일.
↑ “우수高校蹴球(고교축구) 安養工(안양공)·淸州商(청주상) 공동우승 차지” . 경향신문. 1975년 8월 25일.
↑ “청소년蹴球(축구)코우치 張元稷(장원직)·鄭鍾德(정종덕)씨” . 동아일보. 1974년 12월 12일.
↑ “亞洲(아주) 청소년축구 후보27명을 選定(선정)” . 경향신문. 1975년 12월 11일.
↑ “「亞洲青少年蹴球(아주청소년축구)」出戰(출전) 代表(대표)티임構成(구성)” . 동아일보. 1976년 1월 13일.
↑ “体育界動靜(체육계동정)” . 동아일보. 1976년 6월 11일.
↑ “中東(중동)·啓聖(계성),2年(연)째共同優勝(공동우승) 高校(고교) 蹴球(축구)” . 동아일보. 1976년 9월 1일.
↑ “中高蹴球(중고축구) 啓聖(계성),釜商(부상)꺾고 覇權(패권)” . 동아일보. 1976년 9월 24일.
↑ “延世(연세)·忠義(충의) 4강에” . 동아일보. 1980년 5월 10일.
↑ “스포츠단신” . 동아일보. 1981년 5월 16일.
↑ “축구협회 고교상비군 코치에 朴景和(박경화)씨 선임” . 경향신문. 1982년 2월 23일.
↑ “建國(건국),대학축구 頂上(정상)에” . 동아일보. 1988년 4월 14일.
↑ “아시안컵축구대표팀감독 建國大(건국대) 鄭鍾德(정종덕)씨 선임” . 동아일보. 1988년 5월 4일.
↑ “한국,印尼(인니)제치고 본선 티켓” . 동아일보. 1988년 6월 23일.
↑ “대학축구연맹 새 집행부 구성” . 중앙일보. 1990년 12월 5일.
↑ “대학 축구 연맹 새 집행부” . 중앙일보. 1992년 12월 21일.
↑ “建大(건대) 4년만에 패권” . 동아일보. 1992년 5월 27일.
↑ “李(이)종환씨 부회장 선임 축구協(협) 대의원총회” . 동아일보. 1993년 1월 28일.
↑ “축구協, U대회 대표확정” . 연합뉴스. 1993년 5월 20일.
↑ “韓國(한국)「근성」對(대)체코「體力(체력)」” . 동아일보. 1993년 7월 17일.
↑ “축구도 連覇(연패)꿈 무산” . 경향신문. 1993년 7월 20일.
↑ “체육유공자 285명 훈·포장 수여” . 동아일보. 1994년 4월 28일.
↑ “" 프로축구 부산대우 정상가동" ” . 연합뉴스. 1999년 12월 28일.
↑ “아마축구 산증인 정종덕감독 퇴임” . 국민일보. 2000년 11월 7일.
↑ “[울산] 10월 17일 성남전 중계방송 안내” . 중앙일보. 2000년 10월 17일.
↑ “SBS축구채널, K리그 전경기 생중계” . 동아일보. 2001년 6월 12일.
↑ “정몽준 축구협회장 사퇴 서명 논란” . 한겨레. 2002년 11월 12일.
↑ “박종환 감독 '6억 컴백'…신생 대구팀 지휘봉” . 스포츠조선. 2002년 10월 24일.
↑ “최윤겸 감독, 대전 시티즌 새 감독 선임” . 스포츠조선. 2003년 1월 8일.
↑ “프로축구 부천, 새 감독 후보 압축” . 연합뉴스. 2003년 7월 2일.
↑ “허정무 前 대표팀 수석코치 후임…황선홍―김호곤―정종덕씨등 거론” . 국민일보. 2004년 11월 27일.
↑ “코치 ‘선수들 속에서 큰형님 구실 젊은 지도자가 해법 될듯’” . 일간스포츠. 2004년 11월 30일.
↑ “광주 상무, 2005년 캐치프레이즈 공모” . 연합뉴스. 2005년 1월 13일.
↑ “축구협회, 5월말까지 법인화 완료” . 연합뉴스. 2005년 3월 21일.
↑ “축구협회, 자문위원 첫 모임 가져” . 조이뉴스24. 2005년 3월 21일.
↑ “고상덕 "정대세, 질투나지만 친구야 고맙다" ” . 일간스포츠. 2008년 3월 4일.
↑ “충주 이상재 감독의 유쾌한 도전” . 내셔널리그. 2011년 3월 19일.
↑ “‘정종덕 감독이 돌아왔다!’ 고등리그로 복귀한 대학축구 대부” . 대한축구협회. 2012년 5월 29일.
↑ “대학 축구 '거목' 정종덕 전 건국대 감독, 별세… 황선홍‧이영표 등 키워” . 베스트일레븐. 2016년 2월 18일. [깨진 링크 (과거 내용 찾기 )]
↑ “‘프리킥 한방’ 운명갈랐다” . 경향신문. 2003년 6월 18일.
↑ “청소년蹴球(축구)대표팀 찾아 —오늘밤8시「여기 젊음이」” . 경향신문. 1976년 2월 10일.